■ 보학 1744

금주군 박정 신도비명(錦洲君 朴炡 神道碑銘)/반남인

■ 박정[朴炡]의 신도비명(神道碑銘) 백헌(白軒) 이경석(李景奭) 지음. 1595년(선조 28)∼1671년(현종 12) 이조참판금주군박공신도비명 吏曹參判錦洲君朴公神道碑銘 생각건대 우리 인조대왕(仁祖大王)이 반정(反正)할 때 대왕을 보필한 선비 가운데 당대의 명사가 많았는데 공은 그 중에 한 사람이다. 공의 휘(諱)는 정(炡)이고 자(字)는 대관(大觀)이다. 나주(羅州)의 박씨(朴氏)는 신라 시조 왕으로부터 파생하여 반남현(潘南縣)을 본적으로 하였다. 고려 때에 9대조 상충(尙衷)은 우문관 직제학(右文館直提學)을 지냈으며, 본조(本朝)에 들어 8대조 은(訔)은 의정부 좌의정에 올랐고 금천부원군(錦川府院君)으로 봉해졌으며 시호는 평도공(平度公)이다. 고조부 조년(兆年)은 이조정랑(吏曹正郞)을 지냈고 좌찬성(..

서계 박세당 묘갈명

■문정공 서계 박세당 묘갈명 (文貞公 西溪 朴世堂 墓碣銘) 학문은 심오한 말을 밝힐 만하고, 지조는 퇴폐한 풍속을 격려할 만하며, 문장은 옛사람을 능가할 만한 경우, 이 중에 하나만 있어도 뛰어났다 하는데 하물며 이를 모두 겸하고 있는 사람임에랴! 근세 이래로 구이지학(口耳之學)만 성해서 문기(文氣)는 날로 천박하고 유약한 데로 빠졌다. 또한 선비들은 벼슬자리만을 급급하게 생각해서 속된 무리를 초월할 수 있는 자가 드물었다. 선생은 이러한 때에 홀로 관작의 영광을 사양하고 산림에 은거하였는데, 남긴 저술은 모두 옛 성인이 남기신 뜻을 연구한 것이고, 지은 문장은 또한 자신의 뜻을 드러낼 수 있는 말이었으니, 아아! 호걸의 자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선생의 성(姓)은 박씨(朴氏)고, 휘(諱)는 세당(世..

용재 이종준(慵齋李宗準)선생 시 2편.

■ 용제선생시2편(慵齋 先生詩二篇) [작자] 용재 이종준慵齋李宗準 [번역] 청계 조면희淸溪趙冕熙 [출전] 용재선생유고慵齋先生遺稿> 제침류정(題枕流亭) 고도명탄의구류, 풍림불개거년유. 古渡鳴灘依舊流, 豐林不改去年幽. 산개광막연봉호, 수포평전이조구. 山開廣漠聯蓬戶, 水鋪平田易釣鉤. 협로등연인식면, 관아당주고저두. 峽老登筵因識面, 官娥當酒故低頭. 사양면로혼무사, 사해창랑송객수. 斜陽眠鷺渾無事, 似解滄浪送客愁. [해설] 침류정 정자를 시제로 옛 나루 우는 여울물 예와 같이 흐르는데 풍성한 숲은 지난해의 깊숙함 그대로일세. 산자락이 널리 열리며 초가집들에 이었고 물은 평탄한 들판에 펼쳐져 낚시에 알맞네. 산골짜기 노인은 낯이 익다고 아는 체하고 관청에 기생은 짐짓 머리숙여 술을 따르네. 석양에 잠자는 해오라긴 너..

권용현선생 묘갈명(權龍鉉先生墓碣銘)

■추연선생 권공 묘갈명(秋淵先生權公墓碣銘) 우리나라 선비의 도학(道學)과 문장(文章)에는 간혹 품격에 차등이 있다. 따라서 그것을 모두 갖춰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은 사람은 그리 많지 않았다. 그런데 근세에 이르러 이 두 가지를 겸비한 사람이 있었으니, 그는 다름 아닌 故추연선생(秋淵先生) 권공(權公)이다. 공의 휘는 용현(龍鉉), 자는 문현(文見), 추연(秋淵)은 호이다. 권씨(權氏)는 안동(安東)이 본관이며, 시조(始祖)는 고려조(高麗朝)의 태사(太師) 휘 행(幸)이다. 그 뒤로 문탄공(文坦公) 일재(一齋) 휘 한공(漢功)과 충헌공(忠憲公) 유암(柳菴) 휘 중달(仲達)이 고려조에서 가장 저명(著名)하였다. 우리 조선조(朝鮮朝)에 들어 휘 준(濬)은 문과(文科)로 필선(弼善)을 지냈으며 한강(寒岡) ..

선원 김상용선생 신도비명

[譯文] ■ 충신의정부우의정선원선생김공신도비명 (忠臣議政府右議政仙源先生金公神道碑銘) 유명조선국 충신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우의정 겸 경연사 감춘추관사(有明朝鮮國忠臣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右議政兼經筵事監春秋館事) 선원선생(仙源先生) 김공신도비명(金公神道碑銘)과 서(序) 아우 숭정대부(崇政大夫) 행이조판서(行吏曹判書) 김상헌(金尙憲)은 찬술하고, 후손 가의대부(嘉義大夫) 사헌부대사헌(司憲府大司憲) 김광현(金光鉉)이 전액(篆額)을 새겼으며 문인(門人) 통훈대부(通訓大夫) 유시정(柳時定)이 글씨를 쓰다. 나의 형 의정공(議政公)은 휘(諱)가 상용(尙容)이며, 자(字)는 경택(景擇)이고 스스로 호(號)를 선원(仙源)이라 하였으며, 또한 풍계(風溪)라고도 한다. 선군(先君)이 좌의정 임당(林塘) 정부군(鄭府君:정유길)..

천태만상 족보위조

[역사추적] 천태만상 족보위조 "대한민국 양반님들, 당신의 족보는 진짜입니까?" 대부분의 한국인은 족보를 '모신다'. 17세기만 해도 극소수 양반들이 족보를 가졌는데, 그럼 그동안 양반가문만 엄청나게 번성했나? 18세기 인쇄술 발달과 신분상승을 위한 하층민달의 '반란'으로 시작된 족보위조. 현대 한국인의 족보는 어디까지 믿을 수 있을까? 백승종 서강대 교수· ------------------------------------------------------------------------------------------------------------------------------------- 이종표씨(이하 가명)는 제법 잘 나가는 건설회사 사장이다. 남도의 어느 시골 중학교 졸업 학력이 전부인 그는 일..

신비의 파라오 투탕카멘(Tutankhamun)

신비의 파라오 투탕카멘(Tutankhamun) 석기, 청동기, 철기시대와 같은 문명의 발전단계를 거치지않고 홀연히 출현한 나일강변의 문명은 이미 5천년 전에 완성된 문명으로 태어났던것이다. 1922년 11월 4일 영국의 고고학자 하워드 카터(Howard Carter)는 나일강의 서쪽 기슭 왕가의 계곡(Valley of the King)에서 이제까지 유일하게 도굴되지 않은 3300년전 이집트 제18왕조(BC1352~1343)의 파라오 투탕카멘(Tutankhamun)의 묘를 발견하였다. ↑투탕카멘의 유물 1300여 점을 전시한 과천국립과학관. 이곳에서 이집트 고고학자와 독일 고고학 기술진에 의해 재현된 실물크기의 복제 유물들을 2011년 10월 15일~2012년 5월 13일까지 장장 8개월간 전시되었다. ↑..

김육 신도비명(金堉神道碑銘)

↑영의정(領議政) 잠곡(潛谷) 김육선생 묘(金堉先生 墓) ↑영의정(領議政) 잠곡(潛谷) 김육선생 신도비(金堉先生 神道碑) 소재지 - 경기 남양주시 삼패동 산29-1 일원 ↑잠곡(潛谷) 김육선생 영정 이곳은 청풍김씨문의공파(淸風金氏文毅公派) 묘역으로 성균관(成均館) 대사성(大司成) 김식(金湜, 1482(성종 13-1520(중종 15), 영의정(領議政) 김육(金堉, 1580(선조 13)-1658(효종 9), 예조판서(禮曹判書) 김좌명(金佐明,1616(광해군 8)-1671(현종 12). 병조판서(兵曹判書) 김성응(金聖應, 1699(숙종 25)-1764(영조 40). 호조판서(戶曹判書) 김시묵(金時默, 1722(경종 2)-1772(영조 48)의 묘역이다. 김식(金湜)은 조선 중종 때의 문신으로 조광조(趙光祖)와..

유월장(踰月葬)

■ 유월장(踰月葬)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선생의《가례집람(家禮輯覽)》의 내용입니다.《주자가례(朱子家禮》와 《예기(禮記)》에도 유사한 내용이 있습니다. [註 天子七月止士踰月; 王制 天子七日而殯七月而葬 諸侯五日而殯五月而葬 大夫士庶人三日而殯三月而葬 註諸侯降於天子而五月 大夫降於諸侯而三月 士庶人又降於大夫故踰月也 今總云 大夫士庶人三日而殯此固所同然 皆三月而葬則非也 其以上文降殺俱兩月在下可知 故略言之歟 孔氏引左傳 大夫三月士踰月者 謂大夫除死月爲三月 士數死月爲三月 是踰月一月 故言踰月耳...中略] [士虞禮記疏 曲禮云 生與來日死與往日 謂殯殮以死日數也 大夫以上皆以來日數 若然士云三日殯三月葬 皆通死日死月數 大夫以上殯葬皆殊死日死月數 是以士之卒哭得葬之三月內 大夫三月葬除死月 通死月則四月 大夫有五虞卒哭在五月 諸侯以上以義可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