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익재이제현선생 90

익재난고 제1권 시(詩) 57편 - 이제현(李齊賢)

익재 이제현,1287년(충렬왕 14) ~ 1367년(공민왕 16) ■ 익재선생난고 서(益齋先生亂藁序) - 이색(李穡) 원(元) 나라가 천하를 차지하여 사해(四海)가 통일되자, 삼광(三光)ㆍ오악(五嶽)의 정기가 뭉치기도 하고 흩어지기도 하여 중화(中華)와 변원(邊遠)의 차이가 없었다. 이러므로 세상에 뛰어난 재주가 그 사이에 태어났는데 쌓고 쌓으며 정수(精粹)를 모아 문장을 만들어 한 시대의 성세(盛世)를 빛나게 하였으니 참으로 훌륭하다 하겠다. 고려의 익재 선생(益齋先生)은 이때에 태어났는데 성년이 되기도 전에 문장이 벌써 당세에 유명하였다. 이 때문에 충선왕(忠宣王)에게 소중히 여긴 바가 되어 모시고 따라가 있었다. 그리하여 왕의 문하에 놀던 원(元) 나라 조정의 대유(大儒)이며 진신 선생(搢紳先生)인..

익재난고 제3권 시(詩) 35편 - 이제현(李齊賢)

익재난고 [이제현 1288-1367년] 제3권 시(詩) 35편 1 측천(則天)의 능(陵)에서... 2 당 숙종(唐肅宗)의 능에서... 3 빈주(邠州)에서... 4 경주(涇州)의 도중에서... 5 경주(涇州)에서... 6 송도(松都)를 생각하여 여덟 경치를 읊다. 7 조나(朝那)에서 짓다. 8 금강산(金剛山)에서 절구 2수. 9 최수옹(崔壽翁)을 초청하다. 10 고풍(古風) 7수. 11 朴淵(박연). 12 감회를 쓰다 2수. 13 범려(范蠡). 14 식영암(息影菴)에서 전송하다. 15 무제(無題). 16 회안군(淮安君)이 출가(出家)했다는 말을 듣고 시를 지어 주다. 17 구월 십오일 새벽에 일어나 감회가 있으므로 학유(學諭) 윤여형(尹汝衡)에게 지어 주다. 18 박석재(朴石齋)ㆍ윤저헌(尹樗軒)의 은대집(..

이 익재 한시(李益齋漢詩)

익재 이제현 益齋 李齊賢(1287∼1367) [1] 簡李員外(간이원외 : 이원외에게 편지하다) - 李齊賢 吾生如寄耳(오생여기이) 우리의 삶은 더부살이지 方寸只君知(방촌지군지) 조그만 마음 그댄 알겠지 歲晩深期在(세만심기재) 나이 들어서 깊어진 바램 東歸定幾時(동귀정기시) 동쪽 돌아감 몇 때나 놓여 [2]書天壽僧院(서천수승원 : 천수승원에 적다. - 李齊賢 待客客未到(대객객미도) 손님 기다려 손님 아니 와 尋僧僧亦無(심승승역무) 스님을 찾아 스님도 없어 惟餘林外鳥(유여림외조) 오직 넉넉해 숲 밖에 새가 款曲勸提壺(관곡권제호) 정성에 굽어 술병 끌게 해 정성관 [3]招崔壽翁(초최수옹) 최수옹을 부르며-李齊賢 琴書一茅屋(금서일모옥) 거문고에 책 한 초가집에 高臥樂幽獨(고와락유독) 높이 누우니 즐김 혼자서 故人..

익재 이제현 詩 모음

■고려를 지킨 위대한 정치가요 대학자의 주옥 같은 명시 익재 이제현(益齋 李齊賢, 1287∼1367) 선생은 김해(오늘날의 마산, 창원, 진해 지역)에서 태어나 개성의 철동과 자남동의 죽림당에서 사시다 만년에는 지금의 산소 아래인 장풍군 십탄리 서원촌에 사시었다. 사후 선생께서 사시던 집터에다 1662년(현종 3) 서원이 건립 되고, 24년 후인 1686년(숙종 12)에 ‘道山(도산)’이라는 사액을 받아 선현배향(先賢配享)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 그 후 문헌 고증으로 보아 후손들과 전국 유림에서 1939년에 복설 계획을 추진 중건되었으나 6.25전란으로 소멸된 것으로 보인다. 익재(益齋) 선생의 시(詩)를 접하다 보면 한편의 詩속..

고려 문인 이제현

이제현(李齊賢)의 보타산(普陀山) 기행시(紀行詩) 연구(研究) 초록(한국어) 고려 문인 이제현『李齊賢 1287sus(충렬왕13) ~ 1367년(공민왕 16)』은 28세 때(1314) 원나라에 머물고 있던 忠宣王의 부름을 받고 燕京에 가서 30세 때 四川省 峨眉山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다녀왔으며, 이때 지은 시문들을 『西征錄』이라는 이름으로 펴냈다. 또 33세 때는 浙江省 普陀山에 황제의 香을 하사하러 가는 충선왕을 모시고 강남을 여행할 기회를 가졌다. 이때도 오가는 길에서 만난 승경과 고적을 시로 읊어 『行錄』 한 권을 지었다. 『행록』의 일부가 현재 그의 문집 『益齋亂藁』에 남아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이 작품들을 중심으로 강남 여행의 경로와 시세계를 분석하였다. 이제현은 燕京과 杭州 간의 京杭運河를 ..

도안근재(悼安謹齋)

■ 만(輓) 이제현(李齊賢) 내가 젊은 시절 날마다 종유한 이로는 / 益齋少日日相從(익재소일일상종) 오직 당지와 졸옹뿐이었네 / 只有當之與拙翁(지유당지여졸옹) 40년 사이 모두 죽어 버렸으니 / 四十年來俱物化(사십년래구물화) 홀로 눈물 흘려 서풍에 뿌리노라 / 獨將衰淚洒西風(독장쇠루쇄서풍) [註解] [註01] 만(輓) : 이 작품은 《익재난고》 권4에 〈도안근재(悼安謹齋)〉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계명대 소장 1432년(세종 14) 원주 간행본 익재난고와 역옹패설이 함께 2016년 2월 23일 정부에서 보물로 지정 되었다. [註02] 당지(當之) : 안축의 자이다. [註03] 졸옹(拙翁) : 최해(崔瀣, 1287~1340)로, 졸옹은 그의 호이며, 또 다른 호는 예산농은(猊山農隱)이다. 자는 언명보..

익재공 춘계향사[용인 향사 44년]

일시 : 2022. 05. 07(토) 장소 :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근삼리 산51 고려 말 익재 이제현 선생의 부자(父子) 묘역은 북측 개성에 소재하고 있어 선생의 묘역을 남북 분단에 따라 참배할 수 없어 용인의 7만 5천여평의 선대 성역 아래 단을 설치하여 전국의 후손들이 매년 이곳 에 모여 춘계 향사를 올리고 있습니다. 재정 경기교육감(좌) 과 필자 재정 경기 교육감(좌) 필자(우) 행사 종료후 점심 식사 위의 사진 출처 >전통의 명문 경주이씨 종친회

익재 이제현(益齋李齊賢)과 개성(開城) - 박지원(朴趾源)

■ 익재 이제현(益齋李齊賢)과 개성(開城) 이역만리들 떠돌던 이제현에게 개성은 특별한 장소였다. 나라의 수도여서 만은 아니었다. 개성은 이제현의 하루하루가 새겨진 일상의 공간이었다. “지난해 용산의 국화꽃 피었을 제, 손님과 함께 술병 들고 산에 올랐나니” 처럼 개성 팔경에는 소소한 일상의 풍경이 그려진다. 그에게 개성은 도성일 뿐 아니라 어린 시절을 보낸 고향이었다. 그런 이제현의 흔적이 돌연 수 백년 뒤 쓰인 ‘열하일기’에 등장한다. 연암 박지원은 중국을 여행하며 불쑥 이제현의 옛집 이야기를 꺼낸다. “익재의 무덤은 금천 지금리 도리촌에 있고, 그 밑에는 곧 익재의 구택이요, 구택에다 서원을 세워서 향례를 치르게 되었다. 나의 연암별업(燕巖別業)이 그 서원에서 십리도 안 되는 가까운 거리에 있다. (..

이제현 ‘익재난고’

작성일 : 2018. 06. 13 고전의 향연 이제현 ‘익재난고’ 한반도를 둘러싼 강대국들의 힘겨루기에 대한민국은 위태 위태 하다. ‘한반도의 봄’에도 어떤 변수가 발생할지 모른다. 이런 때일수록 강대국들을 이용하는 노련한 외교관이 필요하다. 고려 후기 문신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 1287(충렬왕 13)∼1367(공민왕 16)」 선생이라면 어떻게 하셨을까? □ 나를 돌아보니 ▲이제현 선생 유상(遺像). 《익재난고》 앞부분에 판각되어 있다. 초상화가 오래 보존되지 못할까 걱정되어 문집을 만들 때 새로 새겨 넣었다는 기록이 부기되어 있다. 홀로 공부하여 고루하였으니 도를 들은 것이 자연 늦었도다. 불행은 모두 자신이 만든 것 어찌 스스로 반성하지 않으랴. 백성에게 무슨 덕을 베풀었다고 네 번이나 재상이..

익제 선생 관련 논문 목록 - 논문 제목을 클릭하십시요

1.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연행(燕行)과 그 교육적 의의 최두진안암교육학회한국교육학연구19(1) 피인용 횟수 : 0 2. 李齊賢, 權漢功 그리고 朱德潤 - 高麗後期 性理學 受容期의 人物에 대한 새로운 理解 - 장동익퇴계연구소영남학(49) 피인용횟수 : 2 3. 고려말 性理學과 李齊賢의 수용 과정 박현규우리한문학회漢文學報13(1) 피인용횟수 : 0 4. 李齊賢의 蘇軾 豪放詞의 변용 考 이태형박미숙한국시가문화학회한국시가문화연구(25) 피인용횟수 : 6 5. 이제현의 「김공행군기」와 『태조실록』 「총서」의 고려말 이성계의 전투 기록과의 비교 분석 -중세 전쟁사 기술의 원형 찾기와 그 응용- 윤훈표역사실학회역사와 실학(63) 피인용횟수 : 0 6. 익재 이제현 묘지명의 서술자 변이 양상 윤상림동양고전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