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벽오 이시발선생 25

벽오 문헌 - 碧梧遺稿

自敍(자서)/스스로 자술함 生以隆慶己巳。六歲失所怙。就學于釜項孫生員希哲。卽外祖母之弟也。且學于辛應珪。又學于西溪李義城。十九有室。娶于閔家。戊子秋。鄕試居。監試,進士試魁。又中生員試。又中東堂第三。罷榜不赴會試。己丑春。中鄕試進士試。又中文科初試。其年四月。中覆試登第。五月。唱榜。六月。補槐院。九月。下鄕不仕。仍授心經于李西溪讀之。又讀近思錄,朱書等。庚寅夏。還仕槐院。辛卯春。爲假注書。壬辰亂初下鄕。秋。從事於義兵陣。將則朴富平春茂也。癸巳夏。赴行在所。時大駕駐江西。抗疏請回鑾漢都。兩司因以論請。遂回鑾于京城。秋。天將幷班師。留駱摠兵及劉摠兵,吳摠兵等。鎭守南邊。上命選文官之他日可合將才者爲接伴。鼇城擧余膺選。卽往慶州。隨駱將留數月。甲午春。天兵盡撤回。余到京。已爲翰林薦矣。余以承文著作爲檢閱。駱摠兵有稱譽于上前。因有陞敍之命。卽出六品爲典籍。隨駱將到義州。送行而回。中路聞爲書狀..

이시발 신도비(李時發神道碑)

신도비(神道碑)란? 예전에 임금이나 종이품 이상 벼슬아치의 무덤 앞이나 근처 길목에 세워 죽은 사람의 행적(行跡)을 기리는 비석을 이르던 말이다. 『쌍오비각(雙梧碑閣)』 현판(懸板) 비각안에는 두 개의 신도비가 모셔져있는데 좌측의 조금 작은 비가 오촌 이대건『梧村 李大建,1550 ~1574)』 신도비이고 우측의 큰 신도비가 그의 아들 벽오 이시발『碧梧 李時發, 1569년(선조 2)∼ 1626년(인조 4)』 의 신도비입니다. 충북 유형문화재 제142호 오촌 이대건(梧村 李大建)과 벽오 이시발(碧梧 李時發)선생 부자(父子)의 신도비각을 『쌍오비각(雙梧碑閣)』이라 합니다. 부자(父子)의 호(號)에 똑같이 梧(오)자가 들어 있는 것은 두분이 살았던 청주 梧根里(오근리/지금의 장대리)와의 연고 때문 입니다. 벽오..

碧梧夫人 申氏 墓表 – 우암 송시열

■ 정경부인 고령신씨 묘표음기 – 우암 송시열 (貞敬夫人 高靈申氏 墓表) 생졸년 : 1590년(선조 23) ~ 1661년(현종 2)/壽72歲 친구 이군미(李君美: 춘전 이경휘의 자) 형제는 일찍 아버지를 여의었으나 학문(學問)에 조예(造詣)가 깊었다. 사람들은 그 어머니의 가르침이라고들 하였다. 이미 모두가 대과(大科)에 급제(及第)하여 모두 대부(大夫)가 되었다. 사람들은 그 어머니의 복(福)이라고들 말하였다. 이미 군미형제(君美兄弟)는 의(義)로서 임금을 섬기고 몸가짐을 법도(法度)에 맞게 하여 세상(世上)에서 이름난 사람이 되었다. 그러하니 사람들은 또 입을 모아 말하기를 아아! 그 어머니의 슬기로움이 이렇게 되게 하였다고 하였다. 그 슬기로움과 어리석음의 징험(徵驗)을 어떤이는 여러 사람들이 헐뜯..

접반사 이시발이 서계 진 유격과 소서행장의 접촉에 대하여 아뢰다.

선조실록 60권, 선조 28년 2월 10일 癸丑 6번째기사1595년 명 만력(萬曆) 23년 접반사 이시발이 서계로 진 유격과 소서행장의 접촉에 대하여 아뢰다. 진 유격(陳遊擊)의 접반사 이시발(李時發)이 서계(書啓)하였다. "정월 12일에 일찌감치 진 유격을 따라 유천(楡川 : 오늘날 전북 남원)에서 출발하여 밀양(密陽)을 지나 김해(金海)에 정박 하였는데, 죽도(竹島)의 진영에 있는 소장(小將)이 배 위에 와서 보고 식사를 청하여 그대로 그곳에서 잤습니다. 그 진영의 기지는 넓이가 평양 정도나 되었는데, 3면이 강에 임해 있으며 목성(木城)으로 둘러쌓고 토성(土城)으로 거듭 쌓은 다음 안에는 석성(石城)을 쌓았으며, 높고 웅장한 누각은 현란할 정도로 화려하고 크고 작은 토우(土宇)가 즐비하게 늘어서 있..

벽오유고 규장각 본(碧梧遺稿 奎章閣 本)

■ 벽오유고 규장각 본(碧梧遺稿 奎章閣 本) ◇소장처 : 규장각 ◇청구기호 : 청구기호 奎 15711 ◇원서명 : 벽오유고(碧梧遺稿) ◇저자 : 이시발 저(李時發 著/조선(朝鮮) ◇판사항 : 필사본(筆寫本) /간지(刊地) : 미상(未詳) /간자(刊者) : 미상(未詳)/간년 : 17世紀以後, 後寫)/ 권수 1 冊(92張) ◇책 크기 : 30cm × 20.4cm ------------------------------------------------------------------------------------------------------------------------------------- 자료의 전 반적 성격 李時發『1569년(선조 2) ~ 1626년(인조 4)』의 遺稿集 내용주기 계소 차(啓疏箚)..

벽오 이시발(碧梧 李時發)의 학문과 삶

벽오 이시발(碧梧 李時發)의 학문과 삶 이시발『李時發,1569년(선조 2) ~ 1626년(인조 4)』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字)는 양구(養久), 호(號)는 벽오(碧梧). 후영 어은(後潁漁隱), 진사(進士) 이대건(李大建)의 아들이고, 이덕윤(李德胤)의 문인(文人)이다. 1589년(선조 22) 증광 문과 병과로 급제 승문원(承文院)에 제수(除授) 되었으나 스스로 학업이 완성되지 않았다고 생각하고 이덕윤(李德胤)에게 나아가 경적(經籍)을 더욱 연구한 뒤 벼슬길에 나왔다. 어릴 적부터 경학(經學=유교의 경전)을 중심으로 학문의 바탕을 삼았고. 시경(詩經)에서 성정을 함양하고 서경(書經)을 통해 정치철학을 배우고 주역(周易)을 통해 우주의 섭리를 배우고 예기(禮記)를 통해 사회 규범을 배우고 춘추(春秋)를..

벽오공 묘역 - 이미지

오촌공 이대건(좌)과 배위 안동김씨 묘/사진규격 : 703 x 361 벽오공 묘/사진규격 : 706 x 378 이시발 묘표/사진구격 : 500 x 874 이시발 묘역 후경/사진 규격 : 764 x 297 오촌공 묘 /사진 규격 : 465 x 262 정경부인 고령신씨 묘/사진크기 : 703 x 352 고령신씨 묘의 동자석/사진크기 : 492 x 880 고령신씨 묘 동자석.사진크기 : 495 x 870 고령신씨 망주석/사진크기 : 495 x 870 이인환 묘/사진규격 : 706 x 370 망주석/사진규격 : 488 x 870 쌍오비각 쌍오비각 / 사진 규격 : 764 x 362 사진규격 : 717 x 320 신도비문 벽오 이시발 선생 신도비각 건립전의 모습(1980년) / 사진규격 : 764 x 573 증 ..

계유사마동방계회첩(癸酉司馬同榜契會帖)

계유사마동방계회도(癸酉司馬同榜契會圖) 작자미상, 크기 : 27cm × 36cm, 종이에 먹. 이 그림은 계유년[癸酉年, 1573년(선조 6)]에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한 사람들이 30년 후에 ‘동기모임[契會]을 갖는 장면을 그린 것이다. 사마시는 진사와 생원을 뽑는 시험이고, 동방(同榜)이란 함께 합격한 사람, 즉 동기를 일컫는다. 따라서 ‘계유사마동방계회’는 1573년의 사마시에서 진사와 생원으로 뽑힌 사람들의 ‘동기회’인 셈이다. 사마시에서는 생원과 진사 각각 100명씩, 총 200명을 선발한다. 이 모임은 당시 안동도호부사로 있던 홍이상[洪履祥, 1549(명종 4)~1615(광해군 7)]의 제안으로 1602년 10월 16일에 안동도호부 관아에서 열렸다. 이 회합에는 관직에 있던 7명과 관직이 없었던..

계유사마동방계회도(癸酉司馬同榜契會圖)

계유사마동방계회도(癸酉司馬同榜契會圖)’ ↑계유사마동방계회도(癸酉司馬同榜契會圖) 1573년(선조 6) 계유년에 치러진 사마시(司馬試)에 급제한 사람들이 30년 뒤인 1602년(선조 35) 10월 16일, 안동에서 계회(契會)를 할 때의 광경을 그린 그림이다. 사마시는 조선시대 성균관에 입학할 자격을 부여하는 것을 본래의 목적으로 실시한 과거로 소과(小科)라고도 한다. 관리 임용을 위한 문과[文科=大科]와는 성격이 달랐다. 생원・진사 두 시험 중에 진사시를 먼저 하고, 하루 지난 뒤에 생원시를 하기 때문에 흔히 진사시를 감시 초장(監試初場)이라 하고, 생원시를 감시 후장(監試後場)이라 하였으며, 이때 한 사람이 생원·진사 두 시험에 응시할 수 있어서 두 시험에 모두 합격하는 사람이 적지 않았다. 그림을 살펴..

오촌공파 묘역

↑증 숭정대부 의정부좌찬성 성균진사 이대건선생(좌)과 정경부인 안동김씨 묘(우) ↑형조판서 벽오 이시발선생(좌)과 정경부인 여흥민씨 묘(우) 소재지 : 충북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 산21-3번지 ↑쌍오비각(雙梧碑閣) : 충청북북 지방 유형문화재 제142호 좌측비가 오촌 이대건 신도비이고 우측은 아들 벽오 이시발 신도비이다. 소재지 : 충북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 192-11번지 ↑벽오 이시발선생 계배 정경부인 고령신씨 묘 ↑정경부인 고령신씨 묘표 ↑정경부인 고령신씨 묘의 문인석 ↑정경부인 고령신씨 묘의 망주석 ↑2016년 11월 04일 금요일 시제 기념촬영 ↑증 이조참판 이경연과 배위 증 정부인 청송심씨 합장 ↑증 정부인 청송심씨 묘표 ↑이조참판 생곡 이인환 묘 ↑이조참판 생곡 이인환선생 묘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