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지리지(地理志) 37

황해북도 장풍군 십탄리 개요.

작성일 : 2022. 4. 17. 00:43 ■황해북도 장풍군 십탄리 개요. 황해북도(黃海北道) 장풍군(長豊郡) 1읍 23리의 하나. 군의 중심에 위치해 있는 리. 북쪽은 세골리. 구화리(九化里). 동쪽은 국화리(國化里). 남쪽은 고읍리(古邑里). 서쪽은 장풍읍(長豊邑)과 접해 있다. 1952년 군면리 통폐합에 따라 황해도(黃海道) 장풍군(長豊郡) 소남면(小南面)의 두곡리. 지금리(知琴里)를 병합하여 장풍군에 신설한 리(里)로서 북우천에 10개의 여울이 있다하여 십탄리(十灘里)라 하였는데, 1954년에 황해북도 장풍군 십탄리로 되였다가 1960년에 개성시 장풍군 십탄리로 개편 되었다. 1967년에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세골리에 편입하였다. 이 지역은 아호비령 산줄기에서 뻗어 내린 지맥이 놓여 있어 대부분..

용산 언덕 국방부 터는 원래 공동묘지터였다.

작성일 : 2022. 3. 22. 09:06 [한겨레] 노형석 입력 2022. 03. 22. 09:06 대통령 집무실 이전 논란과 국방부 청사 땅의 역사 ◇일 방위성의 강점기 자료 보면 ◇국방부 일대 '무덤터' 표시 뚜렷 ◇밀어버리고 일본군 주둔지로 ◇근처 데라우치 총독 관저 설치 ◇원래 사령관 관저 터인데 바꿔 ◇'국방부→대통령실' 현재와 닮아 ▲1906년 일본 군부가 기지 조성을 위해 지금의 서울 용산구 일대에 있던 조선인 마을과 무덤 등 의 현황 등을 조사해 만든 ‘한국 용산 군용수용지 명세도’. 용산 지역사 연구자 김천수씨가 2017 년 일본 방위성 문서고에서 확인한 희귀자료다. “거긴 불과 100여년 전까지도 무덤들이 산을 이룬 곳이었어요.” 뜻밖의 증언이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국민과 소..

쌍책면 마을 유래

작성일 : 2021. 11. 21. 00:57 ■경남 합천군 쌍책면 마을 유래. ●내촌 : 황강변에 위치하여 자연경관이 수려하며 관수정, 황강정이 있다. 문화류씨 법성선생의 유적비가 있으며 15세기 중엽 법성선생이 심은 느티나무는 아직까지도 주민들의 피서지로 이용되고 있다. ◉외촌 : 쌍책면의 소재지로 남쪽으로 흐르는 황강변(黃江邊)에 위치하고 있으며, 옛날 가야시대부터 사람이 살았 던 문화유적지가 많은 곳으로 현재 합천박물관이 소재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조선시대에는 초계군 초계면에 속하였으며 문화류씨가 610년 전에 세거하였다. ●외촌,밤마 : 밤마라는 지명은 중심지에서 떨어진 바깥마을이라는 뜻에서 예전부터 구전되어 내려오는 듯 하고, 120년 전에 심었다고 전해지는 정자나무는 주민들의 휴식처로 이..

高靈郡邑誌-1899년 간

작성일 : 2018. 08. 05 高靈郡邑誌-1899년 간 [地圖] [目錄] 高靈郡邑誌 : 高靈郡邑誌, 建置沿革, 郡名, 姓氏, 官職, 俸廩, 公廨, 樓亭, 題詠, 碑板, 倉庫, 田賦, 軍額, 坊里, 戶口, 風俗, 形勝, 土産, 祠廟, 校院, 名山大川, 佛宇, 堤堰, 橋梁, 林藪, 驛院, 烽燧, 場市, 陵墓, 古蹟, 人物, 名宦, 孝子, 烈女 내용 및 특징 1899년에 편찬된 경상북도 고령군 읍지이다. 읍지 내에 정확한 편찬 연기(年紀)가 기록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표지에 ‘경상북도고령군읍지(慶尙北道高靈郡邑誌)’로 쓰여 있는 것으로 보아 13도제 개혁이 이루어진 1896년 이후에 편찬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읍지의 책 크기, 종이 재질, 판식이 1899년 편찬된 읍지들과 유사하며, 대한제국기..

지구 자기장 42억년 전에도 작동

지구 42억년 전에도 지금처럼 강한 자기장(磁氣場) 작동 [연합뉴스]엄남석 기자 2020.01.21. 11:05 지르콘 결정체서 확인..지구 초기 물·대기 보존 역할 ↑10센트 동전과 비교한 지르콘 결정체 크기 [로체스터 대학 존 타두노 제공]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지구를 우주 방사선과 태양풍으로부터 지켜주는 자기장(磁氣場)이 약 42억년 전부터 작동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지구가 형성되고 약 3억5천만년밖에 안 된 시점으로 지구 자기장의 역사를 7억5천만년가량 더 끌어올리는 것이다. 자기장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지구는 물과 대기를 유지하지 못해 화성처럼 되고 만다. 미국 로체스터대학교에 따르면 이 대학 지구환경과학과 존 타두노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호주 잭힐에서 발견된 지르콘 결..

경상감영(慶尙監營)

경상감영(慶尙監營)은 조선의 지방 행정의 8도제하에 경상도(慶尙道)를 관할하던 감영(監營)이다. 오늘날의 도청(道廳)과 같은 역할을 했다. 조선초기에는 경주(慶州)에 소재하던 것이 상주(尙州), 팔거현, 달성군, 안동부 등지를 옮겨 다니다 선조34년(1601년), 관찰사 김신원(金信元) 때, 최종적으로 대구로 이전되어 정착하였다. 이후 고종(高宗) 33년(1896년) 갑오개혁으로 지방행정을 13도제로 개편한 뒤에도 경상북도(慶尙北道)의 중심지였다. 1910년 경상북도청사로 개칭하였다. 1966년 경북도청을 포정동에서 산격동으로, 2016년에는 안동시로 신축 이전하여 현재에 이른다. 2017년 4월 26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538호 대구 경상감영지로 지정되었다 ↑관찰사의 집무실 선화당(宣化堂) 선화당(宣化..

신증동국여지승람 제5권 - 개성[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신증동국여지승람은 55권 25책으로 구성되어 있는 목활자본이다. 원래의 《동국여지승람》은 1481년 50권으로 완성했다. 이 책은 1485년 김종직 등에 의해, 1499년 임사홍·성현 등에 의해 2차에 걸쳐 교정과 보충이 이루어졌고 중종 대에 새로 증보하였다. 권별 수록 내용은 권1·2는 경도 상·하, 권3은 한성부, 권4·5는 개성부 상·하, 권6~13은 경기도, 권14~20은 충청도, 권21~32는 경상도, 권33~40은 전라도, 권41~43은 황해도, 권44~47은 강원도, 권48~50은 함경도, 권51~55는 평안도이다. 경도 앞에는 , 각 도의 첫머리에는 도별 지도가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조선 전기의 사회와 지역 사정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조선 전기 지리지의 ..

남포현(藍浦縣)

남포현(藍浦縣)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에 설치된 조선시대 지방 관청이자 행정구역의 명칭. [개설] 남포현(藍浦縣)은 충청도 공주 목에 속한 현(縣)이다. 통일신라시대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15세기에는 호수가 180호, 인구가 949명이었다. 군정은 시위군(侍衛軍) 2명, 진군(鎭軍) 17명, 선군(船軍) 61명이었다. 1895년(고종 32)에 군으로 승격되었다. 1914년에 충청남도 보령군 남포면으로 편성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삼국시대에 남포현은 백제의 사포현(寺浦縣) 이었다. 통일신라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치고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지역인 서림군(西林郡)의 속현으로 삼았다. 고려시대에는 1018년(고려 현종 9)에 지금의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에 해당..

고령 옛지도 - 1872년

고령군읍지(규 10830) 규장각 소장 『고령군읍지』(1899년, 奎 10830)에 수록된 경상도 고령군의 지도이다. 서쪽을 위로 그렸으며, 남북이 길게 표현되어 있는 지도이다. 지도의 하단에는 현의 동서를 흐르는 낙동강(洛東江)이 표현되어 있으며, 그 상단으로 읍의 주요한 시설들 및 읍재의 면들이 표현되어 있다. 읍치가 따로 회화적으로 표현되어 있지는 않으며, 건물들이 다수 있음을 보여주는 그림들 가운데 글자로 읍치가 표기되어 있다. 읍치의 남쪽으로 항교, 사직단, 성황당이 모여 있으며 서쪽에 여단이 자리 잡고 있어 전반적으로 주요한 건물들이 읍치 주변에 모여 있었음을 보여주어 전반적인 고령의 읍 사정을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양선비) 경상도읍지(규666)-고령 규장각 소장 『慶尙道邑誌』(1832년..

송도(개성) 지도

송도지(규4983) - 송도폭원도 1782년 간행 『송도지』 〈奎 4983〉에 수록된 송도폭원도(松都幅員圖). 개성부(開城府) 일대를 그린 것으로 북쪽을 위쪽으로 한 지도이다. 지도 가운데 부분에 개성부의 진산(鎭山) 송악(松岳)과 남쪽 용수산(龍峀山)을 연결하는 외성(外城, 羅城)을 선으로 그리고 오정문(午正門) 등 6문의 이름을 적었다. 다시 그 안에 내성(內城)을 그리고 남대문을 표기하였다. 외성 외곽 동남쪽으로 장단계(長湍界)와 풍덕계(豊德界), 서쪽에 금천계(金川界)라고 하였고, 지도 왼쪽의 예성강(禮成江)에는 벽란도(碧瀾渡)와 이포(梨浦)·전포(錢浦) 등이 표기되어 있다. 윗부분에 제석산(帝釋山)과 성거산(聖居山) 등 여러 산과 봉(峯)·현(峴)들이 그려져 있는데, 동북쪽에 중영(中營)이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