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 1744

李相卨 議政府參贊에 임명하다.

法部協辦 李相卨을 議政府參贊 1905년(乙巳, 1905, 淸 德宗 光緖 31年, 日本 明治 38年) 11月 2日(木) ---------------------------------------------------------------------------------------------------------------------------- 光武 9年 11月 2日(木) 太醫院卿 李愚冕·議政府參贊 閔衡植·侍從院副卿 趙鼎九를 依願 免官하고 法部協辦 李相卨을 議政府參贊, 秘書監卿 金思轍을 太醫院卿, 正二品 李愚冕을 秘書監卿, 平壤郡守 李承載를 宮內府特進官, 從二品 韓鎭稷을 侍從院副卿에 任命하다. [출전] ◇日省錄 光武 9年 10月 6日 ◇承政院日記 光武 9年 10月 6日 ◇高宗實錄 光武 9年 11月 2日 ◇官報..

재미있는 족보세계(팔고조)

손바닥 크기 휴대용 족보 世系… 현재의 신분증 팔고조도' 아버지·어머니의 고조대까지 16명 기록… 생명중요성 일깨워 조선시대 당쟁서 나온 당색보(黨色譜)… 남인 남보·북인 북보로 나뉘어졌다. 재미있는 족보세계 사가(私家)의 족보편찬은 17세기 접어들면서 활발하게 이뤄졌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며 명문가가 몰락하는 대신 신흥세력이 대두해 족보를 경쟁적으로 만들기 시작한 때문이다. 전란으로 인한 재정부족을 충당하기 위해 국가에서 공명첩을 팔고 공을 세운 노비에게 노비의 신분을 벗어나게 해주는 군공면천(軍功免賤)이 실시되면서 신분질서가 해이해졌다. 이를 틈타 명문가는 가문의 명예를 지키고자 족보를 보강했고 신흥세력은 미천한 가계를 은폐하고 가문의 품격을 높이기 위해 족보를 위조하기도 했다. 성봉현 충남대..

충렬공 김방경 묘비문/이시발

고려 선충협모 정란정국공신 벽상삼한삼중대광 상락충렬공김방경묘지 (高麗 宣忠協謀 靖難定國功臣 壁上三韓三重大匡 上洛忠烈公金方慶墓誌) 이시발 찬 안동김씨의 가계는 신라 경순왕에서 나왔다. 공은 15세손인데 고려시대에 나서 고종, 원종, 충렬왕조에 벼슬하여 공훈(功勳)이 무성하게 드러나고 고금에 크게 떨쳤음이 국사(國史)와 행장(行狀)에 실려 있어 뚜렷하게 살필 수 있다. 잠시 그 뚜렷이 드러난 것만을 모아 말한다면, 충직(忠直)하고 신후(信厚)함은 천성(天性)에서 나왔으며, 행동을 절제하였고 부지런하고 검소하고 과묵하였으며, 조정에서 복무할 때는 충성을 다하여 나라를 받들었고, 전투에 나아가서는 법도가 있어 싸우면 이기고 공격하면 취했으니, 진도 싸움과 일본 정벌 등이 그 대략이다. 그 뒤로 내 ․외손들의 종..

광산김씨 김효로선생 묘갈명/안동입향조

■광산김씨 김효로선생 묘갈명 광산김씨 예안파(光山金氏 禮安派) 파조로 안동 입향조이다. 증 가선대부이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휘 효로 묘갈명. (贈 嘉善大夫吏曹參判 兼 同知義禁府事 諱 孝盧 墓碣銘) 통정대부(通政大夫)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 지제교(知制敎) 이황(李滉) 찬(撰) 공(公)의 휘(諱)는 효로(孝盧)요. 자(字)는 순경(舜卿)이니 광산인(光山人)으로 고려(高麗)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 광존(光存)의 후손(後孫)인데 지성공(知省公) 이하로 대대로 현달(顯達)하였다. 조(祖)의 휘(諱)는 숭지(崇之)니 목청전(穆淸殿) 직(直)으로 사복시정(司僕寺正)을 추증(追贈) 받았고, 고(考)의 휘(諱)는 회(淮)니 음성현감(陰城縣監)으로 병조참의(兵曹參議)를 추증 받았다. 공(公)이 어려서 부모를 여의자 ..

의성 단구서원

[소 재 지]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분토1리 457 [배향인물] 신적도(申適道) 신달도(申達道) 신열도(申悅道) 신 채(申 埰) [창건연도] 1858년(철종 9) [향 사 일] 4월 5일(한식) ------------------------------------------------------------------------------------------------------------------------------------------- [연 혁] 350여년전 능주목사를 지낸 신열도(申悅道)가 이 마을을 개척하고, 그 후 신석우라는 선비가 단구서당을 지어 후학을 가르치어 단구라는 지명이 불리워졌다. 이 서원은 정묘, 병자호란시에 신적도(申適道), 신달도(申達道), 신열도(申悅道) 형제의 창의정신과 ..

상락군 김묘 문과등과혹

■ 김묘(金昴) ●문과시(文科試) [고려문과] 충숙왕(忠肅王) 2년(1315) 을묘(乙卯) 을묘방(乙卯榜) 을과(乙科) 2위(2/33) ----------------------------------------------------------------------------------------------------- ●인물요약 [본관] 안동(安東[舊])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선발인원] 33명 [관직] 상락군(上洛君) ●가족사항 [부] 김승택(金承澤) [조부] 김선(金愃) [증조부] 김방경(金方慶) [외조부] 김혼(金琿) [처부] 민사평(閔思平) /본관 : 여흥(驪興)【 [출전] 《등과록 전편(登科錄前編)》(하버드옌칭도서관[K 2291.7 1747.4a])

상락군 김묘의 처 여흥군부인 민씨 묘지명

상락군 김묘의 처 여흥군부인 민씨 묘지명(上洛君 金昴의 妻 驪興郡夫人 閔氏 墓誌銘) [고려문과]金昴 : 충숙왕(忠肅王) 2년(1315) 을묘(乙卯) 을묘방(乙卯榜) 을과(乙科) 2위(2/33) ---------------------------------------------------------------------------------------------------------------- ■ 여흥군부인 민씨 묘지명(驪興郡夫人閔氏墓誌銘) 이색(李穡) 찬(撰) 나의 벗 김구용(金九容)씨가 금년 윤 5월 갑진(甲辰)에 그의 어머니 여흥군부인 민씨(閔氏)를 조모 김씨(金氏)의 무덤 곁에 장사하였는데, 거리가 십 몇 보나 되었다. 그리고 그의 아들 참군사(叅軍事) 명선(明善)을 보내어 명(銘)을 구하였는데, ..

흥양이씨 가첩 발문(興陽李氏家牒跋文)

■ 상주 청리(尙州靑里)의 흥양이씨가첩 발문(興陽李氏家牒跋文) 정경세(愚伏 鄭經世, 1563∼1633) 찬(撰) 나의 벗인 이준(李埈)이 자기 선대(先代)들의 계통을 죽 늘어 쓰기를 마치 사마천(司馬遷)의 세가(世家)의 예와 같이 하였는데, 더욱더 상세하게 쓰고는 이름을 붙이기를《흥양이씨가첩》이라고 하였다. 이는 대개 한 집안의 역사책을 만들어 후손들에게 남겨 주기 위한 것이다. 다 완성하고는 나에게 보였는데, 내가 그것을 받아 다 읽어 본 뒤에 탄식하면서 말하기를, “아, 우리 동방에는 문헌(文獻)이 부족하여 후인들에게 가르침이 되기에 충분할 만큼의 좋은 계책과 아름다운 행실을 한 사람이 있어도 대부분 민몰되어 전하지 않는다. 에 몇 세대만 지나가고 나면 그 자손들조차도 이미 아는 사람이 없게 된다. ..

박은 신도비명(朴訔 神道碑銘)/반남인

평도공(平度公) 휘(諱) 은(訔) 신도비명 박세채(朴世采) 찬 우리 9대조 좌의정 금천부원군 평도공(左議政錦川府院君平度公)은 영락(永樂) 20년 세종 4년(1422)에 서거하시어 양주(楊州) 치소 남쪽 중량포(中良浦)에 장사지냈다. 75년 뒤인 홍치(弘治) 9년 병진년 연산군 때에 그 산이 나라의 쓰는 바가 되었기에 마침내 8월 임진일에 광주(廣州) 치소 북쪽 고다기리(高多岐里) 계좌(癸坐) 정향(丁向)의 언덕으로 묘를 옮겨 부인의 묘와 함께 쌍분(雙墳)이 되었다. 공의 휘(諱)는 은(訔)이요, 자(字)는 앙지(仰止)며 호(號)는 조은(釣隱)이다. 박씨의 세계(世系)는 신라 시조인 혁거세(赫居世)에서 나왔다. 신라가 망한 뒤 후손들이 여러 읍에 흩어져살았는데 나주(羅州) 반남현(潘南縣)을 얻은 이가 공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