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선조문집 141

설정집(雪汀集) - 이흘(李忔)

필자 소장본 > 1971년 광주(光州)에서 간행된 재간본(再刊本)이다. 19cm × 27cm 1820년(순조 20) 간행(청주 신항서원에서 간행) / 크기 : 20.5cm × 32cm 조선 후기의 문신 이흘(李忔)의 시문집[1820년 초간본]. [세계] 국당공 후 문정공파 조선 시대 설정(雪汀) 이흘『李忔, 1568년(선조 1)~1630년(인조 8)』의 문집이다. 1820년(순조 20) 이흘의 6대손 이환(李鍰)이 6권 3책 목활자본으로 청주 신항서원에서 편집· 초간(初刊)하였다. 권두에 송치규(宋穉圭)의 서문, 권말에 6대손 이환·이황(李鎤)·이석(李錫) 등의 발문이 있다. 그후 1971년 술암(述菴) 송재성『宋在晟, 1902년(광무 6) ~ 1972년)』의 서문과 함께 전남 광주에서 재간(再刊)하였다..

栗亭先生逸稿 - 이표(李標)

필자 소장본 [저자] 이표(李標) [세계] 경주이씨 판전공파 [진사] 영조(英祖) 39년(1763) 계미(癸未) 증광시(增廣試) [진사] 3등(三等) 51위(81/100) [합격연령] 39세(歲) [생졸년] 1725年(英祖1)~1789年(正祖13) [간행연도] 1955년 來源 : 韓國歷代文集叢書 No. 2492 栗亭先生文集(栗亭先生逸稿) 刻本 : 抄本 著作時代 : 朝鮮時代 後期 序·編·跋 著者 : 序-李鐸(1949)․權丙洛, 跋-李錫欽(1949), 書後-柳奭佑(1954), 後識-李鴻集(1955), 小識-李圭璇 [해제] 『율정집(栗亭集)』은 조선후기의 학자 이표(李標 ; 1725~1789)의 시문집이다. 이표의 자는 휴경(休卿), 호는 율정(栗亭),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이 책은 1950년 6세손 규태..

노사영언(魯史零言)

20.2×32.2cm 저술자의 손자 이시현(李時顯)의 장서인이 있는 백사 이항복(白沙 李恒福) 著, 1673年 刊 목판본 『노사영언(魯史零言)』의 끝 책(卷30)이다. 백사 이항복(白沙 李恒福) 著, 1673年 刊 목판본 『노사영언(魯史零言)』 卷30 한 책으로 권두에 저술자의 손자인 이시현(李時顯)의 장서인이 있으며 양질의 한지에 인출은 매우 선명하다. 앞 10여장 상단 일부 얼룩 , 책끈 일부 풀림 외 기타 보존 상태 아주 양호하다. 책의 20.2×32.2cm 이다. 이시현『李時顯. 1622(광해군 14)∼1678(숙종 4)』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월성(月城). 자는 사영(士榮). 영의정 항복(恒福)의 후손으로 부사 성남(星男)의 아들이다. 1659년(효종 10) 병조판서 송준길(宋浚吉)의..

우가헌유고(尤可軒遺稿)

35世 이정영(李鼎榮,1789~1860)은 조선 후기의 학자로 본관은 경주이고, 밀직공(密直公) 이창로(李彰路)의 후손이다. 충남 보령 주산 동오리에 살았다. 호는 우가헌(尤可軒)이다. 어려서부터 문학에 뜻을 두고 자라서는 난국재(蘭菊齋) 이예환(李禮煥)의 문인으로 수업하여 남당학파의 성리학을 따랐다. 고종조에 학행으로 동몽교관에 올랐으며, 문집인 우가헌유고가 있다.그의 아들 이규덕(李圭悳)이 문과에 급제해서 정언 벼슬을 역임했다. 우가헌유고(尤可軒遺稿)는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1년에 4권 2책(冊)으로 간행한 그의 시문집(詩文集)이다. [내 용] 4권 2책. 목활자본. 1911년에 손자 종경(鍾卿)·종대(鍾大)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복한(金福漢)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신장(申棖)과 종..

동강집 서(桐江集 序)

동강(桐江) 이송제(李松齊) 선생의《동강집(桐江集)》의 서문(序文)은 통정돈녕부도정(通政敦寧府都正)을 역임한 허온(許蘊) 선생이 撰하고 書한 의 序文으로 몽적분약(蒙赤奮若,乙丑. 1925年)에 쓴 것입니다. 동강 이송제 선생의 묘는 전남 영암군 영암읍 망호리 방죽굴 월재공 묘소위에 모셔져 있는 학생공의 현손으로 문집으로 桐江集이 있습니다. 생전에 전각 글씨를 잘 쓰셨으며 김수항의 문집에도 " 낭주 이송제가 찾아오다" 라는 시를 남기기도 했습니다. 우암 송시열 선생께서 영암 망호리 마을에 들렸을떄, 서당에 계셨던 방 선조이신 낭주 이송제에게 동강일사 부한구정 이란 여덟글자를 병풍에 써 주셨다는 이야기도 오늘날 전해지고 있습니다. ■동강집 서(桐江集 序) 허온(許蘊) 찬(撰) 낭주(朗州)는 영암(靈巖)의 옛..

서계집(西溪集) - 이득윤(李得胤)

한국문집총간(속) 제8집/ 간행처 >한국문집총간(속) 제8집 ●형태서지 권수제 서계선생문집(西溪先生文集) 판심제 서계선생문집(西溪先生文集) 간종 활자본(木活字) 간행년도 1833년 간행 권책 4권 2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22.0×16.2(cm) 어미 上下三葉花紋魚尾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도서번호 한46-가893 총간집수 한국문집총간 속 8 ●저자 성명 이득윤(李得胤) 생년 1553년(명종 8) 몰년 1630년(인조 8) 자 극흠(克欽) 호 서계(西溪) 본관 경주(慶州) 초명 덕윤(德胤) 특기사항 서기(徐起), 박지화(朴枝華)의 문인. 김장생(金長生), 정사호(鄭賜湖) 등과 교유 ●가계도 이곤(李鯤)/判官 ㅣ ㅣ-----이혼(李渾) ㅣ ∥ ㅣ 나운걸(羅云傑)의 女 ㅣ ㅣ-----이정(李淨) ㅣ ..

피염정일고(避炎亭逸稿)

◇도서 성격 : 시와 산문집 ◇책수 : 2권 1책(單) ◇저자 : 이희음『李希音, 1579년(선조 12)~1641년(인조 19)』 ◇간행연도 : 1850년(철종 1) ◇소장처 : 성오당 이개립 종손가 ------------------------------------------------------------------------------------------------------------------------------------- 2권 1책. 목판본. 1850년(철종 1) 후손들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중곤(李中錕)의 서문이, 권말에 김세락(金世洛)의 발문이 있다. 경주이씨종손가에 있다. 권1에 시 64수, 권2는 부록으로 행장·묘갈명·제문·만사(輓詞)·증유(贈遺)·피염정기(避炎亭記) 등이 ..

가산서원지(佳山書院誌)

▲필자 소장본 ◇간행연도 : 1968년 ◇간행인 : 이면우(李冕雨) ◇판본 : 석판본 ◇크기 : 20㎝(가로) x 29㎝(세로) ▲장성 가산사 전경(長城 佳山祠全景)/사진 출처>인터넷 소재지 : 전남 장성군 삼서면 홍정리 488-2 가산마을 ------------------------------------------------------------------------------------------------------------------------------------ ■ 가산사(佳山祠) 고려 후기 문신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 1287∼1367)과 조선 중기 문신이자 학자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 1556~1618) 등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1498년(연산군 4) 이제현의 5대손인 장수현감(..

석곡심서(石谷心書)

[도서내용] 大正 11年(1922) 李圭晙 家에서 연활자본으로 발행한 조선말기의 혁신적 유학자이자 대사상가이며 名醫였던 石谷 李奎晙 선생의 문집 석곡심서(石谷心書) 單冊이다. 14.8(가로) × 21.8cm(세로)이다. [참고] 석곡 이규준『石谷 李奎晙,1855년(철종 6)~1923년』 子는 叔玄 號는 石谷 慶北 月城人으로 哲宗 乙卯(서기 1855년) 慶北 迎日郡 夫山面(오늘날 東海面) 林谷里에서 誕生하셨고, 後에 石洞에 移居하여 石谷이라 自號하고, 癸亥(1923년)에 卒하니 享年 六九才였다. 家事가 極貧으로 樵勞辛務하여 學習을 연마할 시간적 여유가 없었다. 그러나 그는 성장하여서는 큰 뜻을 품고 스승 없이 독학으로 학문에 몰두하여 유학(13경)을 연구하여 심오한 경지에 달하였다. 조선말기의 혁신적 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