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경전(經典) 6

아미타경[원문 국역]

■ 우리말 아미타경[원문 국역] 이와 같이 내가 들었느니라. 어느 때 부처님은 천 이백 오십 인이나 되는 많은 비구들과 함께 사위국 기원정사에 계시었다. 그들은 모두 덕이 높은 큰 아라한으로 여러 사람들이 잘 아는 이들이었다. 즉 장로 사리불 마하목건련 마하가섭 마하 가전연 마하구치라 리바다 주리반타가 난다 아난다 라후라 교범바제 빈두로파라타 가루다이 마하겁빈나 박구라 아누루타와 같은 큰 제자들 이었다. 이 밖에 법의 으뜸인 문수사리를 비롯하여 아일다보살 건타하제보살. 상정진보살 등 큰 보살과 석제 환인 등 수많은 천인들도 자리를 같이 했었다. 그 때 부처님께서 장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여기에서 서쪽으로 십만 억 불국토를 지난 곳에 "극락"이라고 하는 세계가 있으며 거기에는 지금도 아미타불이 법을 설..

금강경 독경(金剛經讀讀經)

금걍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密經) 금강경 독경 - 탄명스님 금강경 독경(金剛經讀讀經) 금강경(金剛經)은 우리나라 불가에서 가장 대표적인 불경으로 통합니다. 금강반야경(金剛般若經) 또는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이라고도 합니다. 금강경은 불교의 최고봉에 해당하는 경전으로서 이 경전을 계속 읽으면 해탈하게 된다고 육조 혜능대사(六祖慧能大師, 638년~713년)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우리가 이 경전을 꾸준히 읽으면 잠재의식 속의 잘못된 편견과 아집 같은 것들이 녹아내리며 지혜로워지고 많은 업이 소멸됩니다. 해탈과 극락왕생을 발원하기 위해서도 불가에서는 이 경전을 많이 읽고 기도합니다. ● 혜능대사(六祖慧能大師, 638년~713년) 중국 당나라 때의 스님으로 선종(禪宗) 제 6조를 말함. 중국의 남해(南..

불광보조(佛光普照)

↑불광보조(佛光普照) 중국의 여행길에 이따금씩 사찰에 들리게되면 불광보조(佛光普照)란는 현판(懸板) 글귀를 많이 보게된다. 불광보조(佛光普照)라는 이 말은 부처님의 지혜광명이 일체 중생의 마음에 두루 비친다는 말이라고 한다. 중생의 마음을 비춰서 탐진치(貪瞋癡-그칠 줄 모르는 욕심과 노여움과 어리석음)를 모두 소멸하며, 어두움을 광명으로 변하게 하여, 팔만사천의 갖가지 습기와 잘못을 없애는 것이라고 한다. 사람들이 불법을 배우는 것은 바로 탐진치(貪瞋癡)를 없애는 것이라고 하며, 해서 무슨 일이던 너무 집착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말이기도 하다. 이 편액 글씨는 중국(中國) 항주(杭州)의 영은사(靈隱寺) 약사전(藥師殿)을 휘호(揮毫)한 조박초(趙朴初=자오파추우) 거사의 글씨이다. 이미 우리나라에도 잘 알려..

악한 벗을 두려워 하라.

■악한 벗을 두려워 하라. 맹수를 두려워 하지 말고, 악한 벗을 두려워하라. 맹수는 다만 몸을 상하게 할 뿐이지만 악한 벗은 마음을 파멸시키기 때문이다. ---------------------------------------------------------------------------------- ※아함경(阿含經) [명사]>[불교] 1.석가모니의 언행록. 2.소승 불교 경전을 통틀어 이르는 말. 남전(南傳)과 북전(北傳)이 있음

백화도량발원문약해(白花道場發願文略解)

■ 백화도량발원문약해(白花道場發願文略解) ◈유형 : 문헌 ◈시대 : 고려말 ◈성격 : 불교서적 ◈편저자 : 체원(體元), 의상(義湘) ◈제작시기 : 1328년(고려 충숙왕 복위3),~1334년(충숙왕 15) ◈권수/책수 : 1권 1책 ◈간행/발행/발급자(처) : 해인사, 계림부 ◈소장처 : 해인사, 국립중앙도서관, 규장각 목차 1.정의 2.개설 3.내용 4.의의와 평가 1.정의 고려 말기의 승려 체원(體元)이 의상(義湘)의 <백화도량발원문>을 해설한 책. 1권 1책. 목판본. 2.개설 1328년(충숙왕 복위 3)에 체원이 해인사에서 원문의 각 구절 밑에 주석하였고, 법지(法之)가 교감(校勘)하였으며, 1334년(충숙왕 15)에 계림부(鷄林府)에서 개판하였다. 발문에 의하면 이 책을 저술하기 전에 《별행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