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조선시대 생활상 10

사진으로 본 대한제국시절의 생활풍속

■ 구한말 대한제국 생활풍습 불과 100년전 우리 조상들의 생활 풍습입니다. 또한 우리들의 정체성(正體性)이 기도 합니다. 세월의 변함이 격세지감(隔世之感) 입니다. ↑마방집(馬房) 마방집이란 말을 두고 삯짐을 싣는 것을 업으로 하는 곳이다. 말이 더 이상 운반수단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게 되면서, 마방집도 사라진 풍물 중의 하나가 되었다. ↑여행차림 탕건을 쓰고 괴나리봇짐을 멘 노인이 지팡이를 짚고 서 있다. 오랜 풍상의 자국과 인자함이 깃든 얼굴이다. ↑소를 탄 농부 "말 탄 양반 끄떡, 소 탄 양반 끄덕" 있듯이 소가 교통수단에 탈것으로 쓰이 었다. 대개는 농부가 이용했다. ↑서당의 훈장과 학도들. 훈장의 위엄서린 얼굴과 어린이들의 표정이 재밌다. ↑서당풍경 ↑서당(書堂) 풍경 삭발한 아이들과 편발한..

옛 풍경

↑한양 골목 안의 평화로운 풍경 ↑평화로운 한양의 골목 풍경 ↑평화로운 가을 걷이 풍경 ↑가족 나들이 모습 ↑마님의 행차 ↑시골 골목 풍경 ↑시골의 농가 모습 ↑시골동네 어귀 다리 ↑여인의 행차 모습 ↑휴식을 취하는 골목 풍경 ↑기다림 ↑삶림은 궁색하게 가난하지만 여유롭고 평화로운 농가 모습니다. ↑이름 모를 마을 풍경 ↑물 길러 가는 아낙과 농가 앞 ↑바다위의 돛단배 ↑마을의 빨래터 ↑빨래터 ↑논길을 따라 집으로 돌아가는 아낙네 ↑소 등에 짐을 가득 싣고 어디론가 가는중 ↑시골의 초가 모습 ↑시골 집앞 풍경 ↑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농부의 뒷 모습. ↑시골 장터 풍경 모던이들이 모두 흰옷이다. ↑여름 냇가 ↑나들이 ↑마을 공동 우물 ↑당나귀를 타고가는 모습 ↑일을 마치고 귀가하는 부자 (父子) 농..

조선시대 사람들도 수학 공부를 했을까?

조선시대 사람들도 수학 공부를 했을까? 우리나라 학생들의 뛰어난 수학실력은 국제적으로도 알려져 있지만 대조적으로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는 측은지심을 일으킬 정도로 낮다. 학교공부에서 많은 학생들에게 기피되는 교과인 수학! 그러나 분명 수학공부는 필요한 것이고, 이러한 사실은 과거의 어느 시점이라고 해서 다를바 없었다. 옛날에는 수학공부를 좋아하는 임금과 관리가 있었으며, 민간에서는 셈하기 위해 노래를 만들어 부르기도 했다. 수학은 인간만사를 아우르는 하늘의 일과 땅의 일을 돌보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학문이었다. 『놀이와 인간』이라는 책을 쓴 로제 카이와(Roger Caillois)는 놀이의 첫 번째 요소로 ‘아곤(Agon)’을 들었다. 아곤은 시합과 경기를 뜻하는 그리스어이다. 이 아곤에는 ..

역마(驛馬)와 마패(馬牌)

역마(驛馬)와 마패(馬牌) 역마(驛馬)를 이용하려는 자는 지위에 따라 마문(馬文)과 마패를 지급 받았다. 역리(驛吏)는 역마(驛馬)를 이용한자의 관직과 성명, 시간 등을 기록하여 매 계절의 마지막 달에 병조에 보고하였다. 그런데 잦은 말에 대한 점고는 말을 관리하는 자들을 경제적으로 어렵게 하였다. 점고에 드는 경비와 얘기치 않은 사고로 잃은 말을 채워 넣어야 했으므로 역리는 물적으로 큰 손실을 감당해야 했다. 또한 관직을 이용한 역마 이용의 남용도 역리의 사무를 고달프게 했으며 따라서 공문의 전송과 공물의 수송을 방해하는 폐단도 일으켰다. 이에 대해서는 법적으로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해당 역의 찰방이 보고하여 치죄하도록 하였다 당연한 것이지만 역의 이용자는 관리들이나 양반층에 한정되어 일반 백성들은 이..

기녀(妓女)의 자질(姿質)

■ 기녀(妓女)의 자질(姿質) 기녀의 활동기간은 15~50세인데 어린 기녀를 동기(童妓), 나이 든 기녀를 노기(老妓), 노기보다 나이가 많아 퇴역한 기녀를 퇴기라고 불렀다. 기녀 중에서 체계적인 교육을 받고 활약하는 것은 한양에 거주하는 경기(京妓)였다. 이들은 어린 나이에 기녀 교육을 시작하기도 하지만 보통 15세가 되어 기적에 오른 뒤 장악원에 소속되어 본격적으로 배우기 시작한다. 교육과목은 글씨, 그림, 춤, 노래, 악기연주, 시, 책읽기, 대화법, 식사예절 등 타인을 대하거나 즐겁게 할 때 필요한 것이었다. 특히 이들이 상대하는 부류가 왕족과 고관이나 한학적 교양이 높은 유생이었으므로 예의범절은 물론 문장에도 능해야 했다.기녀 한 명마다 담당선생이 지정되었으며 악기 하나는 전문적으로 배우게 하였..

광대(廣大)

■ 광대(廣大) 광대란 고려시대까지 가면을 쓰고 놀이하는 사람을 말하였는데,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점차 탈놀이, 인형극, 줄타기, 땅재주, 판소리하는 사람들도 광대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들은 공연하는 내용과 구성원에 따라 정주하거나 유랑하는 두 집단을 이루었는데 유랑집단이 더 많았다. 각 지방 관청에는 재인청(才人廳)을 두어 광대를 국가 행사에 동원시켰다. 중국의 사신을 위한 영접행사나 고을 수령의 행차에서 노래와 재주를 부렸다. 또한 관아와 양반층의 행사가 있을 때도 불려 갔다. 따라서 조선초기까지는 관에 소속된 광대의 수가 많았음을 짐잡할 수 있다. 조선후기에 광대들이 직업적으로 쉽게 형성된 배경은 ①임진왜란과 두차례의 호란으로 인한 궁중의 악공과 악생들의 분산, ②한양의 산대도감 폐지에 따른 예인(..

백정(白丁)

■ 백정(白丁) 조선시대의 백정은 대개 북방의 유목민족 출신으로 조선초기에 유입된 사람들이다. 이들은 조선사회에 정착하면서 수렵, 목축 등의 생활에서 터득한 짐승의 도살법을 이용하여 가축의 도살과 육류 판매업을 하였다. 이외에 버들고리를 이용한 바구니 제조와 가죽신을 만들거나 농경에도 종사했으나 도살을 겸하는 수준이었다. 백정은 소와 말의 도살과 판매를 독점적으로 하였으므로 경제적으로 어느 정도의 이득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조선후기의 평민 중에서 생활이 어려운 자들은 백정으로 업종을 바꾸기도 하였다. 개, 돼지, 양은 일반 백성이 잡을 수 있었지만 보통 백정에게 맡기는 형편이었다. 이때 작업 도중 발생하는 가죽, 내장, 뼈 등을 보수로 받았다. 백정은 거주 이전을 자유롭게 하기 어려웠다. 조선초부터 ..

기녀제도(妓女制度)

■ 기녀제도 기녀는 삼국시대의 유녀(遊女)에서 비롯된 것으로 일찍부터 우리 역사에 나타난다. 조선은 개국과 함께 중앙집권체제를 마련하면서 중앙과 지방의 관아에 기녀를 배치하였다. 기녀는 관청의 행사와 관리의 노고를 위로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였다. 따라서 조선시대의 기생은 관기가 대부분으로 기녀들이 독립적으로 기방을 차린 뒤 손님을 받는 일은 조선후기의 일이다. 기녀는 한양에 거주하는 경기(京妓)와 각 고을의 지방기(地方妓)로 나뉜다. 기녀의 수는 시기와 지역에 따라 차이가 난다. 연회를 자주 연 연산조때 기녀의 수는 크게 증가되어 한때 한양에 머문 기녀가 만여명에 달했다. 각 지방에는 목(牧), 부(府), 군(郡), 현(縣) 등의 행정구역에 따라 기녀의 수가 정해졌는데 적은 곳은 20명에 불과했지만 평..

조선 여성의 삶

■ 조선 여성의 삶 조선왕조는 유교 이데올로기를 기초로 하는 가부장적 질서가 강요되는 사회였다. 따라서 여성에 대하여는 남성중심 사회를 유지하기 위한 보조적 역할 담당자로 인식하였다. 여성을 출산, 양육, 가사노동에 전념시키기 위해 법적으로 사상적으로 여러 가지 제한을 두어서 재혼금지, 남녀의 내외법, 칠거지악과 같은 부녀의 도리라는 것을 만들었다. 조선조에 들어오면서 여성은 점차 권력에서 배제되었다. 남자만이 학문을 하게 되어 관직에 나갈 수 있는 과거를 볼 수 없어 관직에 진출할 길은 전혀 없었다. 물론 관직에도 내명부라 하여 남편의 지위에 따라 그 부인도 관품이 주어졌다. 하지만 그것은 실권이 전혀 없는 오히려 여성들의 불만을 무마하기 위한 행위라고도 볼 수 있다. 그래도 외국처럼 결혼한 여자의 성..

주막(酒幕)

■ 주막(酒幕) 주막의 기능은 다양하여 식당과 주점, 여관의 기능을 겸비하고, 아울러 상업적 거래의 장소가 되기도 하였다. 또한 여러 지방 사람들이 드나드는 관계로 각 지방의 소식과 문물을 교류하는 문화적 기능도 겸비하였다. 이러한 주막은 이용자에 따라 시설의 차이가 있었는데. 양반이나 관리, 부상(負商=등에 물건을 메고 다니며 장사하는 사람)이 이용하는 곳은 여러 칸의 가옥과 부엌이 설치되었으며 마방(馬房="마구간"의 방언)이 딸려 있었다. 널찍한 마루와 평상(平床), 그리고 손님이 많으면 멍석을 깔아 편안하게 식사를 할 수 있었다. 음식과 술도 이용자의 요구에 맞춰 다양하게 준비되었다. 반면에 일반 백성이나 가난한 자들이 이용하는 주막은 초가 두칸이거나 비를 막을 초가 지붕과 노천 아궁이가 있는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