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在薰 113

사람이 산다는것이..

■ 사람이 산다는 것이 배를 타고 바다를 항해하는 것과 같아서 바람이 불고 비가오는 날은 집채 같은 파도가 앞을 막기도 하여 금방이라도 배를 삼킬듯 하지만 그래도 이 고비만 넘기면 되겠지 하는 작은 소망이 있어 삽니다. 우리네 사는 모습이 이렇게 비 오듯 슬픈 날이 있고 바람 불듯 불안한 날도 있으며 파도치듯 어려운 날도 있어 금방이라도 죽을 것 같은 생각이 들지만 그래도 세상에는 견디지 못할 일도 없고 참지 못할 일도 없습니다. 다른 집은 다들 괜찮아 보이는데 나만 사는 게 이렇게 어려운가 생각하지만 조금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집집이 가슴 아픈 사연 없는 집이 없고 가정마다 아픈 눈물 없는 집은 없습니다. 그렇지만 웃으며 사는 것은 서로서로 힘이 되어주기 때문입니다.

구갑죽(龜甲竹)

■ 구갑죽(龜甲竹) 구갑죽(龜甲竹) 이란 맹종죽(孟宗竹=江南竹)의 변종으로 줄기의 기부에 마디가 비스듬하게 서로 붙어 거북이등가죽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맹종죽 사이에서 구갑죽이 나기도 하고 구갑죽의 모죽(毛竹)에서 맹종죽이 난다하니 난상이다. 이 희귀 대나무의 구갑죽은 희소성이나 관상가치가 높아 지팡이나 붓, 합죽선 등을 만들면 일반 대나무 보다 가치성이 높아 가격이 몇 십 배나 높다. ↑사진>꽃차와 차이야기 ㅣ 목원 ↑구갑죽으로 만든 차시

정만록(征蠻錄)

↑사진출처>인터넷/2권 2책(완결본) ■ 정만록(征蠻錄) 정만록의 저자 이탁영(李擢英)은 경상순찰사였던 김수(金睟의 수하(手下)에 있다가 임진왜란 당시 학봉 김성일(鶴峰 金誠一1538~1593)의 막하(幕下) 진중(陣中)에서 영리(營吏)로 있었고, 또한 유성룡(柳成龍)의 휘하에 있으면서 여러 전술을 건의하여 승리에 공헌한 바가 많았다고 하는데 이 때 진중에서 보고 들은 내용을 임진변생후일록(壬辰變生後日錄)이란 제목(題目)의 일기형식으로 초(草)하여 두었던것을 선조 34년(1601)에 경상감사(慶尙監司) 이시발(李時發)이 도내(道內)의 사적을 채집하게 하였을 때 이 일록을 재정리하여 제출하게 되었고, 이를 선조(宣祖)가 어람(御覽)한 후 정만록(征蠻錄)이라 명명했다고 한다. 이 일록(日錄)은 이와 같이 선..

고경명 신도비명. 시장(高敬命 神道碑銘. 諡狀)

[생졸년] 고경명『高敬命, 1533년(중종 28) ~ 1592년(선조 25)』 유명조선국 대광보국숭록대부 증 의정부좌찬성 고선생(휘 경명) 신도비명 병서 (有明朝鮮國 大匡輔國崇祿大夫贈 議政府左贊成 高 先生 諱 敬命 神道碑銘 幷序) 윤근수 찬(尹根壽 撰-윤두수의 동생) 만력(萬曆) 임진년(壬辰年, 1592년 선조 25년)에 나라가 왜 난을 만나자 참의(參議) 고공(高公)이 그 난에 죽어 큰 절개를 나타내었으나, 십여 년이 지나도록 신도비문(神道碑文)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어느날 공의 고자(孤子) 고용후(高用厚)가 나를 찾아와 청하기를, “선인(先人)이 공의 형제(兄弟)와 교유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순국(殉國)한 시종(始終)에 대해서도 공만큼 명확히 아는 분이 없으므로 감히 일언(一言)을 빌어서 인멸되지 ..

현와 이도선생세계도

안기도 찰방 현와 이도선생세계도 (安奇道 察訪 弦窩 李蒤先生世界圖) 22世 태조 이성계(李成桂) ㅣ ㅣ 23世 태종 이방원 ㅣ 24世 제(李禔)----보(補)-----종(種)------비(裶)------인(裀)------정(裎)------지(祉)-------필(袐)--간(衦)---치(袳) 讓寧大君 孝寧大君 誠寧大君 敬寧大君 諴寧大君 溫寧大君 惠寧大君 煕寧君 厚寧君 益寧君 剛靖 靖孝 昭頃 齊簡 恭寧 良惠 僖悼 昭剛 ㅣ 25世 기(言+豈)--포(鋪)---혜(譓)--겸(謙)--------흔(訢)-----심(諶)---女OO-----女OO 順成君 咸陽君 瑞山君 庶子 庶子 庶女 朴壽宗 妻 庶女(韓致亨 妻) 夷安 古丁副正 長川副正 安昌副正 ┌────┘ 26世 진(鎭)-- 현(鉉)-------종남(終南)--종암(終巖)..

서계 이득윤선생 묘

↑서계 이득윤선생 묘(西溪 李得胤先生墓) ↑서계 이득윤선생 묘의 후경 ↑옥화대에 있는 옥화서원(玉華書院) ◈소재지 : 충청북도 청원군 미원면 옥화리 ◈배향인물 : 1)이득윤(李得胤). 2)윤승임(尹昇任). 3)박곤원(朴坤元). 4)윤사석(尹師晳) ◈창건연도: 1717년(숙종 42) ◈향 사 일: 음력 3월 중정 ◈연혁 옥화서원은 1717년(숙종 42)에 괴산군수(槐山郡守) 서계 이득윤(西溪 李得胤), 주일재 윤승임(主一齋 尹昇任), 옥계 박곤원(玉溪 朴坤元), 사헌집의(司憲執義) 만둔암(晩遯庵) 윤사석(尹師晳)의 위패를 봉안하고 세운 사당이다. 1871년(고종 8) 서원 훼철령으로 철폐되었다가 1989년에 다시 세우고 매년 음력 3월 중정일에 향사하고 있다. ◈배향인물 1)주벽 - 이득윤(李得胤, 155..

후송유집(後松遺集) -33世 이정효(李廷孝) 著

■ 후송유집(後松遺集) ◈저자 : 33世 이정효(李廷孝) /경주이씨 판전공파 ◈판본 : 목판본 ◈책수 : 4권 2책 완질 ◈책의 크기 : 29.7x20.6cm ◈간행년도 : 1921년 《후송유집(後松遺集)》은 이정효(李廷孝 ; 1832∼1917)의 시문집이다. 이정효의 자는 순거(舜擧), 호는 후송(後松), 본관은 월성(月城)이다. 조부는 우하((友夏), 아버지는 익선(翼璇)이고, 어머니는 김해김씨(金海金氏) 양규(亮奎)의 딸이다. 1838년(헌종 4) 숙부인 익만(翼萬)에게서 수학하였는데, 영민하여 한 번 들은 것은 종일토록 잊지 않았다고 한다. 학문과 덕행이 준수하여 고을의 선비들이 그를 추천하였으나 1882년(고종 19) 임오군란(壬午軍亂)의 어지러운 정세를 보고는 벼슬의 뜻을 버리고 익만의 옛집을..

이명하(李命夏)

■ 이명하(李命夏) ◈시대 근대 ◈성격 독립운동가|국가유공자 ◈출생지 경기도 광주(현 서울시 강남) ◈생년 1878년(고종 15) ◈몰년 1921년 ◈대표경력 : 성균관진사, 제천군 주사 ◈상훈 : 건국훈장 독립장 ----------------------------------------------------------------------------------------------------------------------------------- 1878년(고종 15)∼1921년. 독립운동가.초명은 계윤(桂允). 자는 우문(又文). 호는 몽학(夢鶴). 경기도 광주 출신(현 서울 강남). 유인석(柳麟錫)의 문인이다. 1891년 성균관진사, 1902년 제천군 주사가 되었다. 1896년 유인석을 도와 의병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