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 1744

집안에서 발견된 고구려기사비

■ 중국 집안에서 발견된 고구려기사 비 - 광개토태왕과 장수왕 사이에 세워진 것으로 보임 신문화망(新文化罔)-신문화보(新文化報) ㅣ 2013-01-15 05:50 편집 : 레이웨이[雷威] [핵심 도움말] 얼마 전 집안시(集安市)에서 고구려시대의 중요한 문물이 발견되었다. 집안시 마선촌(麻線村) 5조(五組)의 촌민인 마샤오빈[馬紹彬]이 마선하(麻線河) 안에 있던 돌을 주웠는데, 오래된 다리 아래로 약 100m 정도 떨어진 강바닥에서 글자가 있는 큰 석판을 발견하였다. 집안 시문 물국(集安市文物局)은 즉시 전문가들을 조직하여 석판에 대한 전문 감정을 실시하였고, 이 석판이 고구려시대에 세워진 기사비석[記事石碑]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작년 여름에 비석이 발견된 이후, 전문가 왕즈민[王志敏]이 이에 대해 연구..

박근혜 대통령의 선영

■ 박근혜 대통령의 선영 [소재지] 경북 구미시 상모동 산24-2 ↑↓위의 묘는 박근혜 대통령의 증조부모 묘이고 아래는 조부모 묘이다. 사진>癡叔堂 ↑박근혜 대통령의 증조부(일부당(一斧當) 박영규(朴永奎)공과 증조모 성산이씨(星山李氏) 묘. ↑박근혜 대통령 조부 박성빈(朴成彬)공과 조모 백남의(白南義)여사 묘. 백남의여사는 45세의 늦은 나이에 박정희 대통령을 낳았다한다. ↑박정희대통령과 육영수여사 묘(서울 국립묘지) 인터넷>

박근혜대통령 세계도

■ 고령박씨 유례 박씨(朴氏)의 세계는 혁거세(赫居世)의 증손인 신라 제5대 파사왕(破娑王)과 제7대 일성왕(逸聖王)에서 갈라졌는데, 파사왕(破娑王)계는 뒤에 영해(寧海). 면천(沔川). 강릉(江陵)등으로 분관했고, 비안(比安). 우봉(牛峰). 이산(尼山). 해주(海州) 등도 파사왕의 후손이라 전한다. 그리고 일성왕(逸聖王)계는 25대손인 신라 제54대 경명왕(景明王)과 제55대 경애왕(景哀王)대에서 다시 갈라졌고, 경명왕(景明王)계는 아들 9형제에서 관향이 각각 갈라졌다. 고령박씨(高靈朴氏)는 신라 54대 경명왕의 9대군 중 둘째인 고양대군(高陽大君) 박언성(朴彦成)을 시조로 모시고 있다. 박언성(朴彦成)의 후손에서 어사공(御史公) 박섬(朴暹), 부창정공(副倉正公) 박환(朴還), 주부공(主簿公) 박연(..

약천 남구만선생 묘

■ 약천 남구만선생 묘 ♣ 시대 : 조선 숙종37년(1711) ♣지정번호 : 향토유적 제5호 ♣ 지정년월일 : 1990.11.22 ♣ 소재지 : 용인시 모현면 초부리 산1-5 ♣ 소유자 : 남표희(南杓熙) ♣ 규모 : 비높이 90㎝, 폭 67㎝, 두께 35㎝ 재료 : 토분 및 석물 -------------------------------------------------------------------------------------------------------------------------------------- 남구만(南九萬)의 묘소는 본래 양주(楊州)의 불암산 화접동(花蝶洞)에 초장(初葬)되었다가 뒤에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초부리 산1-5(하부곡 마을)에서 이장(移葬)한 것이다. 당시의 봉분은 ..

사도세자 묘(顯隆園)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에 있는 융릉. 정조는 사도세자의 묘소를 양주 배봉산에서 이곳으로 옮기고 현륭원으로 불렀다. 고종 때 사도세자가 장조로 추존되면서 융릉으로 높여졌다. 사도세자 책봉죽책문. 사도세자가 김가진에게 쓴 편지. 경남대박물관에서 기증 받은 데라우치 소장 문서 중일부다. ●사도세자(思悼世子) 1735(영조 11)∼1762년(영조 38). 조선 후기의 왕자. 이름은 선(愃).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윤관(允寬). 호는 의재(允寬). 영조의 아들로 어머니는 영빈 이씨(映嬪李氏)이며, 부인은 영의정 홍봉한(洪鳳漢)의 딸인 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이다. 이복형인 효장세자(孝章世子 : 眞宗으로 추존됨)가 일찍 죽고 영조의 나이 40세가 넘어서 출생한 탓으로 2세 때 왕세자로 책봉되고, 10세 때 혼인..

만석거 영화정(迎華亭),

수원 만석공원내에 있는 영화정(迎華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송죽동 만석공원 내에 있는 정자이다. 1795년(정조 19) 5월 정조의 명으로 인공저수지인 만석거(萬石渠)가 축조되었고, 같은 해 9월 만석거 남서쪽 언덕에 영화정이 건립되었다. 정조가 이듬해 봄 이곳에 들렀을 때‘꽃을 맞는다’는 의미의‘영화정(迎華亭)’이라는 편액을 걸게 했다 한다. 영화정은 교구정(交龜亭)이라고도 불렸는데, 이곳에서 구관(舊官)·신관(新官) 부사와 유수들이 거북 모양의 관인(官印)을 인계인수하는 교구(交龜)의식을 했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영화정은 오래 전에 허물어졌다가 만석거를 중심으로 만석공원(35만 5,800㎡)이 조성되면서 1996년 10월 복원되었는데 원래 위치보다 동북쪽으로 약 200m 떨어진 지점에 세워지게 ..

거주지별 생원 진사시험 합격자 수.

■거주지별 생원 진사시험 합격자 수. 1) 서울(京) - 14,337명 2) 안동(安東) - 783 3) 개성(開城) - 559 4) 원주(原州) - 535 5) 평양(平壤) - 529 6) 충주(忠州) - 515 7) 상주(尙州) - 470 8) 공주(公州) - 455 9) 전주(全州) - 431 10) 남원(南原) - 382 11) 해주(海州) - 369 12) 청주(淸州) - 356 13) 양주(楊州) - 350 14) 광주(廣州) - 345 15) 선산(善山) - 328 --------------------------------- 합계 20,744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