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국조공신록 15

정운원종 공신록권(定運原從功臣錄)과 조몽길 추증 교지-내암 정인홍

정운원종 공신록권(定運原從功臣錄)과 조몽길 추증 교지 - 내암 정인홍. 정운원종공신록권(定運原從功臣錄)은 진주 단목 '단지 하협(丹池 河悏)' 종택에서 보관하고 있었다. 전 국회의원 하순봉(河舜鳳) 진양하씨 문중에서 경상대학교 문천각(文泉閣)에 기증했다. 단지 하협(丹池 河悏, 1583~1625) 묘갈명은 전(前) 정주목사 오계 조정립(梧溪 曺挺立, 1583~1660)이 1655년(효종 6)에 지었다. 오계는 '진사하공행적(進士河公行蹟)'도 지었다. 오계 조정립은 1728년(영조 4) 무신혁명 합천 주역인 조성좌(曺聖佐)의 고조부다. *이 블로그 '진주 단목, 단지 하협 묘갈명 : 오계 조정립 지음' 참조: https://blog.naver.com/antlsguraud/221479265771 진주 단목,..

선무원종공신록권-1605년 4월

宣武原從功臣錄券[宣武原從功臣一等]/宣祖38年(1605년 4월) 宣武原從功臣錄券 部將朴大傑 萬曆三十三年四月十六日行都承旨臣申欽都監傳旨國多難而靡定爾旣宣力於重興功無微而不酬予乃推恩於原從誕擧新典式遵舊章言念南寇之陞梁致有西土之播越縱橫豺虎慘見宗社之蒙塵跋涉山川忍說君臣之中露天欲興唐而父母拯己人猶戴晉而大小忘身幸戡亂而回鑾遂※勳而銘鼎惟爾卿士大夫曁士庶人或揚我武※或助我※需執※驅馳或有※軀之士提兵戰伐或※※馘之※悉錄於茲永垂於後惟※※※※※ 功勞爾子爾孫享萬世之安樂故玆敎示想宜知悉臨海君珒定遠君琈順和君★(王+土)仁城君珙義昌君珖達城尉徐景霌海嵩尉尹新之東陽尉申翊聖唐原尉洪友敬錦陽尉朴瀰全昌尉柳廷亮吉城尉權大任知中樞府事宋言愼豐原府院君柳成龍行府使權晫兵使朴晉※府使鄭起龍贈兵使鄭運前兵使郭再祐郡守洪汝栗行水使裴興立前水使安衛行兵使李守一倧俌佺佫行護軍韓潤輔行護軍李海龍唐陵君洪純..

영사공신(寧社功臣)

국조공신록(國朝功臣錄) [24]영사공신(寧社功臣) ◇왕대 : 인조(仁祖) ◇책봉일 : 무진년(1628) 3월 15일. 인원: 11명. ◇책봉 사유 : “유효립(柳孝立)의 역모” 평정에 기여. 등급 공신 성명 본관 관직 참고 사항 1등 허적(許?) 양천(陽川) 판서 양릉군(陽能君) 2등 (5)명 홍서봉(洪瑞鳳) 남양(南陽) 영의정 시호>문정(文靖) 황성원(黃性元) 장수(長水) 참판 장원군(長原君) 허계(許禊) 양천(陽川) 부사과 양평군(陽平君) 황진(黃縉) 장수(長水) 도사 장천군(長川君) 허선(許選) 양천(陽川) 허적의 아들 양원군(陽原君) 3등 (5)명 김득성(金得聲) 청풍(淸風) 고변자 청흥군(淸興君) 김진성(金振聲) 청풍(淸風) 고변자 청릉군(淸陵君) 신서회(申瑞檜) 평산(平山) 참판 평창군(平昌君..

영국원종공신록(寧國原從功臣錄)

■ 영국원종공신록(寧國原從功臣錄) 仁祖 24年(1646) 영국녹훈도감(寧國錄勳都監)이 편찬(編纂)해 실록자본(實錄字本)으로 간행한「영국원종공신녹권(寧國原從功臣錄券)」사과 이창님(司果 李昌南) 내사본(頒賜本) 단책(單冊). 필자소장본[컬러 영인본] ↑크기 : 20.5×30.2cm[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영국원종공신녹권(寧國原從功臣錄券)』은 인조가 1646년 심기원의 역모를 고변하고 진압한 일에 공을 세운 신하들을 영국원종공신으로 책봉한 후 반사(頒賜)한 책이다. 이 연구는 연세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영국원종공신녹권』 1책을 대상으로, 녹권이 반사된 사유 및 경위를 알아본다. 녹권의 형태와 그 체제를 자세히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녹권에 기재된 공신들을 각 등급별로 나누어 책봉된 공신들의 직함과 신분에..

공신도감자(功臣都監字)

공신도감자(功臣都監字) □분야 : 출판 □시대 : 조선 □정의 : 공신도감에서 각종 녹권(錄券)과 회맹록(會盟錄)을 찍기 위해 만든 목활자. 공신도감은 임진왜란이 끝난 뒤 공신들에게 녹권을 찍어 사급(賜給)하여 논공행상(論功行賞=공의 있고 없음, 작고 큼을 논해 그에 걸맞은 상을 줌)을 하기 위해 비교적 일찍부터 활자 새기는 장인(匠人)과 인쇄용 물자를 갖추고 운영해왔는데, 이와 같이 공신도감의 장인들이 각종 녹권과 회맹록을 찍기 위해 만든 목활자를 일컫는다. 이 공신도감자의 성격은 당시의 훈련도감자 및 실록자와 뚜렷하게 구별된다. 공신도감은 일찍부터 활자를 새기고 인쇄하는 장인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실록청이 1603년(선조 36)에 역대 실록을 찍을 때 협조하여주기도 하였다. 공신도감자본으로는 160..

영국원종공신녹권

영국원종공신녹권(寧國原從功臣錄券) □시대 : 조선 □간행연도 : 1646년 □간행처 : 영국녹훈도감(寧國錄勳都監) □요약 : 1644년(인조 22) 3월 심기원(沈器遠) 등의 모란(謀亂)을 평정하고 그 공으로 녹훈된 사실을 기록한 녹권 을 말한다. 즉 영국공신의 원종공신들을 1646년 11월에 녹훈한 사실을 기록한 녹권이다. 1책. 목활자본. 영국녹훈도감(寧國錄勳都監)에서 1646년에 간행하였다. 영국공신은 1등에 구인후(具仁垕)·김류(金瑬)·황헌(黃瀗)·이원로(李元老) 4인이었으나, 뒤에 황헌과 이원로는 2등로 강등되었고, 2등에는 여이재(呂爾載)였으나 뒤에 3등으로 강등되고, 3등이었던 신경호(申景琥)가 2등으로 녹훈되었다. 3등에는 여이재 외에 정부현(鄭傅賢)·이계영(李季榮)·구오(具鏊)·이이(李爾..

원종공신(原從功臣)이란?

원종공신(原從功臣)이란? 국가나 왕실의 안정에 공훈이 있는 정 공신(正功臣) 외에 왕을 수종(隨從=따라다니며 곁에서 심부름을 함)해 공을 세운 사람에게 준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공신의 대부분이 정공신의 자제 및 사위 또는 그 수종자들에게 녹훈되었다. 본래는 원종공신(元從功臣)이라 했으나 명나라 태조인 주원장(朱元章)의 이름에 들어 있는 원(元)자를 피해 원(原)으로 고쳐 썼다. 공신을 크게 나누면, 왕이 죽은 뒤 종묘에 위패를 모실 때 공로가 큰 신하의 위패를 종묘에 배향하는 배향공신과, 훈공을 나타내는 명호를 1등에서 3등 또는 4등으로 나누어 포상하는 훈봉공신(勳封功臣)이 있다. 그리고 훈봉공신은 다시 정공신과 원종공신으로 나뉜다. 배향공신의 기원은 확실하지 않지만 적어도 988년(성종..

조선시대 왕대별 공신현황

연번 功臣名 시대 1등 2등 3등 4등 합계 책 록 사유 비고 1 開國功臣 태조 1(1392) 17 (15) 24 (9) 11 (15) - 52 (39) 조선 건국 2 定社功臣 태조 7(1398) 12 (7) 17 (10) - (-) - 29 (17) 제1차 왕자의 난 3 佐命功臣 태종 1(1401) 9 (4) 3 (3) 12 (11) - 24 (18) 제2차 왕자의 난 4 靖難功臣 단종 1(1453) 12 11 20 - 43 癸酉靖難 5 佐翼功臣 세조 1(1455) 7 (7) 12 (12) 25 (22) - 44 (41) 世祖卽位 6 敵愾功臣 세조 13(1467) 10 23 11 - 44 이시애의 난 평정 7 翼戴功臣 예종 1(1468) 1 10 22 - 33 남이 옥사 8 佐理功臣 성종 2(1471)..

二十功臣 會盟軸-寧國功臣 錄勳後[寶物 1512號]

“이십공신 회맹축(二十功臣會盟軸) - 영국공신 녹훈후(寧國功臣錄勳後)”은 1646년(인조 24) 9월에 영국공신(寧國功臣)을 녹훈(錄勳)한 것을 계기로 국왕이 개국공신(開國功臣)으로부터 영국공신(寧國功臣)에 이르는 20공신과 그 자손들을 거느리고 회맹제(會盟祭)를 행하고 이 때의 회맹문(會盟文)과 참여자의 명단(會盟錄) 등을 적어 권축장(卷軸裝)으로 꾸민 것이다. 회맹문(會盟文)은 국왕, 왕세자, 공신 및 공신자손 등이 모여서 동맹을 서약하고 공신과 그 자손에게 내려준 나라의 은혜를 잊지 말고 협력하여 국은을 갚기에 힘쓸 것과 국왕에게 충성을 다하고 공신자손 간에도 단결하여 협력을 다할 것을 천지신명에게 맹세하는 것이다. 이어서 회맹록(會盟錄)에는 영의정 김유(金瑬) 등 영국공신(寧國功臣)과 개국공신(開..

국조공신록(國朝功臣錄)

■ 국조공신록(國朝功臣錄) [기본정보] ◇분류 : 사부 ◇작성주체 : 편자 미상 ◇작성시기 : 사년미상(寫年未詳) ◇형태사항 : 크기: 32.5×23.2cm. ◇판본: 필사본(筆寫本). ◇장정: 선장(線裝). ◇수량: 1책(冊). ◇인장정보: 舊宮, 李王家圖書之章. ◇청구기호 : K2-622 ◇M/F번호 : MF35-1614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상세정보] ◇정의 조선시대의 勳封功臣, 宗廟配享功臣, 淸白吏, 詩家, 畵家 등 저명인사들을 분야별로 나누어 수록한 책이다. ◇서지사항 繼線 및 匡郭이 없는 楮紙에 필사하였다. 誤字를 刀割하고 다른 종이를 덧대어 수정하였다. 籤紙를 부착하여내용을 보충하거나 朱墨으로 人名을 필사하는 등의 교정 기록이 있다.. ◇체제 및 내용 본 도서는 序文,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