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고려列朝登科錄 19

이맹균(李孟畇)

■ 이맹균(李孟畇) [고려문과] 우왕(禑王) 11년(1385) 을축(乙丑) 을축방(乙丑榜) 동진사(同進士) 16위(26/33) [고려사마] 우왕(禑王) 9년(1383) 계해(癸亥) 진사시(進士試) ---------------------------------------------------------------------------------------------------------- [인물요약] ◇자 : 사원(士原) ◇호 : 한소재(漢蘇齋) ◇시호 : 문혜(文惠) ◇생년 : 신해(辛亥) 1371년(공민왕 20) ◇졸년 : 경신(庚申) 1440년(세종 22) ◇본관 : 한산(韓山] ◇관직 : 의정부좌찬성(議政府左贊成 ◇거주지 : 미상(未詳) [가족사항] ◇부 : 이종덕(李種德) ◇조부 : 이색(李穡)[麗..

고려 열전 등과록

신라시대에도 788년(원성왕 4)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가 실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독서삼품과는 골품제도의 제약 때문에 과거의 본래 의미를 살리지 못하고 퇴색하였다. 1. 고려방목 고려시대의 과거 급제자를 연대별로 수록하였으며 고려사 선거지에 실린 예부시, 국자감시, 승보시의 실시 시기와 횟수 장원 그리고 급제자수를 토대로 문집과 금석문, 고문서를 종합하여 보충한 방대한 자료이다. 2. 고려의 과거제도 소개 ■ 실시 배경 과거제도는 중국 수(隋)나라에서 비롯하였고 唐에서 정착되었다는 설이 유력하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광종(光宗)때, 토호 세력을 재편 수렴하여 왕권을 강화 할 목적으로 중국보다 300년 가량 늦게 실시되었다. 초기의 시험과목은 제술업(製述業), 명경업(明經業), 잡업(雜業)의 3과목 이 ..

상락군 김묘 문과등과혹

■ 김묘(金昴) ●문과시(文科試) [고려문과] 충숙왕(忠肅王) 2년(1315) 을묘(乙卯) 을묘방(乙卯榜) 을과(乙科) 2위(2/33) ----------------------------------------------------------------------------------------------------- ●인물요약 [본관] 안동(安東[舊])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선발인원] 33명 [관직] 상락군(上洛君) ●가족사항 [부] 김승택(金承澤) [조부] 김선(金愃) [증조부] 김방경(金方慶) [외조부] 김혼(金琿) [처부] 민사평(閔思平) /본관 : 여흥(驪興)【 [출전] 《등과록 전편(登科錄前編)》(하버드옌칭도서관[K 2291.7 1747.4a])

고려문과방목 소장처

■고려문과방목 소장처 ●고려문과방목은 하버드대에 있는 도서관외에 다른 곳에서 전해지는 것은 없다고 하는데, 《고려문과방목》이라는 이름으로 된 책이 일본 천리대학교 "금서룡문고"에 1종이 있습니다. ●하버드옌칭도서관 본은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복사본이 있습니다. ●천리대본 방목은 국립중앙도서관에 복사본이 있습니다. 북한 해금강

고려 국자감시(高麗國子監試-조선의 성균시와 유사함)

[자료-고려 국자감시] ■ 고려 국자감시(高麗國子監試) 이는 곧 진사 시험인데 덕종(德宗)이 처음으로 설치하고 부(賦)와 6운(韻) 및 10운 시(詩)를 시험 쳤다. 그 후에는 이를 혹은 성균시(成均試)라고도 하고, 혹은 남성시(南省試)라고도 하였다. 충선왕이 국자감시를 폐지하였고, 충숙왕 4년(1317)에 구재(九齋)의 삭시(朔試 매월 초하룻날 실시)로 대신하였다. 충숙왕 7년에 이를 거자시(擧子試)라 하였다. 국자감시에서 뽑는 인원 수에는 제한이 없었다. 공민왕 17년에 왕이 경서에 정통한 자를 뽑아 시험관을 삼으려 했는데, 신돈은 감찰대부 손용(孫湧)을, 환자(宦者) 이강달(李剛達)은 판전교시사 이무방(李茂芳)과 권사복(權思復)을 추천하려고 하였다.공민왕이 이들이 다투는 것을 미워하여 말하기를 “국..

고려 사마방목에 대하여~~~

■ 고려사마방목 고려방목은 크게 예부시(禮部試), 국자감시(國子監試), 승보시(陞補試)로 나뉜다. 예부시는 조선조 대과(문과)에, 국자감시와 승보시는 사마시에 해당한다. 국자감시와 승보시는 조선조 사마시에 대응되는 것이 없으나, 억지로 비교하자면 진사시와 생원시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고려 사마시는 조선조 사마시와 성격과 기능이 다르고, 어떤 의미에서는 승보시가 국자감시보다 위에 있다고 할 수 있다.(엄격히 따지면 기능이 서로 다르므로 비교하는 것 자체가 무리이기는 하다.) 이에 비해 조선조 사마시는 그 위상이 생원시, 진사시, 문과로 체계화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고려조와 상당히 다른 점이고, 일반인들이 많이 오해하는 부분이다. 현재 고려 예부시(문과)는 대체로 기본적인 연구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이종학(李種學)

■ 이종학(李種學) ●문과시(文科試) [고려문과] 우왕(禑王) 8년 (1382) 임술(壬戌) 우왕 8년 임술방(禑王 八年 壬戌榜) [인적사항] [생년] [졸년] [자] [호] 인재(麟齋) [시호] [합격연령] [본관] 한산(韓山) [거주지] [이력사항] [전력] [관직] 밀직(密直) [기타] [가족사항] [부] 이색(李穡) [조부] 성명 이곡(李穀) [증조부] 이자성(李自成) [외조부] 권중달(權仲達) [처부] 이춘부(李春富) [형] 이종덕(李種德) [출전] 《고려열조등과록(高麗列朝登科錄)》

이종선(李種善)

■ 이종선(李種善) ● 문과시(文科試) [고려문과] 우왕(禑王) 8년(1382) 임술(壬戌) 우왕 8년 임술방(禑王 八年 壬戌榜) [인적사항] ◇생년 무신(戊申) 1368년(공민왕 17) ◇졸년 무오(戊午) 1438년(세종 20) ◇자 ◇호 ◇시호 양경(良景) ◇합격연령 15세 ◇본관 한산(韓山) ◇거주지 李種善 [이력사항] ◇전력 낭장(郞將) ◇관직 판추(判樞) /유후(留后) ◇기타 [가족사항] ◇부 이색(李穡) ◇조부 이곡(李穀) ◇증조부 이자성(李自成) ◇외조부 권중달(權仲達)/본관 : 안동(安東)【 ◇처부 권균(權鈞)/본관 : 안동(安東) ◇처부2 권근(權近)/본관 : 안동(安東) [안항. 형제] ◇형 이종덕(李種德 ◇형 이종덕(李種德) [출전] 《고려열조등과록(高麗列朝登科錄)》

이조년(李兆年) - 星州人

■ 이조년(李兆年) ● 문과시(文科試) [고려문과] 충렬왕(忠烈王) 11년 (1285) 을유(乙酉) 충렬왕 11년 을유방(忠烈王 十一年 乙酉榜) [진사시] 을유(乙酉) 1285년(충렬왕 11) 향공진사(鄕貢進士) ●인적사항 [생년] 기사(己巳) 1269년(원종 10) [졸년] 1343년(충혜왕 후4) [자] 원로(元老) [호] 매운당(梅雲堂)· [시호] 문렬(文烈) [합격연령] 17세 [군호] 성산군(星山君) [본관] 성주(星州)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에는 본관이“경산(京山)”으로 기록 되어 있음. [거주지] 경산(京山)/『경산지(京山志)』 卷4, 人物. ●이력사항 [전력] [관직] 정당문학(政堂文學)/성산군(星山君) [기타] 을유향공진사(乙酉鄕貢進士) ●가족사항 [부..

이응(李膺)

■ 이응(李膺) ● 문과시(文科試) [고려문과] 우왕(禑王) 11년(1385) 을축(乙丑) 우왕 11년 을축방(禑王 十一年 乙丑榜) ● 인적사항 [생년] 을사(乙巳) 1365년(공민왕 14) [졸년] 갑오(甲午) 1414년(태종 14) [자] [호] [시호] 정경(貞景) [합격연령] [본관]영천(永川) [거주지] 미상(未詳) ● 이력사항 [전력] [관직] 병판(兵判) [기타] ● 가족사항 [부] 이희충(李希忠)/『태종실록』 28권, 태종 14년(1414) 7월 24일」 졸기 기사를 참고; [조부] 이유(李瑜)/『태조실록』 12권, 태조 6년(1397) 9월 2일」 졸기 기사를 참고. [증조부] 李○○ [외조부] [처 부 ] 최병례(崔丙禮) [출전] 《고려열조등과록(高麗列朝登科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