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신도비명 80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 신도비명(神道碑銘)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 신도비명(神道碑銘) 선생은 휘는 현광(顯光)이고, 자는 덕회(德晦)고, 별호는 여헌이며, 성은 장씨(張氏)이다. 고려의 상장군(上將軍) 김용(金用 인동 장씨(仁同張氏))의 시조. 본성은 장(張))이 처음으로 옥산(玉山)에 본적(本籍)을 두었다. 12세(世)에 와서 부윤(府尹)인 장안세(張安世)가 있었으며, 부윤은 좌윤(左尹) 장중양(張仲陽)을 낳았고, 좌윤은 장령(掌令) 장수(張脩)를 낳았다. 장수는 곧은 사람으로 소문이 났는데, 선생에게는 6세조(世祖)가 되는 분이다. 증조는 증(贈) 좌승지(左承旨) 장준(張俊)이며, 조부는 증(贈) 이조 참판 장계증(張繼曾)이고, 부친은 증(贈) 이조 판서 장열(張烈)이다. 모친은 증(贈) 정부인(貞夫人) 경산 이씨(京山李氏)로 제릉 참봉..

남명 조 선생 신도비명 병서

■ 남명 조 선생 신도비명 병서 (南冥 曺先生 神道碑銘 幷序) 선생이 돌아가시자 산천재 뒤 언덕에 안장하고 비석을 세웠다. 그 비문은 대곡(大谷) 성운(成運) 선생이 지은 것이다. 성 선생은 선생과 도를 같이 하는 벗이었다. 이 비문에는 선생의 학문 과정과 도덕규범 및 계파의 원류 등이 상세하게 실려 있어 더 보탤 것이 없었다. 그 후 30여 년 뒤, 선생의 맏아들이 옛날 비석은 돌이 형편없어서 이지러진 부분이 이미 많아 오래가기를 기대할 수 없다고 하여 돌을 다듬어 고쳐 세우려고 했다. 그때 마침 성균관 유생들이 상소를 하여 선생에게 관작을 추증하고 시호를 내려줄 것을 요청하여, 임금님의 윤허를 받았다. 이에 새로 다듬은 돌로 신도비를 만들면서 나에게 비문을 요청하기에, 사양했지만 어쩔 수 없었다. 아..

하연선생 신도비문(河演先生 神道碑文)

神道碑文 - 南智 緬惟我世宗大王勵精治道。尤致詳于庶獄庶愼。凡廷僚之可大用者。旣簡在心。必試之方岳。嶺。新羅舊疆。東邊海。海之島南極于倭。西北接兩湖。迤至于關。地踔遠。環一節聽治大小七十有餘邑。號難治。歲乙巳。命大司憲河公。旣之任。政明修擧。治成績煕。有決輒當。一日。閱久牒得細大疑滯凡一笥。以狀請于朝。擇庶僚之有才幹可參決決疑。公所恢恢爾。特謙邦不自專。恐一事或誤。致曠分憂也。余不佞承乏佐幕。幕禮畢。可辨者專。可質者覆。公亦不異焉。遂猥推詡器局。賜交忘年。雖公之誤知余。而余之得幸於嶺大矣。後數十年乙丑。右揆缺。公以宿德拜右揆。丁卯。陞左。己巳。余亦濫躋政府。公謂余曰。首領官老監司。萬一蹉跌。不可說也。蓋用嶺幕相得。至是而幷武黃閣。公之戲余而寓其喜。可知也。嗚呼。公旣歿。余又崇風瘖。殆不能言。公之胤子友明請余以幽竁之文。文又余不能。夫書者未必盡其言。言者未心盡其意。顧兹文不能言不能。疾..

탁영 김일손 선생 신도비명 - 尹鳳朝。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의 신도비명(墓碣銘) 홍문관제학 윤봉조(尹鳳朝)가 짓고 부제학 퇴어당 김진상이 쓰고(副提學退漁堂金公鎭商書)。 관찰사 지수재 유척기가 전액을 쓰다.(觀察使知守齋兪公拓基篆)。 연산군 시대 무오 사화(戊午史禍)에 대하여 지금까지 말하는 자들은 반드시 목메어 눈물을 흘리면서 탁영(濯纓, 김일손의 호) 김 선생(金先生)을 수위로 삼는다. 선생은 하늘이 진정 낳은 분인데, 이미 낳아 놓고서 또 죽이다니, 하늘은 도대체 무슨 까닭에서인가? 아! 선생의 문장과 절의(節義)는 우주에 꽉 찰 정도여서 동방(東方)의 편협한 곳에서는 용납하지 못할 바였기에, 선생은 미칠 수 없어 그렇게 되었음인가? 대저 선생은 사관(史官)이 되어서 일찍이 그 스승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호) 김공(金公)..

무의공 이순신 장군 신도비명 병서

임진왜란의 큰 역사에 묻힌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막하에서 혁혁한 전공을 올린 충무공 이순신의 또다른 동명이인(同名異人) 무의공 이순신 장군....... ■ 완천부원군 무의공 이순신 장군(完川府院君武毅公李純信將軍) 조선중기 무신으로 양녕대군의 6대손이며 선조때 과거에 급제하였으며 은성,의주 판관을 거쳐 임진왜란때는 방답진철제사로서 충무공 이순신과 함께 참전하여 당항포, 한산,부산포 해전등에서 혁혁한 공을 세웠으며 노량해전에서 충무공 이순신이 전사하자 전군을 지휘하여 승리로 이끌었습니다. ----------------------------------------------------------------------------------------------------------------------------..

태종[이방원] 신도비문

■ 태종[이방원] 신도비문 [생졸년] 이방원『李芳遠, 1367년(공민왕 16)~1422년(세종 4)』 태종 36권, 18년(1418 무술 / 명 영락(永樂) 16년) 11월 8일(갑인) 6번째기사 예문관 대제학 변계량이 찬한 태종의 신도비문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신(臣) 변계량(卞季良) 에게 명하여 신도비문(神道碑文)을 찬(撰)하게 하였다. 그 글은 이러하였다. “하늘이 장차 유덕(有德)한 이에게 큰 임무를 내려주려 할 때에는 반드시 성자(聖子)·신손(神孫)을 낳게 하여 큰 운수를 열고 큰 복조(福祚)를 길게 하는 것이다. 우리 조선(朝鮮) 태조 강헌대왕(康獻大王)이 일어나시고, 우리 태종으로써 아들을 삼고 우리 전하로써 손자를 삼았었다. 아아, 성하도다! 어찌 인위(人爲)로써 능히 미칠 수가 있..

김국광 신도비명(金國光神道碑銘)-서거정(徐居正)

김국광 신도비명(金國光神道碑銘) - 서거정(徐居正) [생졸년] 김국광『金國光, 1415년(태종 15) ~ 1480년(성종 11)』 유명(有明) 조선국 정충출기적개 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 공신(精忠出氣敵愾純誠明亮經濟弘化佐理功臣)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좌의정 겸 영경연춘추관사(議政府左議政兼領經筵春秋館事) 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 증시(贈諡) 정정공(丁靖公) 김공(金公) 신도비명 전하 치세(治世) 12년(1481) 겨울 11월 정해일(17일)에 좌의정 김공이 병으로 정침(正寢)에서 졸하였다. 상이 크게 슬퍼하여 부의를 더 많이 내렸다. 이듬해 2월에 유사가 의장(儀仗)과 호위(護衛)를 갖추고, 고자(孤子) 극뉴(克忸) 등이 영구를 모시고서 연산현(連山縣) 동촌(東村) 왕대(王臺)의 언덕에 장례 지..

민정중 신도비명(閔鼎重神道碑銘) - 이재(李縡)

민정중 인물요약 민정중『閔鼎重, 1628년(인조 6) ~ 1692년(숙종 18)』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대수(大受)이고 호는 노봉(老峯), 본관은 여흥(驪興)이다. 그는 우암 송시열의 문인으로 1649년(인조 27년)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한 뒤 대사간, 대사헌, 이·공·호·병조의 판서와 참찬의정부사(參贊議政府事)에 이르렀다. 1675년(숙종 1년) 남인이 집권하자 서인으로서 장흥에 유배되었다가 숙종 6년(1680년)에 풀려나와 좌의정에 올랐다. 1689년(숙종 15년) 기사환국(己巳換局)때 남인이 재집권하자 벽동(碧潼)에 안치되어 죽었다. 뒤에 신원 복관되었고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이 비는 1744년(영조 20년)에 경기도 여주읍 하거리에 건립된 민정중신도비(閔鼎重神道碑)로 이재(李縡)가 비문..

윤옥 신도비명(尹玉神道碑銘) - 李誠中 撰

윤옥 신도비명(尹玉神道碑銘) - 이성중(李誠中) [생졸년] 윤옥『尹玉, 1511년(중종 6) ~`1584년(선조 17)』 공의 휘(諱)는 옥(玉)이고, 자(字)는 자온(子溫)이며, 호(號)는 동리(東里)로 무송(茂松)사람이니, 시조는 고려(高麗)의 보승 별장(保勝別將) 윤양비(尹良庇)이다. 별장이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윤의(尹誼)를 낳고, 장령이 좌간의 대부(左諫議大夫) 윤등(尹登)을 낳았고, 간의가 감찰 지평(監察持平) 윤제(尹瑅)를 낳았고, 지평이 안성 군사(安城軍事) 윤충보(尹忠輔)를 낳았는데 군사는 조선조(朝鮮朝)에 들어와서 여주(驪州)로 물러나와 사니 사람들이 그 절의를 높이 평가하였다. 군사가 광양 부원군(光陽府院君) 이무방(李茂芳)의 딸을 취(娶)하여 우정언(右正言) 윤미견(尹彌堅)을 낳..

한음 이공[이덕형] 신도비명 병서

옮긴일 : 2013. 06. 02(일) ◇이덕형『李德馨, 1561년(명종 16)~1613년(광해군 5)』 ◇신도비 소재지 :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목왕리 산 153, ◇묘소 소재지 :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목왕리 산82-1 ------------------------------------------------------------------------------------------------------------------------------------- 영의정 한음 이공 신도비명 병서 (領議政 漢陰 李公 神道碑銘 幷序) 이조판서겸 대제학 용주(龍洲) 조경(趙絅) 찬(撰) 고(故)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 영의정(議政府領議政) 겸(兼) 영경연사 홍문관 예문관 춘추관 관상감사(領經筵事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