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무관의 부인품계. 문무관의 처 정 1품 : 정경부인(貞敬夫人) 종 1품 : 정경부인 정 2품 : 정부인(貞夫人) 종 2품 : 정부인 정 3품(당상관) : 숙부인(淑夫人) 종 3품(당하관) : 숙인(淑人) 정 4품 : 영인(令人) 종 4품 : 영인 정 5품 : 공인(恭人) 종 5품 : 공인 정 6품 : 의인(宜人) 종 6품 : 의인 정 7품 : 안인(安人) 종 7품 : 안인 정 8품 : 단인(端人) 종 8품: 단인 정 9품 : 유인(孺人) 종 9품 : 유인 ■ 보학/고려와조선관직 2008.11.15
버들꽃[楊花] ■ 버들꽃[楊花=버들개지] 지은이 : 익재 이재현 1287년(충렬왕 14) ~ 1367년(공민왕 16) 꽃잎인가 눈송이런가 어찌 그리 하늘대나 / 似花非雪最顚狂(사화비설최전광) 넓은 하늘 살랑대는 바람에 아득히 나네. / 空濶風微轉渺茫(공활풍미전묘망) 개인날도 헤매다가 뒤뜰 깊이 떨어지고/ 晴日欲迷深院落(청일욕미심원락) 작은 연못 봄물위에 떠서 움직이지 않도다. / 春波不動小池塘(춘파부동소지당) 나부끼다 사뿐 섬돌에 앉으니 그림자도 없고/ 飄來鉛砌輕無影(표래구체경무영 날려와 사창에 부딪치니 향기 그윽하구나. / 吹入紗窓細有香(취입사창세유향) 문득 동고(東皐)에서 글읽던 곳 생각나네. / 却憶東臯讀書處(각억동고독서처) 붉은 꽃잎과 반이나 섞여 빈 책상에 지던...... / 半隨紅雨撲空床(반수홍우박공상) 익.. ■ 보학/한시(漢詩) 2008.11.11
龍野尋春(용야심춘) ■ 龍野尋春(용야심춘) 용야에서 봄을 찾아 (松都八詠 중 6首) 益齋 李齊賢(익재 이제현) 偶到溪邊藉碧蕪(우도계변자벽무) 우연히 시냇가에 이르러 푸른 풀 깔고 앉았는데, 春禽好事勸提壺(춘금호사권제호) 봄새도 흥에 겨워 술 마시기를 권하네. 起來欲覓花開處(기래욕멱화개처) 일어나 꽃 핀 곳 찾으려 하였더니 度水幽香近却無(도수유향근각무) 물 건너 그윽한 향기, 가까이 가면 문득 없어지네. ■ 보학/한시(漢詩) 2008.11.11
칠석(七夕) ■ 칠석(七夕) 익재 이 제 현 끊임없이 바라보아도 만나기가 어렵더니/脈脈相望邂逅難 하늘이 오늘 저녁 한 차례 모이도록 하는구나/天敎此夕一團欒 오작교 밑의 넓은 물 한스러운데/鵲橋已恨秋波遠 원앙금침 위에 밤 어이 견딜까/鴛枕那堪夜漏殘 인간 세상에도 모이면 흩어지지 않을 수 없는데/人世可能無聚散 신선 역시 슬픔과 기쁨 있다네/神仙也自有悲歡 오히려 낫구나 후예(后羿)의 아내가 불사약 훔쳐먹다가/猶勝羿婦偸靈藥 광한궁에서 외롭게 사는 것보다/萬古覊棲守廣寒 [주] 오히려……것보다 : 후예(后羿)는 고대의 활을 잘 쏜 사람이며, 광한궁(廣寒宮)은 달 나라에 있다는 궁전.《淮南子》 覽冥訓에 "후예가 서왕모(西王母)에게 불사약을 구했는데, 후예의 아내인 항아(姮娥)가 훔쳐 가지고 월궁(月宮)으로 달아났다." 하였으므로.. ■ 보학/한시(漢詩) 2008.11.11
金山寺(益齋 李齊賢) ■ 금산사(金山寺) 익재 이제현(益齋 李齊賢) 舊聞兜率莊嚴勝 (구문도솔 장엄 승) 도솔암 장엄하고 빼어난 경관에 대해 일찍이 들었지만 今見蓬萊氣像閒(금 견 봉래 기상한) 봉래산의 한가한 기상을 오늘에야 구경한다. 千步回廊延漲海(천보회랑 연창해) 천보나 되는 회랑은 넘실거리는 바다로 이어졌고 百層飛閣擁浮山(백층비각 옹 부산) 백 층의 나는 듯 한 누각 산에 안겨 떠있더라. 忘機露宿鐘聲裏(망기로 숙종성리) 세상 잊은 백로는 종소리에 잠들고 聽法龍蟠塔影間(청 법용 반 탑 영간) 법문 듣는 용은 탑 그림자 사이에 서렸더라. 雄跨軒前漁唱晩(웅과 헌 전 어창만) 난간에 걸터앉아 느저막히 어부가를 부르는데 練波如掃月如彎(연파여소월여만) 파도는 쓸어낸 듯 고요하고 달은 활처럼 굽었더라. ○도솔(兜 率) : 욕계(欲界).. ■ 보학/한시(漢詩) 2008.11.11
고풍(古風) ■ 고풍(古風) 익재 이제현(益齋 李齊賢 :1287∼1367) 公子遠行役 / 멀리 여행 떠나는 공자 鞍馬光翕혁 / 안장이랑 말이랑 윤나기도 하여라. 憔悴玉樓女 / 시름에 여윈 옥루 위의 여자 忍淚不敎滴 / 눈물짓지 않으려 애써 참네. 念之不可忘 / 생각을 잊을 길 없어 奮飛無羽翼 / 푸드덕 날아 따라가려도 날개가 없네. 寒鍾鳴苦遲 / 차가운 쇠북 소리는 더디기도 하여라. 何時東方白 / 동방은 언제나 밝아 오려나. 三冬天地閉 / 겨울이 깊어 천지가 얼어붙으니 龍蛇蟄幽宮 / 용과 뱀은 깊이 묻혀 잠을 자네 世道多反覆 / 세상길은 번복도 많구나. 君子有固窮 / 군자는 곤궁을 참고 견딜 뿐 虛窓列遠岫 / 빈 창 앞엔 먼 멧부리 늘어섰고 白雲度晴空 / 흰 구름은 개인 하늘을 지난다. 從嗔不迎客 / 욕하건 말건 손.. ■ 보학/한시(漢詩) 2008.11.11
심충겸 묘(沈忠謙墓) 심충겸 묘(沈忠謙墓) 생졸년 : 1545년 ∼ 1594년) ↑마을 입구에 들어서면 멀리 전면에 묘역이 보인다. ↑위 치 :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아신리 산 135-1 묘역은 최근에 정비하여 잔디가 새로 입혀져 있고... 큰 비에 대비하여 비닐을 씌웠다. ↑윗쪽에 있는 묘가 심충겸선생 묘이다... ↑마침 찾아간 날 비가 내려 땅이 질퍽거렸다. ↑심충겸 상석(沈忠謙床石) ↑심충겸 묘표((沈忠謙墓表) ↑문인석 및 망주 ↑심충겸 선생의 신도비는 묘역 우측의 자연석 바위 위에 세워져 있다. ↑묘역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 ↑심충겸 선생 묘역 후경이다(남한강물이 묘를 향해 입수되고 있다) 사진출처 : 나홀로테마여행(능원묘 자료 및 회원 답사기 게시판) ㅣ 글쓴이 : 릴리리아 ■ 심충겸(沈忠謙) 심충겸[沈忠謙, 1545.. ■ 보학/선현들의 묘. 2008.11.02
조선시대 양반계급의 인구수 ■조선시대 양반계급의 인구수 조선시대 양반계급의 인구 통계는 1910년의 전국 호구조사에서 확인이 되는데, 조선의 총 가구(家口) 수 289만 4,777호 가운데 양반이 5만 4,217호로 전 인구의 겨우 1.9%에 불과했다. 그 가운데 충청남도가 충남 전체 가구 수의 10.3%로 가장 양반이 많았고, 충북(4.5%), 경북(3.8%), 서울인 한성(2.1%) 그리고, 전북(1%) 순이었다. 여타 도는 모두 1% 미만이고 양반이 많았던 고을은 경북 경주군(2,599호), 충남 목천군, 경북 풍기군(지금의 영주), 충남 공주군 순이었다. 경상북도와 충청도, 한성(서울)에 양반들이 집중되어 있었고, 그나마도 전 인구의 5%를 넘지 못했다. 그러므로 현재 우리나라 전 인구의 대부분은 중인, 상민(상놈)이나 천.. ■ 보학/족보관련문 2008.10.24
충남권역 묘역 답사 ◈답사지 : 충남권 묘지 ◈일 시 : 2008.10.19(일) 08:00 ~ 21:30 ◈인 원 : 7명 ↑첫 답사지로 찾은 천안 현충사 연못전경 ↑현충사권역의 우측상단에 위치한 충무공의 셋째 아들 이면(李葂, 1577년 ~ 1597년)의 묘역을 오르는 계단. ↑충무공의 셋째 아들 이면의 묘역 후경 ↑충무공 이순신장군의 영정을 모신 사당(본전) 모습 ↑현충사에서 9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이순신장군묘역의 초입에 위치한 신도비모습 ↑멀리서 바라 본 이순신장군 묘역전경 ↑가까이서 바라 본 이순신장군 묘역전경 ↑제4대 윤보선(尹潽善) 전 대통령 묘역전경 ↑윤보선(尹潽善, 1897년 8월 26일 ~ 1990년 7월 18일) 전 대통령 묘역의 후경 ↑김옥균(金玉均, 1851~94) 묘역전경 ↑김옥균 묘역 뒷 편에.. ■ 보학/선현들의 묘. 2008.10.22
나만갑 선생묘. ■ 나만갑(羅萬甲 : 조선중기의 문신) 1592(선조 25) ~ 1642(인조 20). 병자호란 때 군량 공급에 공을 세웠다. 본관은 안정(安定). 자는 몽뢰(夢賚), 호는 구포(鷗浦). 아버지는 세자시강원 보덕(輔德)을 지낸 급(級)이다. 장인인 정엽(鄭曄)에게 배웠다. 1613년(광해군 5) 진사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입학했다. 인목대비 유폐사건이 일어나자 낙향했다. 1623년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순릉참봉이 되고, 알성문과에 급제하여 수찬이 되었다. 1625년 교리로 있을 때 서인(西人)인 김유(金瑬)가 북인인 남이공(南以恭)을 등용하자 이에 반대하다. 강동현감으로 쫓겨났다. 1627년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종사관이 되어 왕을 따라 강화도에 갔다. 병조정랑·수찬·지평·홍주목사·형조참의를 거쳐, 1636.. ■ 보학/선현들의 묘. 2008.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