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 1744

4. 주요 성씨별 인구.

■ 주요 성씨별 인구 구뷴 인구수 구성비 계 45,985,289 100.0 김(金) 9,925,949 21.6 이(李) 6,794,637 14.8 박(朴) 3,895,121 8.5 최(崔) 2,169,704 4.7 정(鄭) 2,010,117 4.4 강(姜) 1,044,386 2.3 조(趙) 984,913 2.1 윤(尹) 948,600 2.1 장(張) 919,339 2.0 임(林) 762,767 1.7 오(吳) 706,908 1.5 한(韓) 704,365 1.5 신(申) 698,171 1.5 서(徐) 693,954 1.5 권(權) 652,495 1.4 황(黃) 644,294 1.4 안(安) 637,786 1.4 송(宋) 634,345 1.4 유(柳) 603,084 1.3 홍(洪) 518,635 1.1 ※ ..

3. 성씨별 가구 및 인구수(2000년 통계청 인구조사).

■성씨별 가구 및 인구수(2000년 통계청 조사) 순위 성씨 가구 인구 전국 14,326,224 45,985,289 1 김(金) 3,102,537 9,925.949 2 이(李) 2,113,007 6,794,637 3 박(朴) 1,215,918 3,895,121 4 최(崔) 676,773 2,169,704 5 정(鄭) 626,265 2,010,117 6 강(姜) 325,288 1,044,386 7 조(趙) 306,022 984,913 8 윤(尹) 294,708 948,600 9 장(張) 287,195 919,339 10 임(林) 237,145 762,767 11 오(吳) 219,548 706,908 12 한(韓) 218,821 704,365 13 신(申) 217,591 698,171 14 서(徐) 215,..

생활예절.

유용한 생활예절 촌수 따지는 법 예절이란 무엇인가? 호칭과 지칭 촌수 따지는 법 계촌법 관계 명칭 고금관작대조표 조선조 품계-내외별 관작명 한국은 예절의 나라 예절의 기본지식 예절과 에티켓 예절의 종류 예절의 공부와 실천 요령 호칭과 지칭 친족의 호칭 며느리와 시댁 외가의 관계 명칭 처가와 사위의 관계 사돈간의 호칭 배례법과 경례,악수 예절 예절의 방위와 상하석 공통 예절 읍례와 굴신례 절의 종류와 절하는 법 경례의 종류와 방법 악수의 방법 예절의 방위 남좌여우는 남동여서 상하석의 기준 좌석 배치의 실제 '우리'로 더불어 사는 길 위계질서 사람의 기본윤리 공손한 자세 공수하는 방법 상장례 (喪葬禮) 제례(祭禮) 문답으로 본 예절 상식 고례의 상장례 상장례의 기본정신 초종 목욕, 습, 염, 입관 상복의 제..

정의공주 묘(貞懿公主 墓)/세종의 2녀

↑소재지: 도봉구 방학동 산63번지 ↑정의공주(貞懿公主)의 남편 연창위(延昌尉) 안맹담(安孟聃)의 신도비 ◈교통이용편 1, 4호선 창동역 1번 출구에서 1161, 1144번 버스 이용 정의공주묘 하차. 2. 4호선 쌍문역 2번출구 130번 버스 이용 정의공주묘 하차. ◈정의공주(貞懿公主) 1415년(태종 15)∼1477년(성종 8). 세종(世宗)의 둘째 딸로 어머니는 소현왕후심씨(昭憲王后沈氏)이다. 관찰사 안망지(安望之)의 아들 연창위(延昌尉) 안맹담(安孟聃)에게 하가(下嫁)하였다. 안맹담은 1462년(세조 8)에 죽었다. 1469년(예종 1)에 정의공주(貞懿公主)는 남편인 안맹담이 죽자 남편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 상‧중‧하를 간행하였다. 이책은 보물 966호로 지정되었다. ..

강화도 교동을 관향으로 하는 성씨들.

■ 강화도 교동을 관향으로 하는 성씨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본토성(土姓)이 셋인데 고(高),인(印),전(田),안(安)등을 들었으며 안씨는 속성(續姓)이라하여 나중에 들어 왔음을 밝히고 있다. 교동지에 의하면 황(창원黃),한(청주韓),전(안동全),권(안동權),방(온양方), 이(전주李)씨등을 대성(大姓)으로 꼽고 있다. ●교동인씨(喬桐 印氏) 교동인씨(印氏)는 중국 진(晉)나라의 서(瑞)가 신라 유례왕때 들어와 아찬(阿)의 벼슬을 하고 그의 후손 빈이 고려 인 종 때 한림학사, 문하시사(門下侍史)를 지내고 교동부원군에 봉해짐으로써 그 자손이 교동으로 관적하게 되었다. 빈이 교동인씨의 시조로 되어왔으나 《교동인씨세보》(1936)에는 빈의 후손 당이 시조(1세)로 되어 있다. 당은 공민왕 때 서북면병마사로서 압..

상선 김새신 묘( 尙膳金璽信 墓).

초상화로 접한 내시공신 묘역을 찾다. 서울 강남구 신사동 덕산중학교 뒷산, 유일한 내시공신. 초상화 주인공 '김새신'의 묘. 지난 일요일(4월 29일) 오후 유일한 내시(內侍) 공신(功臣) 초상화의 주인공 묘역을 찾아 길을 떠났다. 내시와 궁녀 관계' 책을 출간한 바,있는 필자로서는 그동안 답사했던 어느 곳보다 호기심을 자극하는 곳이었다. 처음 소식을 접하고 탐방한 것이 2006년 4월이었으니 이번이 3번째 답사인 셈이다. 첫 답사 땐 서울 은평구 신사동 산 31번지 덕산(德山)중학교 뒷산이라는 정보만 가지고 무작정 답사 길에 올랐었다. 100미터 전방에서 학교 뒷담 뒤로 문인석이 있는 묘가 시야에 들어왔다. 직감적으로 '저거다' 하는 예감이 들었다. ↑내시부 상선 김새신묘(은평구 신사동 산31번지). ..

신라왕릉의 벌초.

신라 왕릉 벌초 MBC |기사입력 2008.07.27 23:24|최종수정 2008.07.27 23:24[뉴스데스크] 경주에서는 요즘 둘레 100m가 넘는 대형 고분 벌초작업이 한창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여기에는 특별한 비법이 있다고 하네요. 이규설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벌초 인부들이 나선형으로 빙글빙글 돌면서 잔디를 깍아 내려옵니다. 경사면에서도 자유자재로 작업을 할 수 있는 데는 비법이 있습니다. 제초기는 미끄러지지 않도록 밧줄과 연결돼 있고, 작업자들은 모두 빙판에서 사용하 는 '아이젠'을 착용하고 있습니다. 배종도/왕릉벌초전문가 "비탈이라서 발목이 휘청거려 넘어가고, 발바닥이 다 부르트고 그게 제일 힘들어요!" 40도가 넘는 경사면에서 작업을 하려면, 기술이 필요합니다. 특히 제초기를 운영하는 사..

권 원수(權元帥,權慄) 행주비(幸州碑)

■권 원수(權元帥)의 행주비(幸州碑) 간이 최립 찬(簡易 崔岦 撰) 유명조선국(有明朝鮮國) 제도 도원수(諸道都元帥) 정헌대부(正憲大夫)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증(贈) 숭정대부(崇政大夫) 의정부좌찬성 겸 판의금부사 지경연춘추관사 홍문관제학 동지성균관사 권공 율(權公慄)이 세상을 떠난 지 일년이 지나고 나서, 공의 막료(幕僚)였던 사람들이 ‘공이 전에 거두었던 행주(幸州)의 승첩(勝捷) 이야말로 그 공이 워낙 컸던 만큼 그 당시 현장의 언덕에 비를 세워 그 공적을 영원히 전하는 것이 마땅하다’는 뜻으로, 공의 사위인 현재의 영상(領相) 이공(李公)을 찾아가 나에게 글을 보내 비문을 청하도록 부탁하기에 이르렀다. 삼가 살펴보건대, 임진년 4월에 일본이 병력을 대대적으로 동원하여 우리나라를 침범해 왔다. 그러..

조(弔)와 상(傷)의 구별.

에 弔와 傷의 구별 知生者면 弔하고, 知死者면 傷이니 知生而不知死는 弔而不傷하고 知死而不知生은 傷而不弔니라. "고인은 모르지만 고인의 유가족을 알면, 조(弔)를 하고, 반대로 고인의 유가족은 모르지만 고인을 알면 상(傷)을 한다. 즉 조(弔)는 상주를 위로하는 것이고, 상(傷)은 죽은 사람을 위하여 애도하는 것이니. 죽은 사람만 알 경우에는 영위에 곡하고 재배만 할 뿐, 상주에게 위문하지 않으며, 산 사람만 알 경우에는 상주에게 위로만 할 뿐, 영위에 곡을 하거나 재배하지 않는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