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 1744

백화도량발원문약해(白花道場發願文略解)

■ 백화도량발원문약해(白花道場發願文略解) ◈유형 : 문헌 ◈시대 : 고려말 ◈성격 : 불교서적 ◈편저자 : 체원(體元), 의상(義湘) ◈제작시기 : 1328년(고려 충숙왕 복위3),~1334년(충숙왕 15) ◈권수/책수 : 1권 1책 ◈간행/발행/발급자(처) : 해인사, 계림부 ◈소장처 : 해인사, 국립중앙도서관, 규장각 목차 1.정의 2.개설 3.내용 4.의의와 평가 1.정의 고려 말기의 승려 체원(體元)이 의상(義湘)의 <백화도량발원문>을 해설한 책. 1권 1책. 목판본. 2.개설 1328년(충숙왕 복위 3)에 체원이 해인사에서 원문의 각 구절 밑에 주석하였고, 법지(法之)가 교감(校勘)하였으며, 1334년(충숙왕 15)에 계림부(鷄林府)에서 개판하였다. 발문에 의하면 이 책을 저술하기 전에 《별행소..

재사당가(再思堂歌) 이원(李黿)

■ 재사당가(再思堂歌) - 이원(李黿) 삼사불가(三思不可) / 세번생각은 불가하고 재사가의(再思可矣) / 두번 생각만이 옳다네. 당당기상(堂堂氣像 / 당당한 기상은 여귀절사(如歸節死 / 절개 지키어 죽은 것과 같아 화작무오(禍作戊午 / 화가 무오사화에 미쳐 유우갑자(流干甲子) / 갑자사화에 귀양가다. 익재 취금(益齋醉琴) / 익재와 취금에게 유손여피(有孫如彼) / 손자있어 저와같아 원이명명(黿以命名) / 원이라 이름 명했으니 협몽탄시(叶夢厥始) / 처음이 꿈과도 맞았구나. -----------------------------------------------------------------------------------------------------------------------------------..

점필재 김종직선생 신도비명 병서.

점필재 김종직 선생 신도비명 병서 (佔畢齋 金宗直 先生 神道碑銘 幷序) 홍귀달(洪貴達) 찬(撰) 덕행(德行), 문장(文章), 정사(政事)는 공문(孔門)의 고제(高弟)로서도 겸한 이가 있지 않았으니, 더구나 그 밖의 사람이야 말할 나위가 있겠는가. 재주가 우수한 사람은 행실에 결점이 있고, 성품이 소박한 사람은 다스림이 졸렬한 것이 바로 일반적인 상태이다. 그런데 우리 문간공(文簡公) 같은 이는 그렇지 않다. 행실은 남의 표본이 되고 학문은 남의 스승이 되었으며, 생존시에는 상(上)이 후히 대우하였고 작고한 뒤에는 뭇 사람들이 슬퍼하며 사모하였으니, 어쩌면 공의 한 몸이 경중(輕重)에 그토록 관계될 수 있었단 말인가. 공의 휘(諱)는 종직(宗直)이고 자는 계온(季昷)이며 선산인(善山人)으로 호는 점필재(佔..

경주이씨에서 전주이씨의 분적설.

"성(姓)"은 `여자[女]에게서 태어났다. [生]은 뜻으로 옛날 모계제도(母系制度) 하에서 어머니를 중심으로 이어가는 세계(世系)를 부른 데서 유래한다. 따라서 성은 한 어머니의 혈통이라는 것을 밝히고 다른 모계의 혈통과만 결혼할 수 있는 표준이 된다. 곧 "성"은 혈연을 밝히고 혼인을 구분하는 잣대가 되었다. 그러므로 동성(同姓)끼리는 혼인을 하지 않아 근친 번식을 막음으로서 우량한 종족을 보존하려 했던 것이다. 오늘날 동성동본 결혼 금지의 요인이 이때부터 있었다고 할 것이다. 그래서 옛날 중국의 원시적인 성은 모두 "여(女)"자가 붙게 되었다고 한다. 곧 희(姬). 요(姚). 강(姜). 루(婁)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씨(氏)"는 원래 "성(姓)의 갈래[分.支]"를 말하는 것으로 "뿌리가 갈라져 나..

송 반룡 여 대사 서(送盤龍如大師序) - 최해(崔瀣).

송 반룡 여 대사 서(送盤龍如大師序) 지은이 : 최해(崔瀣). 글쓴연도 : 1354년(공민왕 3) 반룡정사(盤龍精舍)는 내가 보지 못했다. 젊어서 이 미수(李眉叟=李仁老의 字)의 시(詩)를 뒤져보니 시집 가운데 대숙도리(大叔闍梨)와 더불어 왕복한 시가 없는 권이 없는데, 그가 능히 수습하고 무마하여 성립하게 한 것을 칭도하였다. 처음에 도리(闍梨)가 어떤 사람인지 모르고 다만 부도(浮屠)가 되었으나 독실한 행위는 사부로서도 미치지 못할 바가 있음을 기특히 여겼을 뿐이었다. 그러나 뒤에 이 씨의 종인(宗人)을 만나서 물어본즉 실로 반룡사(盤龍社)를 개설한 승통(僧統) 일공(一公)이었다. 사(社)는 부처를 배우는 자가 자포자기하는 데 그치는 것을 민망히 여겨 격려를 가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라 하니, 더구나..

송자대전(宋子大全)

송자대전(宋子大全) 형태서지 | 저자 | 가계도 | 행력 | 편찬 및 간행 | 구성과 내용 ●형태서지 권수제 宋子大全 판심제 宋子大全 간종 목판본 간행년 1787年刊 권책 卷首, 目錄 2권, 原集 215권, 附錄 19권 합 102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22.5×17.8(㎝) 어미 無魚尾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도서번호 奎15693 총간집수 한국문집총간 108~116 ●저자 성명 송시열(宋時烈) 생년 1607년(선조 40) 몰년 1689년(숙종 15) 아명 聖賚 자 英甫 호 尤庵, 華陽洞主, 南澗老叟, 橋山老父 본관 恩津 시호 文正 특기사항 金長生, 金集의 門人. 老論의 영수 ●초록 215권 102책. 목판본. 최초의 판본은 그의 사후에 문인 권상하(權尙夏)가 100여 권으로 편집한 것인데, 간..

李穀先生墓碣文/稼亭碑記/神道碑銘。

■ 가정 이곡 선생 묘갈비(稼亭李穀先生墓碣碑) [생졸년] 이곡『李穀, 1298년(충렬왕 24)~1351년(충정왕 3)』 [연 대] 1525년(중종 20년) [유형/재질] 비문/돌 [문화재지정] 비지정 [크 기] [소재지]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광암리 [서체] 해서(楷書)/찬자/서자/각자] : 미상 / 미상 / 미상 [개관] 1526년(중종 21) 좌의정 유청(惟淸) 등에 의해 세워진 이곡(李穀)의 묘갈(墓碣)이다. 이곡(1298~1351)은 고려 후기의 학자로, 한산의 문헌서원(文獻書院), 영해의 단산서원 (丹山書院) 등에 배향되었다. 중국 원나라의 봉의대부(宣授奉議大夫) 정동행중서성 좌우사낭중(征東行中書省左右司郎中)에 제수되고, 고려의 광정대부(匡正大夫) 도첨의찬성사 우문관대제학 감춘추관사 상호군(都..

목은 이색 신도비명(牧隱 李穡 神道碑銘)

■ 목은 이색 신도비명(牧隱 李穡神道碑銘) ◈ 시 대 : 조선 ◈ 연 대 : 1433년(세종 15) ◈ 유형/재질 : 비문/돌 ◈ 문화재지정 : 기타문화재-문화재자료 제127호 ◈ 크 기 : ◈ 소재지 : 충남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 문헌서원 ◈ 서 체 : 해서(楷書), 제액(題額) : 전서(篆書) ◈ 찬자/서자/각자 : 하륜(河崙) .이수경(李壽慶), 전액(篆額) 김수항(金壽恒) .미상 -------------------------------------------------------------------------------------------------------------------------------------- ◈ 개 관 이 비석은 문헌 서원 부근에 있다. 처음 비석은 세종 15년(1433년..

우암 송시열 선생 신도비(尤庵 宋時烈 先生 碑)-정조대왕

송시열 신도비(宋時烈 神道碑) [시 대] 조선 [연 대] 1779년(정조 3) [유형/재질] 비문/돌 [문화재지정] 비지정 [크 기] 높이>238Cm, /너비>108Cm, /두 께>53Cm [서 체] 해서 [찬자/서자/각자] 정조(正祖)/집자>안진경(安眞卿) . 미상 [개 관] 이 비는 1779년(정조 3년) 충청북도 괴산에 건립된 송시열비(宋時烈碑)로 당대 임금인 정조(正祖)가 직접 비문을 지었고, 글씨는 당나라의 명필인 안진경(安眞卿)의 글자를 집자 하였다. 송시열(1607년~1689년)의 자는 영보(英甫), 호는 우암(尤庵), 시호는 문정(文正)으로 조선 중기의 정치가이자 주자학의 대가로 노론의 영수였다. 숙종 15년에 장희빈의 아들(후일의 경종)을 세자로 책봉하는 것에 대해 반대하다가 사약을 받았..

이정영의 묘(李正英의 墓)

◇문화재 지정번호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94호 ◇지정년월일 : 1994년 5월 10일 ◇시 대 : 조선시대, 17세기 말 ◇규모양식 : 16,040㎡ ◇소유자 : 전주이씨 함풍군파종회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4동 산 44-7 조선 후기의 문신인 서곡(西谷) 이정영(1616∼1686)의 묘이다. 이정영(李正英)의 자는 자수(子修), 호는 서곡(西谷), 시호(諡號)는 효간(孝簡)으로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그는 정종(定宗)의 아들 열다섯 가운데 열째인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증손(曾孫) 함풍군(咸豐君) 이계수(李繼壽)가 이정영의 고조(高祖)이다. 증조(曾祖)는 증(贈) 찬성(贊成) 이수광(李秀光)이고, 조부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이유간(李惟侃)이며, 아버지는 호조판서 이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