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 1744

포은 정선생 신도비명 병서(圃隱 鄭先生 神道碑銘 幷序)

■ 포은 정 선생 신도비명 병서 (圃隱 鄭先生 神道碑銘 幷序) 우암 송시열 찬(尤庵 宋時烈 撰) 포은 선생이 가신 지 280여 년 만에 후학 은진(恩津) 송시열이 다음과 같이 말한다. 대저 도(道)란 천하를 상대로는 없어진 적이 없으나, 사람을 상대로는 끊이고 이어지는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도가 세상에 행하여지는 데는 밝고 어두운 시대가 없을 수 없으니, 이는 바로 주 부자(朱夫子 주희(朱熹))의, “이는 다 천명에 좌우되는 것이요 사람의 지력으로 미칠 바가 아니다.” 는 것이다. 아! 선생 같은 이야 어찌 여기에 해당하는 분이 아니겠는가. 선생은 호걸스런 재주와 우뚝 선 자질로 고려의 말기에 나서 그 임금에게 몸과 마음을 다하여 원만한 신하의 도리가 이미 사책(史冊)에 전해져 고인들과 맞설 수 있으니..

정부인 경주이씨 묘갈명 - 청호공 이희 차녀

■ 정부인 경주이씨 묘갈명(貞夫人 慶州李氏 墓碣銘) (경상도관찰사 청호공 이희의 차녀) 용재 이행 지음(容齋 李荇 撰) 계림 이씨(鷄林李氏)는 고려 제현(齊賢)으로부터 현달하기 시작하였으니, 삼중대광(三重大匡)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이었다. 그의 아들 달존(達尊)은 보문각 제학(寶文閣提學)이었고, 이분이 소부윤(少府尹) 휘 학림(學林)을 낳았다. 소부윤은 승정원 우부대언(承政院右副代言) 휘 담(擔)을 낳았고, 우부대언은 경상도 관찰출척사(慶尙道觀察黜陟使) 휘 희(暿)를 낳았다. 관찰출척사는 모현(某縣) 안씨(安氏)를 아내로 맞았으니 형조 판서 안등(安騰)의 따님으로, 이분이 부인을 낳아 이공(李公)에게 출가시켰다. 철성 이씨(鐵城李氏)는 고려 존비(尊庇)로부터 현달하기 시작하였으니, 판밀직사사 세자원빈(..

농암 이현보 신도비명(聾巖李賢輔神道碑銘)

지중추부사 이현보 신도비명 병서 知中樞府事 李賢輔 神道碑銘 幷序 ◈시 대 : 조선 ◈ 연 대 : 1566년(명종 21) ◈유형/재질 : 비문/돌 ◈문화재지정 : 기타문화재-문화재자료 제64호 ◈ 크 기 : 높이 200cm, 너비 84cm, 두께 23cm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신남리 ◈찬자/서자/각자 : 홍섬(洪暹) / 송인(宋寅) / 미상 농암 이현보 신도비(聾巖 李賢輔 神道碑)는 원래 주진다리를 건너 예안면 정산리·인계리·삼계리를 지나 신남 리(정자골) 383번지 농암 이현보의 묘소 앞에 세워져 있었으나, 2006년 안동시 도산면 가송길 162~133(가송리 612번지) 농암 종택 경내로 이전하였다. -------------------------------------------------..

해주오씨족도 [海州吳氏族圖]

■ 해주오씨족도(海州吳氏族圖) ▲1401년(태종 1) 오선경(吳先敬)이 작성한 해주오씨의 족도. 크기는 가로 112cm×세로 115cm 이며, 장지(壯紙), 필사본이다. 현재 오광정(吳光廷)의 19세손 오경환(吳璟煥)씨가 소장하고 있다. 족도는 특별한 체제에 구애되지 않고 대수에 따라 종으로 후손들을 도식(圖式)한 족보의 초기 형태이다. 15세기 이전에는 대부분 이런 방식으로 가계를 기록했으며, 15세기 중반 경에 보도(譜圖)를 기본으로 하여 자표(字標), 범례(凡例), 부록(附錄), 서발문(序跋文) 등이 추가되면서 정식의 족보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이 족도의 체제는 표제(表題), 족도(族圖), 발문(跋文)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제인 해주오씨족도는 원래의 명칭은 아니고 후대에 첨부된 것이며, 그 하단에는..

名閥, 名門, 甲族의 區分과 基準(高麗 및 朝鮮時代)

고려숭의전사와 각 문중의 족보기사를 참고로 하였다 상신(相臣)은 고려의 삼사(三師), 삼공(三公)과 문하시중(門下侍中) 판삼사사(判三司事) 삼중대광(三重大匡) 중대광(重大匡)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중서령(中書令) 상서령(尙書令)과 조선의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으로 하고' 상신과 문형을 많이 배출한 순위로 명문의 순위명문 선정에 공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고려사 및 고려사절요와 문헌비고 및 상신록(相臣錄)과 문형록(文衡錄)의 기록을 근거로 하고 를 분류하되 문장지문(文章 之門)을 우선으로 하였다. 순위의 공정을 기하기 위하여 영상(領相) 3점' 좌상(左相) 2점' 우상(右相) 1점' 문형(文衡) 1점으로 하여 다수점(多數點)으로 하되 동점인 경우는 고위직 다수순으로 하고' 비록 상신수는 많이 배출하였다 ..

안동 묵계서원(安東 默溪書院)

↑묵계서원(默溪書院) ↑만휴정(晩休亭) ■ 묵계서원(默溪書院)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 705. 735-1 ◇문화재지정일 :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19호 이 서원은 보백당(寶白堂) 김계행「金係行, 1431년(세종 13)~1517년(중종12)」과 응계(凝溪) 옥고「玉沽, 1382(우왕 8)~1436(세종 18)」를 봉향하는 서원으로, 1687년(숙종 13)에 창건되었다. 김계행(金係行)의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자는 취사(取斯), 호는 보백당(寶白堂). 김득우(金得雨)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혁(金革)이고, 아버지는 비안현감(比安縣監) 김삼근(金三近)이며, 어머니는 김전(金腆)의 딸이다. 1447년 진사가 되고 성균관에 입학하여 김종직(金宗直) 등과 교유하며 학문을 익혔다. 그 뒤 성주·..

우탁 유허비(禹倬遺墟碑)

고려 제주 우 선생유허(髙麗祭酒禹先生遺墟) [우탁(禹倬) 선생 생졸년] 1263년(원종 4)∼1342년(충혜왕 3) 선생이 세상을 떠난 충혜왕(忠恵王) 임오년(1342년)으로부터 447년 뒤인 기유 년(정조 13, 1789년) 9월 일 세움. [시대] 조선 [연대] 1789년(정조13년) [유형/재질] 비문/돌 [문화재지정] 비지정 [크기] 높이 180cm, 너비 77cm, 두께 32cm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오천리 [서체] 해서(楷書) [찬자/서자/각자] 이휘재(李彙載) / 김흘락(金興洛) / 미상 [개관] 이비는1789년(정조13년)의 우탁유허비(禹倬遺墟碑)로 이휘재(李彙載)가 비문을 지었고, 김흘락(金興洛)이 글씨를 썼다. 우탁(禹倬:1263~1342년)의 본관은 단양이고, 자는 천장(..

권행 묘표. 신도비명(權幸墓表/神道碑銘)

■ 권행 묘표(權幸墓表) [시대] 조선 [연대] 1588년(선조 21년) [유형/재질] 비문/돌 [문화재지정] 비지정 [크기]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 393 번지 [서체] 해서(楷書) [찬자/서자/각자 ] 유성룡(柳成龍) / 권오(權晤) / 미상 [개관] 1588년(선조21)에 세워진 권행(權幸)의 묘표이다. 찬자는 조선중기의 문신인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이고, 서자는 권 행의 22세손인 권오(權晤)이다. 권행(생몰년 미상)은 고려태조 때의 공신으로 안동 권씨(安東權氏)의 시조이다. 본래 신라의 종성(宗姓)으로 신라말엽 공이 고창군(古昌郡)을 맡고 있다가 지리적인 이유로 고려조에 투항하여 권 씨 성을 하사 받았다. 성이 김(金)에서 권(權)으로 된 것이 공으로부터 시작되었는데, 그..

명재 윤증 고택(明齋尹拯古宅)

■ 논산 명재 윤증선생고택(論山 明齋 尹拯先生 古宅) [종 목] 중요민속자료 제190호 [명 칭] 윤증선생고택(尹拯先生故宅) [분 류] 유적건조물/가옥 [수량 및 면적] 2동 [지정일] 1984년 12월 24일 [소재지] 충남 논산시 노성면 교촌리 306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 윤완식 [연락처] 041~735!1215 윤증선생고택(尹拯先生故宅)은 조선조 숙종때의 학자인 윤증(1629∼1714)이 지었다고 전하는 집이다. 후대에 수리가 있었겠지만, 그 세부 기법은 19세기 중엽의 건축 양식을 보이고 있다. 노성산성이 있는 이 산의 산자락에 노성향교와 나란히 남향으로 배치되 있다. 높은 기단 위에 앞면 4칸·옆면 2칸 규모의 사랑채가 있고, 왼쪽 1칸 뒤로 一 자형의 중문간 채가 자리 잡고 있다. 중..

분수를 알고 지켜야.

■분수를 알고 지켜야. 人之資品。各有等級。小者不可以處大。愚者不可以窺高。 인지자품 각유등급 소자불가이처대 우자불가이규고 각기(各其) 사람의 자품(資品)엔 등급이 있어, 작은 자 큰 자리에 임할 수 없고, 어리석은 자, 높은 자리를 엿 보아서는 아니 된다. 사소명소(辭召命疏) : 부르는 명령을 사양한 소, ◇성혼(成渾)의《우계집(牛溪集)》에서 -------------------------------------------------------------------------------------------------------------------------------------- 위의 글은 우계(牛溪) 성혼(成渾) 1535~1598)이 선조 7년(1574년) 공조 정랑(工曹正郞)에 임명되자 그가 벼슬을 사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