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 1744

서애 유성룡선생 불천위 제사 모습/유성룡선생 생가

■ 서애 유성룡선생 불천위 제사 모습. ↑후손들이 제사 참례를 위하여 모이고 있습니다. ↑제사에 쓰일 제물들을 정성으로 준비중이다. ↑제사에 쓰일 제물을 준비하는 중입니다. 쌓고 있는 것은 밀가루를 막걸리로 반죽해 여러번 찰 지게 만들어 준 다음 매작과처럼 잘라 준 다음 기름에 구워 내는 이름이 중계라는 음식으로 서애선생 제사에 꼭 쓰이는 음식이다. ↑생선 육류 등 제물은 대부분 날것으로 쓴다고 합니다. 단 문어는 익힌 것으로 한다내요. ↑제물을 쌓아둔 모습입니다. 생선 육류중 익힌 것은 문어뿐이라 제사가 끝나고 나면 생것으로 나누어 참례 자들이 가져가게 한다내요. ↑제물 진설이 완성된 사진입니다. 제상 면적이 쫍아서 다 올릴수 없음으로 우측 하단에 추가 진설하고 있 습니다. ↑참석자들이 서립해서 경건한..

정창손 신도비명(鄭昌孫神道碑銘)

■정창손 신도비명(鄭昌孫神道碑銘) [시 대] 조선 [연 대] 1623년(인조1년) [유형/재질] 비문 . 돌 [문화재지정] 기타문화재 - 문화재자료 제 85호 [크 기] 높이 186cm, 너비 73cm, 두께 25cm [소 재 지]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부용리 427~2 [서 체] 해서(楷書) [찬자/서자/각자] 서거정(徐居正) . 심열(沈悅) . 미상 ●개 관 1623년(인조1년) 양평군 양서면 부용리에 세워진 정창손(鄭昌孫)의 신도비이다. 신도비는 본래 정창손의 집현전문하인 서거정이 1488년(성종 19년) 찬술하여 세웠으나 갑자사화 때 정창손이 부관 참시되어 비석도 파쇄(破碎)되었다.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정창손이 신원(伸寃)되자 그의 외5대손인 이원익(李元翼)의 주선으로 내외후손들이 비용을 내어..

상촌 신흠 신도비명(象村申欽神道碑銘)

문정공 상촌 신흠 신도비(文貞公象村申欽神道碑) [시 대] 조선 [연 대] 1699년(숙종25년) [유형/재질] 비문 / 돌 [문화재지정] 시도지정문화재 - 경기도기념물 제 145호 [크 기] 높이 215cm, 너비 94cm, 두께 208m [소재지]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영동리 산12-1 [서 체] 해서 [찬자/서자/각자] 이정구(李廷龜) . 심열(沈悅) . 미상 ------------------------------------------------------------------------------------------------------------------------------------ 1699년(숙종 25년)에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영동리에 건립된 신흠(申欽)의 신도비이다. 비의 찬자는 이정..

오윤겸 선생 묘갈명 /묘지명。

■ 추탄 오윤겸 선생 묘갈비(楸灘 吳允謙 先生 墓碣碑)。 ◈ 생졸년 : 1559년(명종 14) ~ 1636년(인조 14) ◈ 연 대 : 1647년(인조 25년) ◈ 유형/재질 : 비문 / 돌 ◈ 문화재지정 : 비지정 ◈ 크 기 : 높이 250cm, 너비 69cm, 두께 24cm ◈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모현면 오산리 ◈ 서 체 : 해서 ◈ 찬자/서자/각자 : 김상헌(金尙憲) / 송준길(宋浚吉) / 미상 ◈ 개 관 1647년지금의용인시모현면오산리에오윤겸(吳允謙,1559∼1636년)의행적을기리기위해 1647년지금의용인시모현면오산리에오윤겸(吳允謙,1559∼1636년)의행적을기리기위해세운묘갈이다.김상헌(金尙憲)이글을짓고송준길(宋浚吉)이글을썼다. 자는여익(汝益), 호는추탄(楸灘)또는토당(土塘)이며,본관은해주(..

성균진사란?

[問] 성균진사(成均進士)란 무엇이며, 그 부인의 사후 봉 칭호는 무엇입니까? [答]야촌 이재훈 조선(朝鮮)의 근본을 이루는 법전. 경국대전(經國大典)과 과거시험(科擧試驗) 합격자(合格者)를 수록한 국조방목(國朝榜目 : 太祖~高宗)에도 성균진사(成均進士)란 용어는 나타나질 않습니다. 그럼으로 성균진사(成均進士)란 공식적인 호칭은 아닌 듯 싶습니다. 추정 컨데 초시(初試)인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면 초급관리에 등용될 수 있는 자격과 함께, 성균관(成均館)에 입학할 자격도 주어지는데, 아마도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한 후 성균관(成均館)에서 수학한 유생(儒生)을 말하거나, 또는 한성시(漢城試)라 해서 초시(初試)인 소과(小科: 生員 進士) 시험을 수도 서울의 성균관에서 행하는 관시(館試) 및 향시(鄕試)가 ..

안경공(安景恭). 안순(安純).안숭선(安崇善).안숭신(安崇信).안숭효(安崇孝) 묘.

▲순흥안씨 양도공파 묘역/소재지 :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4동 산126-1 /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 74호 순흥안씨 3파인 8세 흥녕부원군(興寧府院君) 양도공(良度公) 안경공(安景恭)과 아들 손자에 이르는 3대에 걸친 묘역이다. ▲양도공(良度公) 안경공(安景恭) 묘. ▲정숙공(靖肅公) 안순(安純) 묘. ▲문숙공(文肅公) 안숭선(安崇善) 묘. ▲소윤공(少尹公) 안숭신(安崇信) 묘. ▲대사헌공(大司憲公) 안숭효(安崇孝) 묘.

연호(年號)

■우리나라 연호(年號) 1392(태조 원) ~ 1398(태조 7) : [명(明)] 홍무(洪武) 25년 1399(정종 원) ~1402(태종 2) : [명(明)] 건문(建文) 1403(태종 3) ~ 1424(세종 6) : [명(明)] 영락(永樂) 1425(세종 7) ~ [명(明)] 홍희(洪熙) 1426(세종 8) ~ 1435(세종 17) : [명(明)] 선덕(宣德) 1436(세종 18) ~1449(세종 31) : [명(明)] 정통(正統) 1450(세종 32) ~1456(세조 2) : [명(明)] 경태(景泰) 1457(세조 3) ~ 1464(세조 10) : [명(明)] 천순(天順) 1465(세조 11) ~1487(성종 18) : [명(明)] 성화(成化) 1488(성종 19) ~1505(연산군 11) : [명(..

조광조선생 신도비(趙光祖 先生 神道碑)

文正公靜庵趙先生神道碑銘。幷序。 유명조선국 가선대부 사헌부대사헌 겸동지경연성균관사 증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겸 영경연 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 문정공 정암조선생신도비명 병서(有明朝鮮國 嘉善大夫 司憲府大司憲 兼同知經筵成均館事 贈大匡輔國崇祿大夫 議政府領議政 兼 領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象監事 文正公 靜庵趙先生神道碑命 幷序) 노수신(盧守慎) 撰 융경(隆慶) 무진년(1568), 금상(今上)의 원년(금상은 宣祖大王을 가리킴)에, 정암 선생(靜菴先生)께 영의정을 추증하시고, 이듬해 이름을 바꾸어(諡號를 말함), 도덕이 있고 들은 것이 넓으며 올바른 도리로 사람을 복종시킨다는 뜻을 취하여 ‘문정(文正)’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또 그 언행을 기록하게 하고 서원(書院)과 사우(祠宇)를 세우게 하셨다 대개 그것은 천심(..

심온선생 묘(沈溫先生 墓)

■ 심온선생묘(沈溫先生墓) ◇종 목 : 시도기념물 제53호(수원시) ◇지정년월일 : 1979. 09. 10 ◇소재지 : 경기 수원시 팔달구 이의동 산13-10 ●개 관 묘역 안에는 돌로 만든 석등과 좌우에 문인석 1쌍이 배치되어 있고 안평대군이 글을 쓴 묘비가 있다. 묘역 아래에는 9대손 심하단이 글을 짓고 서명균이 글씨를 쓴 신도비(神道碑:왕이나 고관 등의 평생업적을 기리기 위해 무덤 근처 길가에 세운 비)가 세워져 있다. ↑심온선생신도비(沈溫先生神道碑) 사진출처 : 고대평생교육원 풍수지리동문회 ---------------------------------------------------------------------------------------------------------------------..

난세를 구할 영웅.

■난세를 구할 영웅. [원문] 有非常之人。然後有非常之事。 유비상지인。연후유비상지사。 有非常之事。然後有非常之功。 유비상지사。연후유비상지공。 [풀이] 비상한 인재가 있어야 비상한 일이 있고, 비상한 일이 있어야 비상한 공이 있다. 출처 : 최치원(崔致遠), 《동문선(東文選)》권64,〈서천 나성도기(西川羅城圖記)〉 ---------------------------------------------------------------------------------------------------------------------------- [해설] 각자 의견이 다를 수 있지만 요즘 많은 이들이 우리나라가 위기라고 합니다. 얼마 전 전직 대통령의 서거, 정치권의 다툼, 노사 갈등, 이념 논쟁 등 나라 안의 문제로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