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 1744

순강원/광릉/휘경원/영빈묘/이항복/인평대군/전계대원군/

↑순강원 전경. 광릉으로 가는 길목에 순강원을 먼저 둘러 보았습니다. ↑순강원 전경(선조의 후궁인 인빈김씨묘로 그녀는 인조의 할머니이며, 인조의 부(父)인 추존 원종의 생모이다) ↑순강원 좌강에 위치한 선조의 여덟째 아들이자 인빈 김씨의 넷째 아들인 의창군 묘 ↑광릉의 정희왕후 능역에서 내려다 본 전경 ↑작년에 정자각 보수로 못 들어 갔었던 휘경원도 가고... 입구의 수림이 멋있습니다. ↑휘경원 전경(정조의 후궁 수빈 박씨의 묘로 수빈 박씨는 순조의 생모이다) ↑특별히 부탁하여 영빈묘도 갈 수 있었습니다. 입구가 깔끔하게 단장되었습니다. ↑영빈묘역 전경(숙종의 후궁인 영빈 김씨의 묘) ↑포천에 있는 백사 이항복선생 묘역 전경. 선생의 명성에 비해서 묘역이 단촐합니다 ↑백사 이항복선생 묘의 측면 전경. ↑..

매학정(梅鶴亭)

↑1983년대의 매학정 원경/사진>나무이야기/꽃 이야기 ↑매학정의 원경/사진>나무이야기/꽃 이야기 ● 매학정(梅鶴亭) 이 건물은 고산(孤山) 황기로(黃耆老 : (1521-1567)가 조선 중종(中宗) 28년(1533)에 조부의 뜻을 받들어 지었다고 전하는 정자이다. 철종(哲宗) 13년(1862)에 화재를 입은 것을 7대손 황민술(黃敏述)이 원래의 자리에 다시 지었다. 황기로는 1534년 초시에 합격하여 별좌(別坐)를 지낸 후 관직을 떠나 이 곳에서 자연을 벗삼아서 서예를 즐겼다. 초서를 잘 쓴 그는 초성(草聖)으로 통하였으며 대표작으로는 충주의 '이승지번비(李承旨蕃碑)"이다. 이 정자는 고산(孤山) 기슭에 남향으로 정면 4칸, 측면 2칸으로 이루어져 있다. 화강암으로 쌓은 3층의 기초단 위에 막돌 주춧돌..

죽음에 대한 용어.

■ 죽음과 관련한 용어. 이번 김수환 추기경의 선종소식과 관련하여, 사람의 죽음에 대한 단어가 너무나 많아서 한번 정리해 봅니다. ○ 절명(絶命) : 목숨이 끊어짐. 즉 죽음을 말한다. ○ 사망(死亡) : 사람이 죽었을 때 가장 흔히 쓰는 말. ○ 명목(瞑目) : 눈을 감음. 즉 죽음을 말한다. ○ 영면(永眠) : 영원히 잠들었다는 뜻으로 죽음을 높혀 부른 말. ○사거(死去) : 죽어서 세상을 떠남. ○ 서세(逝世) : "죽음'의 높임말" ○ 선종 (善終) : [카톨릭] 임종 때 성사를 받아 큰 죄가 없는 상태에서 죽는 일. ○ 기세(棄世) : 세상을 버린다는 뜻. 역시 '죽음'의 높임말. ○ 입적(入寂) : [불교] 승려가 사망했을 때 쓰는 말. ○하세(下世) : 윗사람이 죽음. ○ 소천(召天) : 개..

군자와 소인의 차이

■ 군자와 소인의 차이 극여불극 소인군자(克與不克 小人君子) 자기를 이기느냐 지느냐에 따라 군자와 소인이 판가름 된다. -장흥효(張興孝), .경당집(敬堂集)- -------------------------------------------------------------------------------------------------------------------------------------- 위의 구절은 조선 중기의 학자 경당(敬堂) 장흥효(張興孝 1564-1633)의 문집, 경당집(敬堂集)에 실린 신세잠(新歲箴)중 일부이다. 이 글은 저자가 68세 되던 1631년(辛未年)에 새해를 맞이하여 마음을 새롭게 하고자 지은 잠(箴)이다. 이 글에서 저자는『산을 꺾을 기세로 분노를 다스리고, 구렁을 메울 ..

악한 벗을 두려워 하라.

■악한 벗을 두려워 하라. 맹수를 두려워 하지 말고, 악한 벗을 두려워하라. 맹수는 다만 몸을 상하게 할 뿐이지만 악한 벗은 마음을 파멸시키기 때문이다. ---------------------------------------------------------------------------------- ※아함경(阿含經) [명사]>[불교] 1.석가모니의 언행록. 2.소승 불교 경전을 통틀어 이르는 말. 남전(南傳)과 북전(北傳)이 있음

복제(服制)

■ 복제(服制) 복제란 가족이나 친척이 사망하였을 때 혈연의 친소(親疎)에 따라 일정 기간을 근신하고 애도를 표하는 제도를 말한다.복(服)의 제도는 첫째 참최 3년이요, 둘째는 재최 3년, 셋째는 기년(朞年)이요, 넷째는 대공 9월, 다섯째는 소공 5월이요, 시마 3월이다. ① 참최복(斬衰服) 참최 3년은 아들이 아버지를 위해서 입는 복이지만 적손(嫡孫)이 그 아버지가 죽어서 조부나 증조․고조를 위해 승중(承重)을 하는 자와 또 아버지가 적자를 위하여 입는 복이다. 그러나 3년복을 입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적손이라도 폐질이 있어서 사당에 제사 지내는 일을 하지 못할 때와 서손(庶孫)이 그 뒤를 계승할 때와 서자(庶子)로 대를 잇게 했을 때이다. 이것은 정복(正服)을 가리키고, 의복(義服)으로는 며느리가..

사능(思陵) 권역 및 춘천(春川)권역 묘역 탐방

■사능(思陵) 권역 및 춘천(春川)권역 묘역 탐방 ◇사능(思陵)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에 있는 조선전기 제6대 단종의 비인 정순왕후 송씨의 능이다. ↑일정에 없었지만, 사릉으로 가는 길목에 효빈김씨(태종의 서1자인 경녕군의 생모)의 묘역을 잠시 둘러보았다. ↑최강이군이 오랜만에 나와서 사릉에 대한 해설을 하는 중입니다. ↑사릉 전경 ↑남양주 광해군 묘 전경 ↑광해군 묘역 후경 ↑임해군 묘역 전경(묘역 입구 주변 지형 변화로 개울을 건너기가 애매하고...) ↑광해군 재위 당시 왕릉으로 조성되었던 성묘(임해군/광해군의 생모인 공빈 김씨 묘) ↑흥선대원군 묘역 후경. ↑현종의 장인이며, 명성왕후의 친정아버지인 청풍부원군 김우명의 묘역 ↑신숭겸장군 묘역 입구에 세워진 동상 ↑신숭겸장군 묘역의 봉분 3개 중에서..

주인노릇

■ 주인이 주인 노릇을 하면 主而爲主 光生門戶 主而失主 茅塞堂宇 주이위주 광생문호 주이실주 모색당우 [풀이] 주인이 주인 노릇을 하면 집이 광채가 나고 주인이 주인 노릇을 못하면 집이 잡초로 덮인다네. *성여신(成汝信), --------------------------------------------------------------------------------------------------------------------------- [해설] 위 글은 조선중기의 문인 성여신(1546~1632)이 아들의 나태함을 일깨우기 위해 지어준 잠(箴)에 나오는 한 구절입니다. 성여신은 아들이 기상도 있고 국량도 커서 제법 큰 인물이 될 그릇이라고 기대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점차 의지가 약해지고 기운이 빠지더..

북관대첩비(北關大捷碑)

■ 북관대첩비(北關大捷碑) 근래 북관대첩비(北關大捷碑)의 환국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북관대첩비는 1709년 숙종 임금이 임진왜란때 함경도 의병장 농포 정문부(農圃 鄭文孚) 선조등이 최초로 의병을 규합하여 함경도 지방에서 왜군을 8차례나 싸워 격퇴시킨 공을 영구히 기리기 위해 세운 전승기념비이다. 「조선국함경도임진의병대첩비」라는 공식명칭을 가진 이 비는 임진왜란 당시 3대 의병의 발상지 가운데 하나인 길주군 임명역 부근에 세워졌던 높이187cm 폭66cm 너비13cm이며 그 내용은 정문부 장군을 중심으로 한 관북(함경도)의 의병이 왜군의 제2군 선봉장이던 가토리요마사(加虅淸正) 군대를 격파한 사실을 기록한 것이다. 북관대첩비는 1905년 러.일전쟁 당시 길주지역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 제2사단 1..

어버이를 섬김에 있어서

■부모를 섬김에 있어서....... 군자가 어버이를 섬김에 있어서는 미치지 못할까를 생각하여 먼저 행하고, 오래하지 못할까를 염려하여 힘을 다해야 한다. 君子之事親也思基不可及者而先施之 念其不可句者而竭力焉 군자지사친야사기불가급자이선시지 념기불가구자이갈력언 ◇하수일(河受一), , 《송정집(松亭集》 ---------------------------------------------------------------------------------------------------------------------------------- [해설] 자식은 부모님이 항상 그 자리에 오래 오래, 계시는 줄만 안다. 그래서 늘 친구와 자기 처 자식을 먼저 챙기면서 이렇게 생각한다. 부모님은『다음에』더 잘해드려야지 이렇게 미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