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촌 이재훈 435

유물·유적 통해 추적해본 한민족의 뿌리

한겨레2009.12.21 17:15 유물·유적을 통해 추적해본 한민족의 뿌리 독일TV ZDF의 다큐멘터리 시리즈 ‘스핑크스, 역사의 비밀’ 중 ‘잃어버린 고리 찾기’ 편은 375년 게르만 민족의 대이동을 촉발해 로마제국을 멸망시킨 아시아 유목민족 훈족을 집중적으로 추적했다. 이 다큐멘터리는 훈족의 원류가 아시아 최동단, 즉 한국인일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실제 신라 및 가야인과 훈족의 유물, 유적 등을 비교해보면 편두(扁頭, 일명 납작머리)와 금관 머리장식 등 여러 가지 공통점이 발견된다. ▲김진삼 회백이 동양적 외모를 살려 그린 아틸라 초상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할 때 당나라를 끌어들였다는 점은 우리의 과거사에서 가장 아쉬운 대목 중 하나다. 통일에 외세를 개입시킨 나쁜 선례를 남긴 데다, 고구려의 광대..

도원정사(桃源精舍)

■ 도원정사(桃源精舍)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현내리 산-17번지 두봉산(頭峰山)의 남쪽 기슭에 자리 잡고있는 사묘이다. 조선 중기의 학자 이말동(李末仝)을 기리기 위하여 창건하였다.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건물 주위로 소나무와 은행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으며, 연못과 정원이 잘 어우러져 아늑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말동(李末仝)은 경주이씨 교감공(校勘公) 존사(存斯)의 후예로 1443년(세종 25)∼1518년(중종 13). 조선 전기의 유학자이다. 자는 자원(子源)이고, 호는 도원(桃源). 출신지는 경상북도 경주(慶州)이다. 아버지는 수의부위(修義副尉) 이윤흥(李允興)이고, 모친은 직장(直長) 김상용(金尙勇)의 딸 월성김씨(月城金氏)이다.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문하..

감사 이윤인 선생 시제(監司 李尹仁 先生 時祭)

초헌관에 이준보 전 대구 고검장 아헌관에 이상래 경주이씨 강남화수회장. 좌우의 집사들이 헌관의 집례를 돕고있다. 장소 :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백석리 산14-1 일시 : 매년 음력 10월 2일 ◇필자의 19代祖 ---------------------------------------------------------------------------------------------------------------------------- ■ 이윤인[李尹仁, 1415(태종15)-1471(성종2)]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경주(慶州), 자(字)는 임지(任之)이다. 고려 말의 명신 이제현(李齊賢)의 5대손으로 참판 계번(啓蕃)의 아들이다. 1441년(세종 23) 생원· 진사 양시에 급제하였고, 1447년에는 대..

익재공후 청호공파 세계도

괄호안의 숫자는 중시조(遠代孫中始祖 蘇判公 居明)로부터 몇세(世)인가를 의미 합니다. 제현(齊賢) 익재공(益齋公) 17世 │ 서종(瑞種)-달존(達尊)-창로(彰路) 18世 부령공 운와공 밀직공 (副令公) (雲窩公) (密直公) ┌──────┘ 덕림(德林)-수림(壽林)-학림(學林) 소부윤공(少府尹公) 19世 ┌─────────────┘ 담(擔) 대언공(代言公) 20世 │ 희(暿)청호공파(淸湖公派) 21世 │ 문형(文炯)--계반(繼潘)--문환(文換)--문병(文炳) 22世 문안공 참판공 제학공 어은공 (文安公) (參判公) (提學公) (漁隱公) │ ┌────┘ ┌─────┘ ┌─────┘ │ │ ┌───┘ ┌─────┘ │ │ │ ┌───┘ │ │ │ 간(諫)-화(譁)-조(調)-증(証) 23世 │ │ │ │ ┌─┘..

이경선선생 전사일기(李慶善先生戰死日記)

예조참의 이경선선생 묘(禮曹參議李慶善先生墓) ↑소재지 : 충북 진천군 진천읍 산척리 산22-18. ↑죽산후인(竹山後人) 안형열(安亨烈)이 찬(撰)한 묘비(墓碑). ↑이경선 선생 7대손 규오(圭五) 공과 배위 진주 유씨(晋州柳氏) 묘이고 위의 묘가 이경선 선생 묘이다. 사진촬영: 2012. 04. 22 仁村 李在英 ↑예조참의 이경선 선생 충신 정려문 ↑예조참의 이경선선생 묘 / 촬영>2022년 9월 ↑예조참의 이경선선생 충신문 전경 / 촬영>2022년 9월 ↑충신문 좌측면 모습 / 촬영>2022년 9월 ↑예조참의 이경선선생 충신문 안내표지판 / 촬영>2022년 9월 1636년(인조 14) 1월 1일 남포 현감에 부임 재직 중, 그해 12월 9일 청나라 태종(2대) 홍타이지가 이끄는 14만의 대군이 압록강을..

경주이씨 세록비(慶州李氏 世錄碑)

▲족보 바위 (정면) 족보 바위 앞에 기둥을 세우고 지붕돌을 얹었다.ⓒ 이완우 ▲ 족보 바위 (측면) 족보 바위는 자연석 역암이고, 앞의 기둥은 사암을 사각 기둥으로 다듬어 세웠다. ⓒ 이완우 5세대 족보를 자연석에 새긴 105년 된 ‘바위족보’가 임실에서 발견됐다. 지금까지 위패형식의 금석문은 이따금 발견됐지만 자연석에 가승을 적은 암각서가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어서 관심이다. 본보 도민기자팀은 지난 28일 임실읍 현곡리 연화마을 인근 산에서 돌기둥 2개를 세우고 넓적한 돌을 맞대어 지붕을 덮은 경주이씨 세록비(가로324㎝·세로 170㎝·높이 150㎝)를 확인했다. 연화마을에 살며 이씨 종중산을 관리하는 이상식씨(59)는 “32~37세손까지 5세대 44명이 기록된 세록비를 책으로 만든 족보와 맞춰보..

강민공(剛愍公) 이완(李莞) 묘역(이순신 장군의 조카)

■ 강민공(剛愍公) 이완(李莞) 묘역 답사기 강민공(剛愍公) 이완(李莞)의 묘역은 아래 안내판에 기록되어 있다싶이 경기도 용인시 고기동 산 20번지 1호에 있다. 이곳은 고기초등학교가 있는 손기부락의 서쪽 산속 손골(上蓀谷)로 넘어가는 산길 옆에 위치 한다. 지금은 영덕 - 양재간 자동자 전용도로 건설로 인하여 공의 묘역이 속해있는 덕수이씨 종중산이 잘리어 나간체 한창 공사중이다 . ▲강민공 이완 정려각剛愍公李莞旌閭閣) 당초에는 덕수이씨 강민공파 종손댁(이재억씨 작고) 집 앞에 있던 것을 2003년도에 이곳 선산으로 옮긴 것 이다. ▲정려각의 편액 [원문] 忠臣 贈資憲大夫 兵曹判書兼 知義禁府事行嘉善大夫義州府尹 義州鎭兵馬僉節制使 贈諡剛愍公李莞之閭 崇禎紀元再甲周立 上之十八年春重修 癸未年 秋 築造.(충신 증 ..

오윤겸 선생 묘갈명 /묘지명。

■ 추탄 오윤겸 선생 묘갈비(楸灘 吳允謙 先生 墓碣碑)。 ◈ 생졸년 : 1559년(명종 14) ~ 1636년(인조 14) ◈ 연 대 : 1647년(인조 25년) ◈ 유형/재질 : 비문 / 돌 ◈ 문화재지정 : 비지정 ◈ 크 기 : 높이 250cm, 너비 69cm, 두께 24cm ◈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모현면 오산리 ◈ 서 체 : 해서 ◈ 찬자/서자/각자 : 김상헌(金尙憲) / 송준길(宋浚吉) / 미상 ◈ 개 관 1647년지금의용인시모현면오산리에오윤겸(吳允謙,1559∼1636년)의행적을기리기위해 1647년지금의용인시모현면오산리에오윤겸(吳允謙,1559∼1636년)의행적을기리기위해세운묘갈이다.김상헌(金尙憲)이글을짓고송준길(宋浚吉)이글을썼다. 자는여익(汝益), 호는추탄(楸灘)또는토당(土塘)이며,본관은해주(..

이산해(李山海) 신도비명(神道碑銘)

이산해(李山海) 신도비명(神道碑銘) ◈ 시대 : 조선 ◈ 연대 : 1819년(순조19년) ◈ 유형/재질 : 비문/돌 ◈ 문화재지정 : 비지정 ◈ 크기 : 높이 325cm, 너비 75cm, 두께 31cm ◈ 소재지 :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 서체 : 해서(楷書) ◈ 찬자/서자/각자 : 채제공(蔡濟恭) / 한호(韓濩) / 미상 ◈개관 이 비는 1819년(순조 19년) 충청남도 예산에 건립된 이산해신도비(李山海神道碑)로, 채제공(蔡濟恭)이 비문을 지었고, 한호(韓濩)의 글씨를 집자하였다. 이산해(李山海 : 1539~1609)의 본관은 한산이고, 자는 여수(汝受)이고, 호는 아계(鵝溪)이다. 1561년(명종 l6년) 문과에 급제하여, 1578년(선조 11) 대사간에 이르렀다. 1590년(선조 23년) 영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