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촌 이재훈 435

경주이씨 의과 합격자 명적(醫科合格者名籍)

■ 경주이씨 의과 합격자 명적/총35명(10.09%) 순위 이름 생년 관직 시장시기(試場時期) 등위 아버지 01 이순필(李順弼) 1531년(중종26) 신묘(辛卯) 식년시(式年試) 이건(李件) 02 이정신(李鄭臣) 典醫監奉事 1525년(중종20) 을유(乙酉) 식년시(式年試) 1위 1위 이감(李堪) 03 이광윤(李光胤) 1564년(명종19) 갑자(甲子) 식년시(式年試) 1위 1위 이순관(李順寬) 04 이흥준(李興俊) 1622 수의(首醫) 1639년(인조17)기묘(己卯) 식년시(式年試)壯元/18世 1위 이인민(李仁民) 05 이두산(李斗山) 1660년(현종1) 경자(庚子) 증광시(增廣試) 이흥준(李興俊) 06 이시필(李時弼) 1657 內醫/同知 1678년(숙종4) 무오(戊午) 식년시(式年試)壯元/22歲 1위 이..

역과 합격자 명적(譯科 合格者 名籍)

■ 경주이씨 역과(譯科) 합격자 수록인원/총43명(6.94%) 조선시대에 잡과가 233회 실시되었고, 이중 177회가 전해지며, 여기에는 역과 171회 합격자가 포함되 있다. 순위 이름 생년 관직 시장시기(試場時期) 등위 아버지 01 이화종 (李和宗) 봉사(奉事) 1498년(연산군 4) 무오(戊午) 식년시(式年試) 이상행(李商行) 02 이경원 (李敬元) 직장(直長) 1543년(중종 38) 계묘(癸卯) 식년시(式年試)[장원(壯元)] 1위 이준(李俊) 03 이성준 (李成俊) 판관(判官) 1600년(광해군 11) 증광시(增廣試) 기미(己未) /20歲 5위 이윤강(李胤姜) 04 이후열 (李後說) 1631년 한학(漢學) 1657년(효종 8) 정유(丁酉) 식년시(式年試) /27歲 9위 이가진(李可珍) 05 이선방 ..

이하영(李夏榮) - 백사공파

■ 35世 이하영(李夏榮) [생졸년] 1858년(철종 9) 8월 10일 ∼ 1919년 3월 1일. --------------------------------------------------------------------------------------------------------------------------- 조선 말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字)는 치행(致行), 호(號)는 금산(琹山)이다. 이하영(李夏榮)은 1858년 8월 15일 경상남도(慶尙南道) 동래군(현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에서 증 내부대신(贈內部大臣)에 추증된 이유수(李裕脩)와 서수성(徐秀誠)의 딸 서산 서씨(瑞山徐氏)의 아들로 출생하였다. 동생 이준영(李準榮)은 관찰사를 지냈으며 국문학자로 이름을 날려 가세를 일으켰고, ..

이하곤(李夏坤) - 익재공후 화곡공파

■ 이하곤(李夏坤) [생졸년] 1677년(숙종 3) ∼ 1724년(영조 즉위). [생원진사시] 숙종(肅宗) 34년(1708) 무자(戊子) 식년시(式年試) 2등(二等) 4위 [생원진사시] 숙종(肅宗) 34년(1708) 무자(戊子) 식년시(式年試) 1등(一等) 1[장원(壯元)]위 ------------------------------------------------------------------------------------------------------------------------------------- 1677년(숙종 3)∼1724년(영조 즉위). 조선 후기의 문인화가· 평론가. 본관은 경주(慶州). 자(字)는 재대(載大), 호(號)는 담헌(澹軒) 또는 계림(鷄林)으로, 좌의정 경억(慶億)의 손..

이집로(李集魯) - 판전공파

■ 이집로(李集魯) - 판전공파 [생졸년] 1846년(헌종 12)∼1920년. [진사시] 순조(純祖) 7년(1807) 정묘(丁卯)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13위(43/100) -------------------------------------------------------------------------------------------------------------- 조선 말기의 유학자로, 자(字)는 회원(晦元)이고, 호는 삼소(三素)로,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호계(虎溪) 이을규(李乙奎)의 후손으로, 고조부는 이순(李蕣), 증조부는 이기혁(李基赫), 조부는 이방진(李邦鎭)이고, 아버지는 이원백(李源百)이다. 외조부는 여주(驪州)이의행(李義行)이며, 처부는 은진(恩津)송자량(宋慈良)이..

이종태(李鍾泰)

■ 37世 이종태(李鍾泰) [생졸년] 1850년(철종 1)∼미상 [역 과] 고종(高宗) 11년 (1874) 갑술(甲戌) 증광시(增廣試) 8위/25歲 합격 ------------------------------------------------------------------------------------------------------------------------------------- 서예가. 자(字)는 공래(公來), 호(號)는 소농(筱農). 본관은 경주(慶州). 조선 선조때의 사자관(寫字官)이었던 이해룡(李海龍)의 10대손으로, 증조는 가선대부(嘉善大夫)로, 사자관(寫字官) 이경국(李擎國)이고, 조부는 정헌대부(正憲大夫) 사자관(寫字官) 이동현(李東鉉)이며, 아버지는 첨지(僉知) 이재환(李載煥)이..

고서문집(古書文集)

■ 고서문집(古書文集) 용재 성현 저[慵齊 成俔 著(1439(세종 21~1504(태종 5)] ●우리 나라는 문장가가 매우 적고 저서는 더욱 적다. ◇신라 시대의 최치원(崔致遠)이 《계원필경(桂苑筆耕)》몇 권을 저술하였는데, 모두 사륙변려문(四六騈儷文) 이요. ◇시중 최자(崔滋)가 동인문(東人文) 몇 십 권을 편찬하고, ◇예산(猊山) 최해(崔瀣)가 《삼한구감(三韓龜監)》한 질(帙)을 편찬하고, ◇시중(侍中) 김태현(金台鉉)이 《동국문감(東國文鑑)》 몇 십 권을 편찬하고, ◇서달성(徐達城)이 왕명을 받들어 《동문선(東文選)》몇 십 권을 편찬한 것인데, 모두 전현(前賢)의 시문(詩文) 을 모은 것이다. ◇문순공(文順公) 이규보(李奎報)가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전후집 몇 십 권을 저술하고, ◇원외랑(員..

고구려의 건국

작성일 : 2010. 08. 09 ■ 갑신년 마한, 신라 시조 21년, 고구려 시조 동명성왕(東明聖王) 고주몽(高朱蒙) 원년 이해에는 신국(新國)이 둘이다(한 원제 건 소(建昭) 2, B.C. 37) 부여인(扶餘人) 해주몽(解朱蒙)이 졸본(卒本)으로 도망해 와 도읍하고 고구려라고 칭하니, 왕의 성이 고씨(高氏)이다. 처음에 북부여왕(北扶餘王) 해모수(解慕潄)가 하백(河伯) 하백은 곧 군장(君長)이란 칭호이고, 반드시 옛 기록에 이른바와 같이 하수(河水)의 신(神)은 아니다. 의 딸 유화(柳花)에게 장가들어 아들을 낳았는데 골격과 풍신이 영특했다. 나이 겨우 7세에 우뚝하여 보통 사람과 달랐고, 스스로 활과 화살을 만들어 쏘되 백번 쏘면 백번 다 맞히었다. 부여의 속어(俗語)에 활쏘기 잘하는 사람을 ‘주몽..

문익점보다 800년 빠른 백제의 면직물

■ 문익점보다 800년 빠른 백제 면직물 문익점보다 800년이나 빠른 국내 최고(最古) 면직물로 드러난 부여 능산리 절터 출토 백제시대의 직물입니다.. 이는 2010년 7월 국립부여박물관이 한국전통문화학교와 공동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목화에서 뽑을 실로 짠 면직임이 밝혀졌습니다. 이는 1363년(공민왕 12) 문익점이 원(元)나라로부터 목화씨를 몰래 붓 두 껑 속에 숨겨 가져와서 우리나라에 최초로 목화를 재배하게 되었다는 기록을 뒤집는 사료입니다. ↑1999년 충남 부여 능산리 절터에서 발굴한 백제시대 면직물 ↑자체 꼬임이 강한 위사의 모습

신편고금사문유취유집(新編古今事文類聚遺集)

↑重刻序: 丙午臘月望日...祝穆謹識刊記: 萬曆甲辰(1604)孟春之吉金谿唐富春精校補遺重刻 l 30.5 x 18.5cm 송대의 축목(祝穆)과 원대의 부대용(富大用)·축연(祝淵)이 편찬했다. 축목은 전집(前集) 60권, 후집(後集) 50권, 속집(續集) 28권, 별집(別集) 32권을 편찬해서, 1246년에 완성했다. 이 책은 당대 구양순(歐陽詢)의 〈예문유취 藝文類聚〉를 모방하여, 여러 책에 나오는 중요한 부분과 고금의 사실(事實)·시문(詩文)을 수집하여 부문별로 분류하여 편찬한 것이다. 즉 전집은 천도(天道)·천시(天時)·지리(地理)·제계(帝系)·인도(人道)·사진(仕進)·선불(仙佛)·민업(民業)·기예(技藝)·악생(樂生)·영질(嬰疾)·신귀(神鬼)·상사(喪事) 등 13부문, 후집은 인륜(人倫)·창기(娼妓)·노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