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촌 이재훈 435

개성 익재선생유적지 답사일정표

개성 익재선생 유적지 답사일정표 2008년 02월 13일(수요일) 시 간 소요시간 과 목 비 고 06:30 경복궁 동 주차장 집결 개인별 06:30 - 06:50 20분 출발 준비(명찰, 일정표 배포) 경복궁 동주차장 06:50 - 07:50 1시간 서울→남측CIQ(도라산) 이동 자유로 07:50 - 08:45 55분 방북교육, 방문증 교부, 출경 수속 CIQ강당 08:45 - 09:00 15분 남측CIQ에서→북측 CIQ로 이동 비무장지대 09:00 - 09:20 20분 북측 CIQ도착 입경 수속 북측CIQ 09:20 - 10:20 1시간 익재공 산소로 이동 10:20 - 11:20 1시간 성묘행사(고유제 집례) 11:20 - 12:20 1시간 산소에서 개성시내로 이동 12:20 - 13:40 80분 점..

2000년도 경주이씨 집성촌(2000년 인구조사 참조)

■ 2000년도 경주이씨 집성촌 (2000년 인구조사 참조)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서구 ◇경상북도 경산군 자인면 신관리(관상동)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중하동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신락리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만운리 ◇경상북도 경주시 양남면 서동리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양월리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신덕리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고수리 ◇울산광역시 북구 호계동 ◇경상남도 거창군 남상면 임불리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술상리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소전리 ◇충청남도 공주시 상왕동 중호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양항리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면 성덕리 ◇전라북도 임실군 덕치면 사곡리 ◇전라북도 임실군 임실읍 현곡리 ◇전라북도 임실군 신평면 가덕리 ◇전라남도 담양군 월산면 월산리 ◇전라..

경주이씨 역대 주요인물(慶州李氏 歷代主要人物)

■경주이씨 역대 주요 인물(慶州李氏歷代主要人物) 1.高麗時代, 朝鮮時代 및 獨立運動家, 有名人士, 主要人物 (고려시대, 조선시대 및 독립운동가, 유명인사, 주요인물) ●이거명(李居明) 소판(蘇判)이라는관직은 신라시대 골품제도(骨品制度)의 성­진골품(聖­眞骨品)만이 친거되었으니, 통일신라시 대(統一新羅時代)의 왕인 무열왕(武烈王)부터 혜공왕(惠恭王)때 까지는 진골계(眞骨系)에서 분적(分籍)하여 명분 호족 (豪族)의 긍지로서 번성하여 갔음을 보이고 있다. ●이총섬(李寵暹) 998년(목종 1년) 오인유(吳仁裕), 남궁원청(南宮元淸), 이윤관(李允寬)등과, 진(秦)나라에 청원하여 고려에도 오묘(五廟)와 사직(社稷)을 건립하였고, 국자감(國子監) 시험제도설립(試驗制度設立)을 청원하여 과거제도( 科擧制度)를 확립으..

퇴계 이황선생 묘.

↑퇴계 이황의 묘. 죽기 전 유언으로 조정의 예장도 사양했다. 태극훈이 감도는 오룡쟁 주형 명당이다. 사람의 죽음을 표현하는 데도 품격과 비하를 담은 용어들이 다양하다. 서거 운명 별세 승화 입적 화천 선종 소천 절명 등…. 종교와 지역, 또는 학덕의 깊이에 따라 정중한 공경어가 원용되기도 한다. 몹쓸 짓을 많이 해 사회적으로 지탄받는 자가 사망했을 때는 겉으로야 삼가지만 마음속으로는 ‘뻗었다’고도 한다. 자신이 세상을 떠났을 때 산 사람에 의해 어떻게 불릴지는 스스로 곰곰이 반추해 볼 일이다. 절대 왕권 시절 임금이 진명(盡命)하면 곧 국가의 지각변동이었다. 붕어 승하 훙서 선어 안가 등이 군왕의 몰세(沒世)와 관련된 지칭어들이다. 그런데 제왕의 타계보다도 지고한 수사가 있다. 바로 역책(易?)이다. ..

당신오시면-배미애(詩人)

아득하고 아름다운 것 눈물 나도록 살고 있다는 하늘 향해 입김 호호 불어 녹힌 첫 새벽 퍼 올리던 토탑빛 꺽어 겨울 담장 치는 가지로 마당 쓸며 첫 눈 기다립니다. 그 길에 한이름 당신 오시면 골짜기에 꿈처럼 파묻혀 평생 만질 수 없던 활짝 개인 행복 하얀 신기루 타고 투명히 올것 같아 작은 티끌 하나 없이 마당 쓸며 첫 눈 기다립니다. 소망하지 않던 아픈 어제 기쁨의 물결되라 굳이 되내이지 않아도 첫 눈처럼 고결하고 첫 눈처럼 포근한 그 길에 한 이름 당신 오시면 나날이 잎새로 피어나 긴 그림자 남기며 한순간 큰 나무되던 삶의 아픔 끝일듯싶어 마음보다 먼저 젖는 가슴 내밀고 마당 쓸며 첫눈 기다립니다. 두눈으로 닿을 수 없을 마당 저편 마지막 남은 가을빛 향연 잘게 접어도 붉은 돌담길 이루며 불붙는 당..

영남 출신의 남인과 노, 소론.

■ 보학이란? 보학이란? 쉽게 말해서 족보(族譜)에 관한 학문을 말한다. 오늘날 족보가 밥먹여 주는일도 아닌데, 족보가 왜 필요 하냐며 반문하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6.25 전쟁 이전만 해도 보학에 식견이 있어야만 사람 대접 받는 시절이었고, 최소 팔고조도(八高祖圖)는 그릴줄 알아야 양반(兩班) 소릴 들었다. 그런데 우선 보학을 하려면 한학에 대한 기본 지식을 가져야 한다. 사서삼경은 물론이거니와 오늘날 전해오는 많은 성씨들의 문집들도 섭렵 해야한다. 그래야만 보학의 이론이 성립되고 실력이 생기기 때문이다. 그리고 실전으로 그 문집들의 국역을 해봐야 하고, 다음엔 그 문집의 관련 문중사람들을 찾아 다녀서 그 집의 숨은 애기들을 들어봐야 하고, 그리고 그집의 중요 인물이 살던 집터며 정자, 기타 유적지를..

숭양서원(崧陽書院])

↑개성숭양서원(開城崧陽書院) 현재 북한의 행정명으로 황해북도 개성시 선죽동에 있는 숭양서원은 고려의 대관료였고 유능한 군사가, 외교가였던 포은 정몽주(1337-1392)가 살던 집자리에 세운 서원이다. 고려 말에 처음 세우고 이조 때인 1573년 고쳐 지었다. 정몽주의 시호를 붙여 이라고 불러오다가 1575년에 숭양서원이라 사액, 이때 부터 숭양서원으로 불리게 되었다. 숭양서원은 자남산을 등지고 그 동남쪽 경사지에 대칭적으로 규모있게 배치되어 있다. 장방형으로 둘러막은 담의 앞에 난 삼문으로 들어서면 마당 좌우에 동재와 서재가 마주 서 있고 3개의 계단으로 통은 축대 위에 오르면 강당이 있다. 또 그 뒤에 있는 3개의 급한 계단으로 올라 서원의 앞뒤구역을 가로막은 담에 난 삼문을 지나면 사당에 이른다. ..

단군은 누구인가?

단군은 누구이며 실제로 존재했는가? 단군은 어떤 사람이며 누구인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대답은 사람마다 다를 것입니다. 우리는 누구나 단군에 대해서 잘 알고 있다고 생각 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못한 것입니다. 단군이라는 명칭만을 잘 알고 있을 뿐, 실제로 있었던 인물 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가진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단군을 신으로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삼국유사와 제왕운기에 단군은 후에 산신이 되었다고 한 기록이 단군은 사람이 아니라 신이었다고 생각하는 근거가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단군이 처음부터 신이었다는 뜻이 아니라 믿었던 고대인들의 생각이 반영된 것입니다. 단군을 신으로 받드는 종교도 아마 단군을 사람이 아닌 신이었다고 믿기보다는 그가 사망한 후에 신이 되었다고 믿을 것입..

일제 친일반민족행위자 708명 명단

친일인명 사전 제작을 위한 기본 자료/원코리아 일제 친일반민족행위자 708명 명단 ◈사회.문화.예술계 (집중심의 대상 16인) ▶ 방응모(친일잡지 '조광' 창간, '국민정신총동원연맹' 발기인, 고사포 구입.기증, 조선항공공업사에 자본출자) ▶ 고황경(일제 국방비지원단체인 '애국금채회'간사, 일제전쟁지원단체인 '조선임전보국단 부인대' 지도위원) ▶ 김활란('애국금채회' 간사, '조선임전보국단 부인대' 지도위원) ▶ 모윤숙(친일단체인 '조선문인협회' 간사, '국민의용대총사령부' 간사) ▶ 박인덕(일제 전쟁지원단체인 '임전대책협의회' 실천위원, '조선임전보국단 부인대' 지도위원) ▶ 송금선(국민총력조선연맹 연성부 연성위원, 임전대책협의회 의원) ▶ 황신덕(국민총력조선연맹 평의원, 조선임전보국단 부인대) ▶ 김..

영천최씨(永川崔氏)

영천 최씨(永川崔氏) 편 성주군 수륜면 남은리 법산 마을에 100여호의 대 집성촌을 이루어 살고 있는 법산 최씨의 본관은 영천(永川)이다. 최씨(崔氏)의 관향은 125여개 본이 전하고 있으나 이중 시조가 분명히 밝혀져 있는 본관은 약 40여본이다. 그중 종인수 등이 많은 주요한 본관으로는 영천(永川)을 비롯해 경주(慶州) 전주(全州) 계림(鷄林) 동주(東州 : 철원) 해주(海州) 삭녕(朔寧) 강릉(江陵) 화순(和順) 강화(江華) 탐진(耽津 : 康津) 수원(水原) 영흥(永興) 흥해(興海) 통천(通川) 수성(隋城) 우봉(牛峰 : 金川) 충주(忠州) 등이다. 1) 우리나라 최씨의 기원은 박혁거세 탄생전설에 나오는 신라 6부촌장중의 한사람인 돌산 고허촌(突山 高墟村)의 촌장 소벌도리공(蘇伐都利公)으로 하늘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