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촌 이재훈 435

민주평통 울산지역 개소식

■ 선죽교엔 언제쯤 자유로이 다닐 수....^^ 이재정 통일부장관이 24일 취임 이후 처음으로 개성공단을 방문했다. 북쪽은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 회담의 북쪽 위원장을 맡고있는 주동찬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장을 비롯해 경협 관련 인사들을 중심으로 25명이나 대거 참석했다. 북쪽은 또 선죽교와 고려민속박물관 등 개성 시내를 7개월만에 모처럼 남쪽 사람들에게 개방했다. 남쪽 신임 장관들의 북쪽 방문 때 애를 먹여 ‘길들이기’ 아니냐는 눈총을 받았던 것과는 사뭇 달라진 모습이다. ● 북쪽의 후한 대접. 이 장관을 비롯해 통일부 당국자 40여명이 오전 11시 북쪽 출입사무소에 도착하자, 기다리고 있던 주동찬 총국장 등 북쪽 인사들이 반갑게 맞았다. 주 총국장은 환담 자리에서 “기반시설이 다 돼 있으므로 공장만 게따라..

중국의 투자사업 국제 정세 분석

국제 정세 분석>2006. 02. 10. 황인수 ■ 중국의 대북투자사업 ◈투먼-청진 철도 ○홍콩 사업가 Qian Haomin(41세) 발표 ☀광동출신, 1993년 홍콩으로 이주 ☀500~1000대 화물객차 북한에 공급 예정 ☀신의주에 특구설치 기획 ☀중국국영철도공사 개입 ☀1990년대 초부터 북한과 접촉하고 박봉주총리와 밀접한 관계 구축 ☀3명의 삼촌이 한국전에 참가: 사망 1, 중상 1인 ☀플라스틱, 타이어, 배터리 재생공장 건설 협약 ◈훈춘-라진항 50년간 임대협정 : 중국 동해접근이 성취 ○67km 하이웨이 건설, 5~10평방키로미터 산업단지, 중간재 조립단지→동남아 재수출 ○부동항으로서 연간 3백만톤 물동량 처리 예상 ☀현재 동북지역 생산품은 철도를 이용, 대련항에서 수출 ○Fan Yingshen..

유(劉)씨의 유례

■ 유씨(劉氏)의 연원 劉氏 大觀(유씨 대관) 劉字를 "卯金刀" 통상(通常) 묘금도유 라고 새김한다. 그러나 사전(辭典)에서는 예외적으로 성유(姓也), 이길유(剋也), 쇠잔할유(衰也), 죽일유(殺也) 등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 ●유(劉)자로 성(姓)을 쓰이게 된 유래(由來) 통지 씨 족 약(通志氏族略)에 의하면 유(劉)자로 성을 쓰게 된것은 중국고대(中國古代)의 제요도 당대(帝堯陶唐代)의 다음으로 유(劉)자를 성으로 쓰게 되었다. 원래는 지명(地名)을 나타..

벽오 부인 여흥민씨 묘지명 병서

■ 벽오부인 여흥민씨 묘지명 병서 - 간이 최립 (碧梧夫人驪興閔氏墓誌銘 竝書) [생졸년] 1569년(선조 2)~1609년(광해군 1) /향년 41歲 ---------------------------------------------------------------------------------------------------------------------------------- 평안도관찰사(平安道觀察使) 이공(李公)의 처 정부인(貞夫人) 민씨(閔氏)의 묘지명(墓誌銘) 병서(幷序) 내가 서경(西京)에서 우거(寓居)하고 있을 적에, 지금 평안도관찰사로 재직 중인 이공(李公)이 부인상을 당하였다. 그런데 장차 영구(靈柩)가 고향으로 돌아가려 할 즈음에, 방백이 부인의 묘지명을 써 달라고 나에게 신신당부하였다..

벽오 이시발 신도비명(碧梧 李時發 神道碑銘)

■ 벽오 이시발 신도비명(碧梧 李時發 神道碑銘) [생졸년] 이시발『李時發, 1569년(선조 2) ~ 1626년(인조 4) [신도비 건립연대] 1658년(효종 9년) [유형/재질] 비문/화강암 돌 [문화재지정] 시도유형문화재(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42호) [문화재 지정일] 1984년 12월 31일 [크기] 높이 250Cm, 너비 90Cm [소재지]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 192-11 [서체] 서체 : 해서(楷書) [찬자/서자/각자] 송시열(宋時烈) / 송준길(宋浚吉) / 이정영(李正英) [개요] 신도비란 임금이나 고관의 평생업적을 기록하여 그의 무덤 남동쪽에 세워두는 것으로, 이 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시발[1569(선조 2)∼1626(인조 4)] 선생의 행적을 기리고 있다. 이시발은 선조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