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674

이 익재(李 益齋)의 문묘 배향을 청한 상소문

世宗 72卷, 18年(1436 丙辰 / 명 정통(正統) 1年) 5月 12日(丁丑) 6번째 기사 ■ 성균 생원 김일자 등이 이제현. 이색. 권근을 문묘에 배향하기를 청하다. 성균 생원(成均生員) 김일자(金日孜) 등이 상언(上言)하기를, “그윽이 생각하옵건대, 옛 성인(聖人)을 계승하고 후학(後學)을 열어 주는 것은 성현(聖賢)의 대공(大功)이요, 조종(祖宗)을 도타이 하고 예(禮)로써 행하는 것은 제왕(帝王)의 성전(盛典)입니다. 이러므로, 역대 이래로 무릇 도학(道學)에 공이 있는 분을 거의 학궁(學宮)에 모시어 제향 하는 소이는 돌아가신 이에게 포숭(褒崇)의 뜻을 보이는 것이며, 앞으로 오는 뒷사람에게 권려 하는 뜻을 드리우는 것입니다. 옛날에 공자(孔子)께서는 하늘이 낳으신 성인으로써 경위(經緯/註1..

주민의 합리적 요구를 수용하라.

주민의 합리적 요구를 수용하라. 고촌 오룡마을 주민 이재훈 2005-08-01 14:22:03 --------------------------------------------------------------------------------------------------------------------------------------------- 아파트 건물과 도로와의 이격 거리가 당초 설계상에는 없었는데 녹지5m의 이격 거리를 두기로 했다며 큰 수혜나 베푸는 것처럼 시청 관계자 께서 자꾸 말씀 하시는데 그럼 도로 개설후 소음이나 매연및 도로의 교통 체증으로 인한 주민의 피해가 없단 말입니까? 그리고 자꾸 법적으론 하자가 없다고들 하는데 그것의 잘잘못은 추후 법적인 절차에따라 밝히기로 한다 하더라도 문제..

두보(杜甫)/중국 최고의 시인, 시성(詩聖)

■ 두보(杜甫), 712~770. ↑베이징 쿵먀오 전청의 두보 초상화. 자는 자미(子美). 호는 소릉(少陵).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서 시성(詩聖)이라 불렸으며, 또 이백(李白)과 병칭하여 이두(李杜)라고 일컫는다. 고향은 후베이성[湖北省]의 샹양[襄陽]이지만, 허난성[河南省]의 궁현[鞏縣]에서 태어났다. 먼 조상은 진대(晉代)의 위인 두예(杜預)이고, 조부는 초당기(初唐期)의 시인 두심언(杜審言)이다. 소년시절부터 시를 잘 지었으나 과거에는 급제하지 못하였고, 각지를 방랑하여 이백(李白) ·고적(高適) 등과 알게 되었으며, 후에 장안(長安)으로 나왔으나 여전히 불우하였다. 44세에 안녹산(安祿山)의 난이 일어나 적군에게 포로가 되어 장안에 연금된 지 1년 만에 탈출, 새로 즉위한 황제 숙종(肅宗)의 행재..

남자들의 정치

남자들의 정치 ‘맥주병 투척사건’이란 신문 상단의 제목만 보았을 때는 애국지사의 엄청난 거사라도 벌어진 줄 알았다. 그 기대는 한나라당 의원의 한바탕 ‘술자리 난동’에 불과했다는 기사로 허탈해졌고, 허탈한 기운이 채 가시기도 전에 열린 우리당 의원의 술자리 폭행 사건과 한나라당 박계동 의원이 이 재정 민주평통 부의장의 얼굴에 맥주를 뿌리는 사건이 연달아 일어났다. 더구나 박계동 의원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정치적인 이유를 가지고 다분히 의도적이었다는 말까지 언급해 정치인 이전에 한 사람의 인격을 의심하게 하는 행동을 보여 주었다. 도대체 부총리급의 예우를 받는 그리고 사회적으로 연장자인 분의 얼굴에 공식석상에서 맥주를 뿌리는 행동이 그나마 술김에 한 실수가 아니라 한 사람의 인격을 무시하고 볼모로 잡아가며..

이백(李白) - 중국 당대(中國唐代)의 시인

■ 이백「李白, 701~762. 중국(中國唐代)의 시인」 ↑이백(李白) 자는 태백(太白). 청련거사(靑蓮居士)라고도 한다.두보(杜甫)와 함께 중국 최고의 고전시인으로 꼽힌다. 출생지와 혈통에 관해서는 촉(蜀)의 면주(綿州:지금의 쓰촨 성[四川省] 창밍 현[彰明縣])에서 출생했다는 설이다, 5세 때 아버지와 함께 서역에서 이주해왔다는 설과, 아버지가 상인이었다는 설, 또는 서북 지방의 이민족이었다는 설 등 일정하지 않다. 경제적으로 매우 풍족한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25세경까지 일시적인 여행은 했으나 대체로 촉국에서 지낸 것으로 여겨진다. 일찍부터 독서를 좋아했고, 15세 무렵에는 시문 창작에도 높은 기량을 보였다고 한다. 이백의 현존하는 1,000여 수의 작품은 제재나 시의 형태로 보아 중국 고전시의 거..

백거이(白居易)/中唐時代(772~846)의 시인.

■ 백거이(白居易) ▲백거이(白居易) 중당시대(中唐時代,772~846) 의 시인으로. 자 낙천(樂天). 호는 취음선생(醉吟先生) ·향산거사(香山居士). 지금의 산시성[山西省] 타이위안[太原]. 뤄양[洛陽] 부근의 신정[新鄭] 출생이다. 그는 이백(李白)이 죽은 지 10년, 두보(杜甫)가 죽은 지 2년 후에 태어났으며, 같은 시대의 한유(韓愈)와 더불어 ‘이두한백(李杜韓白)’으로 병칭된다. 어려서 부터 총명하여 5세 때 부터 시 짓는 법을 배웠으며 15세가 지나자 주위 사람을 놀라게 하는 시재를 보였다. 대대로 가난한 관리 집안에 태어났으나, 800년 29세로 진사(進士)에 급제하였고, 32세에 황제의 친시(親試)에 합격하였으며, 그 무렵에 지은 《장한가(長恨歌)》는 유명하다. 807년 36세로 한림학사가..

초대부통령 이시영선생 묘비명

■ 성재 이시영선생 묘비명(省齋先生墓碑銘) 박종화 근찬(朴鍾和 謹撰) 여기 산(山) 좋고 물 맑은 삼각산(三角山) 밑 수유동(水踰洞) 푸른 언덕 가에 韓國의 높으신 분이 고요히 누워계시다. 누구이신가, 대한민국초대부통령성재이시영(大韓民國初代副統領 省齋李始榮)선생의 유택(幽宅)이다. 동포(同胞)여! 그대는 벽혈(碧血)을 뿌려 활화산(活火山)이 되게 한 대한독립운동사(大韓獨立運動史)를 읽었던가. 성재(省齋)선생은 바로 이 역사(歷史)속에 별같이 영생(永生)해 살아계신 분이다. 선생은 한제말(韓帝末)에 평남관찰사(平南觀察使)를 역임(歷任)하셨고, 애국(愛國)의 지사(志士)로 나라가 亡하니 一家의 富貴와 榮華를 버리시고 全 가권(家眷-가족을 말함)을 거느려 나만(南滿)에 亡命한 後 私財를 탕진(蕩盡)하여 신흥학..

왕발(王勃)/당나라 초기의 시인

■ 왕발(王勃, 650~676) ↑왕발(王勃) 자는 자안(子安). 강주(絳州) 용문(龍門:山西省 河津縣) 출생. 일설에는 강주(絳州) 용문(龍門 : 지금의 山西省 河津縣) 출생이다. 그는 수(隋)나라 말의 유학자 왕통(王通)의 손자로. 조숙한 천재로 6세 때 이미 문장을 잘하였고, 17세 때인 666년 유소과(幽素科)에 급제하였다. 젊어서 그 재능을 인정받아 664년에 이미 조산랑(朝散郞)의 벼슬을 받았다. 자는 자안(子安). 강주(絳州) 용문(龍門:山西省 河津縣) 출생. 일설에는 강주(絳州) 용문(龍門 : 지금의 山西省 河津縣) 출생이다. 그는 수(隋)나라 말의 유학자 왕통(王通)의 손자로. 조숙한 천재로 6세 때 이미 문장을 잘하였고, 17세 때인 666년 유소과(幽素科)에 급제하였다. 왕족인 패왕(..

성씨의 유례

■성씨별 유례 성씨를 클릭하면 해당 성씨의 본관과 유래, 인구수를 볼 수 있습니다. | 가 | 나 | 다 | 라 | 마 | 바 | 사 | 아 | 자 | 차 | 타, 파 | 하 | ㉮ 가(賈) 간(簡) 갈(葛) 감(甘) 강(姜) 강(康) 강(彊) 강(強) 강(剛) 개(介) 강전(岡田) 견(甄) 견(堅) 경(慶) 경(景) 경(京) 계(桂) 고(高) 곡(曲) 공(孔) 공(公) 곽(郭) 교(橋) 구(具) 구(丘) 구(邱) 국(鞠) 국(國) 국(菊) 군(君) 궁(弓) 궉(鴌) 권(權) 근(斤) 금(琴) 기(奇) 기(箕) 길(吉) 김(金) ㉯ 나(羅) 난(欒) 남(南) 남궁(南宮) 낭(浪) 내(乃) 내(奈) 노(盧) 노(魯) 노(路) 뇌(雷) 뇌(賴) 누(樓) ㉰ 단(段) 단(單) 단(端) 담(譚) 당(唐) 대(大..

사마광(司馬光)/중국 송(宋)나라의 학자· 정치가· 시인

■ 사마광(司馬光) 1019년-1086년 - 중국 송(宋)나라의 학자· 정치가· 시인. ▲사마광 초상 중국 북송시대의 역사가이자 뛰어난 정치가로 한림학사(翰林學士)와 재상(宰相)을 지냈다. 사마광(司馬光)은 섬주(陝州)의 하현(夏縣) 출신인 아버지 사마지(司馬池)가 광산(光山-지금의 하남성)에 근무할 때에 관사에서 태어났는데, 아버지는 천장각(天章閣) 대제(待制)를 지냈다. 사마광의 자(字)는 군실(君實)이라 하고 속수(涑水)선생으로 불리었으며, 죽은 다음에는 온국공(溫國公)에 봉해졌다. 그는 고결(高潔)한 도덕성(道德性)을 가지고 있었으며, 학문에 조예(造詣)가 깊었을 뿐만 아니라 뛰어난 정치가(政治家)로서 《자치통감(資治通鑑)》을 편찬(編纂)하였다. 유교경전(遺敎經典)을 공부했으며, 과거(科擧)에 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