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674

이 오(李 鰲)

■이오(李鰲) [문과] 성종(成宗) 17년(1486) 병오(丙午)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5위(15/33) [진사] 성종(成宗) 11년(1480) 경자(庚子) 식년시(式年試) [진사] 1등(一等) 1[壯元]위(1/100) [생원] 성종(成宗) 11년(1480) 경자(庚子) 식년시(式年試) [생원] 1등(一等) 3위(3/100) ---------------------------------------------------------------------------------------------------------------- 좌랑공(戶曹佐郞)의 자(字)는 백어(伯魚) 요. 휘(이름)은 오(鰲)이며 평안도 관찰사(오늘날 평안남북도의 도지사) 휘(諱) 윤인(尹仁) 공의 장손이며 아버지 창평 현령 공(昌..

친척(親戚)이란?

친척(親戚)이란? 핏줄이 같은 친(親)과 혼인으로 맺으진 척(戚)의 합성어 인데, 친으로 맺으진 관계를 친족, 또는 종족(宗族), 친당(親黨)이라하고 척으로 맺으진 관계를 척족(戚族), 또는 척당(戚黨)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둘을 합쳐서 부르는 용어가 족당(族黨)이다. 이 족당을 항렬과 촌수(寸數)에 따라 번져 나가게 되는 것이다. 단 민법(民法)에서는 친족을 자기의 배우자, 혈족 및 인척을 말하는데 (민법767조), 그 범위로는 첫째, 8촌 이내의 혈족, 둘째, 4촌 이내의 인척, 셋째, 배우자를 말한다.

이대건(李大建)/익재공파

■ 이대건(李大建) [생졸년] 1550년(명종 5)~1574년(선조 7) / 향년 24세 [생원진사시] 선조(宣祖) 6년(1573) 계유(癸酉) 식년시(式年試) 2등(二等) 7위 ---------------------------------------------------------------------------------------------- 공(公)의 휘(諱)는 대건(大建)이요. 자(字)는 여립(汝立), 본관은 경주(慶州)로 아버지 증(贈) 이조판서(吏曺判書) 휘 경윤(憬胤)과 어머니 원주이씨 (原州李氏) 병절교위(秉節校尉) 휘 은(垠)의 따님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1550년(명종 5년) 제천서 탄생 하였다. 1568년(선조 1) 증광향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유중영(柳仲郢)이 한 고을의 선비들을 모..

이인엽(李寅燁) - 좌의정 화곡 경억의 아들

■ 회와공 이인엽(晦窩公 李寅燁) [생졸년] 병신(丙申) 1656년(효종 7) ~ 1710년(숙종 36) /향년 55세로 [세계] 30世 익재공파(益齋公派) [문과] 숙종(肅宗) 12년(1686) 병인(丙寅) 정시(庭試) 을과(乙科) 2[探花郞]위(3/7) [진사시] 숙종(肅宗) 10년(1684) 갑자(甲子)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67위(97/100) ---------------------------------------------------------------------------------------------------------------- 공(公)의자는 계장(季章)이요, 호(號)는 회와(晦窩)이며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아버지 화곡공(華谷公), 경억(慶億)과 어머니파평윤씨(윤두..

나옹화상 어록 발(懶翁和尙語錄跋)

나옹화상어록(懶翁和尙語錄 ■ 나옹화상 어록 발(懶翁和尙語錄跋) 이상은 왕사 보제존자가 사방으로 돌아다닐 때 일상의 행동을 한마디, 한 구절 모두 그 시자가 모아 “나옹화상 어록"이라 이름 한 것이다. 그 제자 유곡(幽谷) ․굉각(宏覺) 등이 여러 동지들과 더불어 세상에 간행하려고 내게 그 서문을 청하였다. 그래서 나는 그들에게 말했다. "서문이란 유래를 쓰는 것인데, 그 유래를 모르고 서문을 쓰면 반드시 사람들의 비난을 받을 것이오. 장님이 길을 인도하거나 귀머거리가 곡조를 고른다면 그것이 될 일이겠는가!? 나는 그것이 안 되는 일인 줄 알 뿐 아니라, 더구나 백담암(白淡庵)의 서문에서 남김없이 말했는데 거기 덧붙일 것이 무엇 있는가." 그랬더니 그들은 "그렇다면 발문(跋文)을 써 주시오" 하면서 재삼 ..

12월은 보재(溥齋) 이상설 선생 독립운동가의 달

12월은 보재 이상설 선생의 독립운동가 달입니다. 보재 이상설 선생의 공훈선양 학술 강연회를 아래와같이 개최 합니다. --------------------아 래-------------------------------------------------- 일 시 : 2005년.12월16일(금) 오후2시. 장 소 : 독립관 세미나실(독립공원) ◇지하철 3호선의 독립문 4번출구. 제1부 : 기념식 ◇개회 ◇국민의례 ◇이달의 독립운동가 선정기념패 봉정(국가보훈처) ◇영구 보존용 태극기 증정 : 3.1운동 기념사업회 ◇인사말씀 : 이흥종 대한민국 순국선열유족회장 ◇축 사 : 김국주 광복회장. ◇축 사 : 이재정 보재선생 기념사업회장. 제2부 : 강연회 ◇주 제 : 이상설의 독립운동(윤병석인하대명예교수) ◇추모가 합창..

이상설선생 선양강연회[을사오조약 규탄]

을사오조약을 규탄하는 이상설선생 선양강연회 2005-11-19 오전 22 : 55 ↑지난 11월18일 보재이상설선생선양강연회가 (사)이상설선생기념사업회(회장 이재정-사진) 주최로 250여명이 모인가운데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성대히 열렸다. ↑이날 이재정기념사업회장은 개회인사를 통해 매국노 이완용 등, 을사5인을 앞세워 11월 18일 새벽에 고종황제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조약을 발표한지 100년이 되는 바로 오늘이라는 설명과 함께 그릇된 을사5조약(乙巳五條約)을 끝까지 반대하다가 갖은 고초를 겪으며 12년의 해외광복운동으로 건강을 잃게 되어 연해주에서 48세의 젊은 나이에 서거하셨음에도 불구하고 보재 이상설선생의 애국정신이 뒤안길에 가려 빛을 보지 못한 체 오늘을 맞이하게 된 것은 실로 안타까운 일이며, 우리민..

이상설(1870~1917)선생의 을사늑약 무효투쟁 100주년 기념행사 개최

보재 이상설(1870~1917)선생의 을사늑약 무효투쟁 100주년 기념행사 개최 2005년 11월 18일은 독립운운동과 헤이그밀사로 활약한 조국 광복운동의 선구자 보재 이상설선생께서 을사늑약 무효투쟁 100주년이 되는 기념강연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부디 참석하시어 자리를 빛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 래-- ◇일시 : 2005년 11월 18일(금요일) 오전 10시 30분 ◇장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문로 2가 2-1번지 서울 역사박물관 강당(전 서울고등학교) TEL : 02)724-1114 ◇식순 : 국민의례 회장인사 : 이재정 민주평통수석부의장 축사 : 김국주 광복회장 이종찬 전국정원장/우당장학회 이사장 ◇강의 : 이상설선생의 생애와 독립운동/윤병석 인하대 명예교수 국제법상 을사늑약의 허와 ..

명화속의 명언

명화속의 명언 네 두려움을 정복하라! 그러면 세계를 정복할 수 있다! You conquer your fear and you conquer the world! 내 인생엔 철칙이 있다. 그리고 그 철칙은 간단하다. 신께 영광을 돌리고, 내 여자를 사랑할지며, 내 조국을 지킬지어다. I have been living my life under a code. And the code is simple. Honor the god, love your woman, protect your country. 사랑은 눈이 아니라 마음으로 보는 것, 그래서 날개 달린 사랑의 천사 큐피드는 장님으로 그려져 있는 거지. Love looks not with the eyes, but with the mind, and therefore ..

흥둔촌서(與遁村書)

與遁村書 別後懸渴多也。卽辰動止何如。區區亦無恙。毋勞念及。僕於今月十九日。超拜密直提學。深懼亢滿。日夜不安。惟先生想察此意。餘冀萬萬珍重。只此。鄭夢周再拜。十一月二十四日。崔鄲之女之母族。亦眞兩班也。余聞之三寸李敬之判書。 遁村雜詠附錄 終 출처 : 둔촌잡영부록(遁村雜詠附錄) / 李集文集(廣州李氏) 둔촌잡영부록. 32與遁村書 [부록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