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중국사(中國史) 151

소동파(蘇東坡) - 중국 송때의 시인

■소동파(蘇東坡, 1036.~1101) - 중국 송때의 시인 ↑소동파(蘇東坡) 중국 송(宋)나라의 시인·산문작가·예술가이다. 본명은 소식(蘇軾), 자는 자첨(子瞻). 동파는 그의 호로 동파거사(東坡居士)에서 따온 별칭이다. 아버지 소순(洵), 동생 소철(蘇轍)과 함께 '3소'(三蘇)라고 일컬어지며, 이들은 모두 당송8대가(唐宋八大家)에 속한다. 그는 북송 인종(仁宗) 때 메이산[眉山:지금의 쓰촨 성(四川省)에 있음]에서 태어났다. 8세 때부터 메이산의 도인(道人)이라 불리던 장역간(張易簡)의 문하에서 공부를 시작했는데, 그 영향을 받아 도가(道家), 특히 장자(莊子)의 제물철학(齊物哲學)을 접하게 되었다. 1056년 그의 아버지 소순은 두 형제를 데리고 상경하여 이들의 시를 구양수(歐陽修)에게 보여주고 ..

구양수(歐陽修).

■구양수(歐陽修, 1007~1072, 중국 송(宋)나라의 정치가, 문인) ↑구양수(歐陽脩) 畫像 구양수(歐陽修)의 자는 영숙(永叔), 호는 취옹(醉翁), 시호는 문충(文忠). 가난한 집안에 태어나 4세 때 아버지를 여의었고, 문구(文具) 살 돈이 없어서 어머니가 모래 위에 갈대로 글씨를 써서 가르쳤다고 전한다. 10세 때 당나라 한유(韓愈)의 전집을 읽은 것이 문학의 길로 들어선 계기(契機)가 되었다. 1030년 진사가 되었으며, 한림원학사(翰林院學士)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의 관직을 거쳐 태자소사(太子少師)가 되었다. 인종(仁宗)과 영종(英宗) 때 범중엄(范仲淹)을 중심으로 한 새 관료파에 속하여 활약하였으나, 신종(神宗) 때 동향후배인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관직에서 물러났다. 송..

맹자(孟子). 순자(荀子)

■ 맹자(孟子 BC 372~289/84세) 이름은 맹가(孟軻)이다. 자(字)는 자흥(子輿) 또는 자차(子車)라고 하지만 확실하지 않다. 지금의 산동성(山東省) 추현(鄒縣)에 있었던 추(趨)에서 출생하였다. 공자(孔子)의 유교사상을 공자(孔子)의 손자인 자사(子思)의 문하생에게서 배웠다. 어릴 때 현모(賢母)의 손에서 자라났으며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는 유명한 고사이다. 제후(諸侯)가 유능(有能)한 인재들을 찾는 전국시대(戰國時代)에 배출(輩出)된 제자백가(諸子百家)의 한 사람으로서 맹자(孟子)도 BC 320년경부터 약 15년 동안 각국을 유세(遊說)하고 돌아다녔으나, 자기의 주장이 채택(採擇)되지 않자 고향에 은거(隱居)하였다. 제후(諸侯)가 찾는 것은 부국강병(富國强兵)이나 외교적 책모(策謀)였으나..

악의(樂毅). 전단(田單). 왕촉(王燭). 범수(范 睢).

●악의(樂毅, BC 284년경) - 전국시대 연(燕)나라 소왕(昭王)때의 장수 전국시대 연(燕)나라 소왕(昭王)때의 장군. 현자(賢者)이면서 전쟁도 잘했다. 조(趙), 초(楚), 한(韓), 위(魏), 연(燕)의 군사를 이끌고 강대국이었던 제(齊)나라를 토벌(討伐)하여 수도 임치를 함락(陷落)시키고, 70여성을 함락 시킨 후 모두 연(燕)에 소속(所屬)시켰다. 소왕이 죽고 혜왕이 즉위하자 제나라 전단이 이간책을 써서 사죄(死罪)를 덮어쓰게 되어, 조나라로 도망(逃亡)하게된다. 뒤에 혜왕이 뉘우치고 불렀지만 가지 않고 악의는 그 유명한 보연왕서 (報燕王書)를 지어 바쳤다. 이 문장이 제갈량의 출사표와 비슷해 제갈공명이 이를 본 뜬 것으로 보인다. 악의는 조나라와 연나라를 오가며 객경이 되어 두 나라를 도왔다..

노자, 장자, 묵자,

■ 노자(老子) BC 6세기경 중국 고대의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 성은 李, 자는 담(聃). 이름 耳. 노담(老聃)이라고도 한다. 초(楚)나라 고현(苦縣) 출생. 춘추시대(春秋時代) 말기 주(周)나라의 수장실사(守藏室史-장서실 관리인)였다. 공자(BC 552~479)가 젊었을 때 낙양(洛陽)으로 노자를 찾아가 예(禮)에 관한 가르침을 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周나라의 쇠퇴(衰退)를 한탄(恨歎)하고 은퇴(隱退)할 것을 결심한 후서방(西方)으로 떠나는 도중 관문지기의 요청으로 상하(上下) 2편의 책을 써 주었다고 한다. 이것을《노자(老子)》라고 하며 《도덕경(道德經)》(2권)이라고도 하는데, 도가사상의 효시로 일컬어진다. 그러나 이 전기에는 의문이 많아, 노자의 생존을 공자보다 100년 후로 보..

신불해(申不害) /천민출신 韓나라의 名宰相.

■ 신불해「申不害, BC 385경~337」-천민출신 한(韓)나라의 명재상(名宰相). ▲신불해 전국7웅(戰國七雄) 중에서도 가장 약한 나라인 한(韓)나라가 신불해를 재상으로 등용하여 15년동안 융성했다. 진나라 상앙과 동시대 사람이다. 정(鄭)나라 경[京:허난 성(河南省)] 싱양현[滎陽縣] 남동쪽) 사람이다. 한(韓)나라 소후(昭侯)에게 가서 재상이 되었다. 내정(內政)을 정비하고 밖으로 다른 제후들과의 관계를 잘 이끌어 15년 만에 나라를 강성하게 만들었다. 그의 사상은 황로사상(黃老思想)에 기반을 두고 형(刑)과 명(名)을 중시했다.또 '술'(術)을 중시했는데 그의 '술'에 대해 한비자(韓非子)에 군주가 재능에 따라 관리를 임명하고 직무에 근거해 업적을 평가하여 명(名)과 실(實)이 부합되도록 하며 절..

중국 전국시대 4공자

■ 평원군 조승[平原君 趙勝, ?~BC 251] 4공자(公子)의 한사람. 중국 전국(戰國)시대 조(趙)나라의 6대 무령왕(武靈王)의 아들로 이름은 조승(趙勝)이다. 평원(平原: 山東省 平原縣 남쪽)에 봉하여졌으므로, 평원군(平原君)이라 하였다. 그의 형 혜문왕(惠文王)과 조카 효성왕(孝成王)때 재상을 지냈다. BC 257년 진(秦)나라 군사가 조나라 도읍 한단(邯鄲)을 포위하자, 평소 식객(食客)으로 대접한 모수(毛遂)의 헌책으로 초(楚)나라의 춘신군(春申君)과 위(魏)나라 신릉군(信陵君)의 원군을 얻어 이를 물리쳤다. 제(齊)의 맹상군(孟祥君), 위(魏)의 신릉군(信陵君), 초(楚)의 춘신군(春申君)과 더불어 4공자(公子)의 한 사람이다. 어느날 평원군이 모수에게 말하였다. "선생께서 나의 문하에 있는..

이사(李斯). 조고(趙高) .몽염(夢魘).

■ 이사(李斯, BC280~ 208, 秦제국을 건설하는데 공헌한 인물) ▲이사(李斯). 마지막으로 불온한 사상의 확산을 막기 위해 BC 213년 역사교육을 금지하고 분서(焚書)를 명령했다. 이로 말미암아 그는 후대 모든 유학자들의 증오의 대상이 되었다. BC 209년 시황제가 죽자, 황위 계승자를 바꾸려는 환관 조고(趙高)의 음모에 가담했다. 그러나 2년 후 둘 사이에 암투가 생겼고 조고(趙高)는 그를 사형에 처했다. -------------------------------------------------------------------------------------------------------------------------------------- ■ 조고『趙高, BC? ~ 207 - 승상(丞相)..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

■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 BC 280년경 문경지교(刎頸之交)의 고사로 유명한 조(趙)나라 재상 인상여와 장수 염파다. 인상여는 조(趙)나라 유세객으로 조(趙)나라 혜문왕((惠文王))이 얻은 구슬(화씨의 벽)을 진(秦)나라에서 탐내자 진나라에사신으로가 땅도 되찾고 구슬을 온전히 보존하여 돌아왔다. 이로부터 완벽(完璧)이라는 단어가 생겨났다. 염파는 趙나라 장수로 제(濟)나라 군사를 무찔러 상경의 지위에 올랐다. 그러나 인상여(藺相如)가 「화씨지 벽(和氏之 璧)」후로 지위가 높아져 염파(廉頗)보다 높게되자 염파는 인상여를 모욕주려 하였다. 이 말을 듣고 인상여는 염파를 피하고 조회 때에도 병을 핑계삼아 서열을 다투려 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염파를 멀리 보이기만 하면 피하고 숨어 버렸다. 사람들이 그..

왕소군(王昭君)/중국 한(漢)나라 원제(元帝) 때의 미인 궁녀.

왕소군(王昭君) 중국 한(漢)나라 원제(元帝) 때의 궁녀로, 중국의 4대 미녀중의 한사람이었다. 그녀의 이름은 장(嬙). 자는 소군. BC 33년(竟寧 1) 흉노(匈奴)와의 친화정책을 위해 흉노왕 호한야선우(呼韓邪單于)에게 시집가서 아들 하나를 낳았다. 그 뒤 호한야가 죽자 흉노의 풍습에 따라 왕위를 이은 그의 정처(正妻) 아들에게 재가하여 두 딸을 낳고, 그곳에서 생을 마쳤다. 왕소군에 대한 이야기는 전설화되어 후대에 많이 윤색되어 전해졌다. 《서경잡기(西京雜記)》에 따르면, 원제(元帝)는 화공들에게 궁녀를 그리도록 명하여 그림을 보고 마음에 드는 여자를 불러들였다고 한다. 궁녀들은 모두 화공에게 뇌물을 주고 아름답게 그려달라고 했으나, 왕소군(王昭君)은 뇌물을 주지 않아 추하게 그려졌다. 원제는 그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