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중국사(中國史) 151

한유(韓愈,768 鄧州, 824長)

■ 한유(韓愈,768 鄧州, 824長) 산문(散文)의 대가(大家)이며 탁월(卓越)한 詩人. ↑한유(韓愈,768鄧州, 824長) 자(字)는 퇴지(退之). 한문공(韓文公)이라고도 한다. 중국과 일본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 후대 성리학(性理學)의 원조(元祖)이다. 어려서 고아(孤兒)였고, 처음 과거에 응시했을 때는 인습에 얽매이지 않은 문체 때문에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해 낙방했다. 그 후 25세에 진사에 급제, 여러 관직을 거쳐 이부시랑(吏部侍郞)까지 지냈다. 사후에 예부상서(禮部尙書)로 추증되었고 문(文)이라는 시호를 받는 영예를 누렸다. 유학이 침체되어가던 시기(時期)에 유학(儒學)을 옹호(擁護)했던 그는 헌종(憲宗)이 불사리(佛舍利)에 참배(參拜)한 데 대해 끝까지 간(諫)한 일로 인하여 1년 동안 차오..

呂太后-漢 高祖 劉邦의 아내.

■ 여 태후(呂太后, BC 241~180) - 한고조 유방(漢 高祖 劉邦)의 아내. ▲여태후(呂太后) 기원전 241~180 시대의 한고조 유방의 아내이다. 이름은 여치(呂雉). 산둥성(山東省=산동성) 단현(山東省 單縣) 출신으로, 어렸을 때 아버지는 원수를 피하여 장쑤성(江蘇省=강소성) 패현(沛縣)으로 피난와서 살았다. 첫 번째 만난 연회때 유방(劉邦)의 비범한 기도에 반하여 기쁘게 반려로 맺어졌다. 일테면 평범한 인간이었던 유방의 부인인 셈이다. 기원전(BC) 205년 유방은 항우(項羽)를 이기기 위하여 여치(呂雉)와 유방의 부모는 이년간이나 인질로 있었다. 203년 여치는 한나라로 귀환하여 관중에 머물렀다. 유방이 천하를 통일한후 칭 제후에 여치는 황후로 봉하여졌다. 둘 사이에는 그녀가 낳은 (盈)이..

항우(項羽) 와 범증(范增)

■항우(項羽) BC 232 중국 초(楚)나라~202) 안후이 성[安徽省]. 중국 진나라(秦 : BC 221~206) 말기의 장수이며, 진을 멸망시킨 반란군의 지도자이다. 이름은 적(籍). 자는 우(羽). 한(漢 : BC 206~AD 220)을 세운 유방(劉邦)과 관중(關中)의 지배권(支配權)을 놓고 다투었다. 항우가 패(敗)함으로써 중국에서 봉건제(封建制)가 일소(一掃)되었다. 항우(項羽)는 진나라가 전 중국을 통일하고 전국에 할거(割據)하던 제후국들을 폐지(廢止)시킬 때, 진에 흡수(吸收)된 나라가운데 하나인 초나라 유력가문의 후손(後孫)이었다. 진에 대항(對抗)하는 반란(反亂)이 각지에서 일어났을 때, 항우는 삼촌인 항량(項梁)이 이끄는 초군(楚軍)에 합류(合流)했고, 나중에 그를 이어 초군의 최고 ..

한무재(漢武帝) - 전한(前漢)의 제7대 황제

■ 한무재(漢武帝,BC141 ~ BC87) - 전한(前漢)의 제7대 황제 ▲한무재 유철(漢武帝劉徹) 한무재(漢武帝)는 이름이 유철(劉徹)이고 시호는 세종(世宗)이다. 한무제는 문제[文帝, BC 202~BC 157]와 경제(景帝, 경제[景帝, BC 188 ~ BC 141, 전한(前漢)의 제6대 황제]가 이루어놓은 안정된 나라에서 황제로서의 화려한 삶을 살았다. 활달한 성격의 소유자였던 한무제는 즉위(卽位) 후 신분, 지역(地域)을 가리지 않았고 널리 인재를 선발(選拔)하여 그들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收斂)하여 국정을 처리했다. 견식(見識)이 있고 감히 황제에게 간언(諫言)할 용기(勇氣)를 가진 유지인사들을 황궁에 불러들여 직접 면담을 진행했는데, 이런 면담을 그 당시 대책[對策]이라고 했다. 이런 대책을 ..

죽림칠현(竹林七賢)

■죽림칠현(竹林七賢) 삼국시대(三國時代) 말부터 서진(西晉) 초기(3세기 중엽)에 중국에서 관료(官僚) 세계를 떠나 전원(田園)에서 유유자적(悠悠自適)한 생활을 즐긴 7명의 은자(隱者)를 말한다. 그들은 때때로 낙양[洛陽] 북쪽의 한 대나무 숲에 모여 시(詩)를 짓고 거문고를 타면서 단약(丹藥)을 만들거나 술을 마시기도 했으므로, 당시의 사람들이 죽림칠현(竹林七賢)이라고 불렀다. 그들은 또한 청담(淸談-속되지 않은 고상한 이야기)이라고 하는 독특(獨特)한 담론을 전개한 대표적인 인물들인데, 청담은 당시의 어지러운 현실 세계에서 벗어나 자아의 해방과 개성적인 표현의 자유를 옹호(擁護)한 것으로 그 주제는 주로 도가(道家)를 중심으로 한 현학(玄學)에 속하는 것이었다. 7현 가운데에서도 자유사상가이며 매우 ..

치우(蚩尤) - 중국의 고대 신화에 나오는 인물.

■ 치우[蚩尤] - 중국의 고대 신화에 나오는 구려족의 우두머리 ↑치우 상(蚩尤 像) 중국의 고대 신화에 나오는 전설상의 인물로 구려족(九黎族=중국의 소수민족의 하나인 리족(黎族, Li people)의 우두머리로서 황제(皇帝)와 전쟁을 벌였다고 한다. 전설에 의하면 그는 염제(炎帝)의 후예인데, 81명의 형제가 있었다고 한다. 모두 동(銅)으로 된 머리와 철로 된 이마를 가지고 있었고, 머리 위에는 긴 뿔이 있었으며, 매우 모질고 사나웠다고 한다. 과(戈)·모(矛)·극(戟)·추모(酋矛:자루의 길이가 스무자인 창)·이모(夷矛) 등의 병기를 만들었다. 황제(黃帝)와의 전쟁중에 과부족인(夸父族人)·풍백우사(風伯雨師)·이매망량(魑魅魍魎:도깨비)의 도움을 받았다. 치우는 연기를 빨아들이고 안개를 뿜으며, 공중을 ..

황제헌원(皇帝軒轅) - 중화민족의 시조로 추존.

■ 황제헌원(皇帝軒轅) - 중화민족의 시조로 추존. ▲황제헌원(皇帝軒轅) 황제(皇帝)는 중국의 전국시대 이후로 문헌에 등장하는 제왕(帝王)중 첫 번째 제왕으로 삼황(三皇)에 이어 세상(중국)을 다스렸다고 한다. 황제 헌원씨(皇帝軒轅氏)라고도 한다.「황제(皇帝)」의 명칭은 제위시 황용(黃龍)이 나타나 토덕(土德)의 상서로운 징조가 있다고 하여 붙여졌다[오행설에 황색은 흙에 해당된다] 도교(道敎)의 시조로도 추앙 받고 있으며, 죽어서 신(神)이 되었다고 여겨지기도 한다. 한 대의 사마천이 저술한 역사서 《사기(史記)》에 의하면 그는 소전(少典)의 아들로, 성은 공손(公孫), 희(姬)라고도 하며,이름은 헌원(軒轅)이고, 치우[蚩尤: 중국의 전설상의 인물. 81명의 형제가 있었는데, 모두가 동(銅)으로 된 머리..

염제신농씨(炎帝神農氏)

■ 염제신농씨(炎帝神農氏) ↑염제신농 상(炎帝神農 像) 기원전 5300년 경의 중국의 고대 전설적인 제왕이다. 원래 남방에 위치해서 여름을 지배하는 관념적인 신격이었다고 생각된다. 오행사상에서 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는 점에서 삼황(三皇)의 일인인 신농(神農)과 결부되어서 염제 신농씨라고 불리며, 복희(伏羲)와 황제(黃帝)사이에 들어가는 제왕으로서 역사화 되었다. 성은 강(姜). 어머니의 여등(女登)은 신룡(神龍)에 감화 받아서 그를 낳고, 인신으로서 소(牛)의 머리를 하였다고 한다. 성덕이 있어서 제위에 오르자 진(陳)으로 수도를 정하고, 농기구를 발명해서 곡물을 심는 것을 사람들에게 가르치고, 시장 제도를 창시하는 등 민생의 안정에 노력했다. 기원전 5300년 경의 중국의 고대 전설적인 제왕이다. 원래..

항우와 유방의 인물비교.

■ 항우(項羽)와 유방(劉邦)의 인물비교. ▲한태조 고황제 유방(漢太祖 高皇帝 劉邦, 기원전 247년~기원전 195년)은 전한의 초대 황제(재위 기원전 202년~기원전 195년)이다. 기원전 202년 해하(垓下)에서 항우를 토벌하고 전한을 세웠다. 한(漢)나라 고조(高祖) 유방은 천하를 통일한 후 왕실의 안정을 위해 개국공신들을 차례로 숙청했다. 그리고 항우는 의심이 많은 사람으로서 자기 친족이 아니면 인정 해주지 않는 사람이다. 하지만 유방은 항우의 반대되는 인물로 오히려 자기 가족들을 등한시하고 능력 있는 사람을 좋아했다. 그럼으로 주변에는 항시 능력 있는 사람이 많이 모여들었던 것이다. 한신(韓信, ?~BC196), 장량(張良 ? ~ 기원전 189년), 소하(蕭何, BC? ~ 193 ), 진평(陳平..

백기(白起)와. 왕전(王翦).

■백기(白起, BC ~ 257) : 진(秦)나라 장수. 조(趙)나라와 장평에서 싸워 대승(大勝)함. ▲백기(白起, BC~257) 초상화 조(趙)나라 장수 염파(廉頗)는 백전노장(百戰老將)이라 서두르지 않고, 방비(防備)를 튼튼히 하고 진나라가 지치기만을 기다리는데 진(秦)나라 장수 백기(白起)는 군사비가 많이 들어 마냥 기다릴수만은 없다고 여겨 이간책을 쓰기로 한다. ‘염파(廉頗)는 늙고 겁이 많아 싸우려 하지 않는다. 진(秦)나라에서 두려워하는 것은 조사의아들 조괄(趙括)이다.’라는 유언비어(流言蜚語)를 퍼뜨리게 했다. 조왕은 유언비어(流言蜚語)를 믿고 조괄(趙括)을 장수로 하여 염파를 대신하게 하였다.조괄은 젊어서부터 아버지로부터 병법(兵法)을 배워 자기를 당 할 자가 없다고 여겼다. 그러나 아버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