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 1744

고려문과방목 소장처

■고려문과방목 소장처 ●고려문과방목은 하버드대에 있는 도서관외에 다른 곳에서 전해지는 것은 없다고 하는데, 《고려문과방목》이라는 이름으로 된 책이 일본 천리대학교 "금서룡문고"에 1종이 있습니다. ●하버드옌칭도서관 본은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복사본이 있습니다. ●천리대본 방목은 국립중앙도서관에 복사본이 있습니다. 북한 해금강

건원릉(建元陵)/조선의 태조 이성계 묘

■건원릉(建元陵)/조선의 태조 이성계 ↑조선태조어진(朝鮮太祖御眞.국보 제317호/전북 전주시 완산구 태조로 44 어진박물관)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초상화로 가로 150㎝, 세로 218㎝이다. 태조의 초상화는 국초부터, 여러 곳에 특별하게 보관되어 총26점이 있었으나 현재 전주 경기전에 있는 태조 초상화 1점만이 남아있다. 이 초상화는 임금이 쓰는 모자인 익선관과 곤룡포를 입고, 정면을 바라보며 의자에 앉아있는 전신 상으로 명나라 태조 초상화와 유사하다. 이 초상화는 1872년(고종 9년)에 낡은 원본을 그대로 새로 옮겨 그린 이모본인데, 전체적으로 원본 에 충실하게 그려 초상화 중 가장 표현하기 어려운 정면상임에도 불구하고 훌륭하게 소화해 낸 작 품으로 조선 전기초상화 연구에 있어 귀중한 자료가 ..

송강 정철 묘(松江 鄭澈 墓)

■송강 정철 묘(松江 鄭澈 墓) / 충북기념물 제106호 ↑앞에 보이는 묘는 송강 정철선생의 아들 묘이고 뒤에 있는 묘가 송강(松江)선생 묘이다. ↑ 송강(松江) 정철(鄭澈)선생 묘이다. ↑송강(松江) 정철(鄭澈)의 묘비(墓碑)이다. ●정철(鄭澈) 정철[鄭澈 : 1536년(중종 31)~1593년(선조 26)]은 조선 중기의 문인, 정치가로 본관은 영일(迎日). 자는 계함(季涵), 호는 송강(松江). 돈령부판관 정유침(鄭惟沈)의 아들로 서울에서 태어났다. 선생의 묘는 원래 경기도 고양시 원당동 신원리 송강마을의 부친의 묘 아래 소재하였는데, 우연히 우암선생이 진천을 지날때,당시 진천현감으로 있던 송강의 후손 정양(鄭瀁)으로 부터 고양의 송강산소가 물이난다는 풍수설이 있어 걱정된다는 말을 전해들은 송시열이 ..

제사지내는 시간.

■기제시간(忌祭時間) 예문(禮文)에는 별세한 날 자시(子時)에 제사를 지낸다고 되어 있다. 궐명제(厥明祭)니 질명제(質明祭)니 한다. 궐(厥)은 기야(其也)요 . 질(質)은 성야(成也)니 궐명(厥明=어두울 때)하면 미명(未明)이요. 질명(質明)하면 먼동이 틀 무렵이다. 그러니까 자정(子正)(零時)부터 인시(寅時)(五時)까지 날이 새기 전 새벽에 기제(忌祭)를 올리는 것이 예(禮)이다. 신도(神道)는 음(陰)이라 하여 늦 밤중에 활동을 하며 닭소리가 나기 전에 돌아가야 한다는 말은 예문(禮文)에는 없는 미신적인 말이다. 날이 바뀌는 첫 새벽(자시(子時))에 기제(忌祭)를 올려야 한다는 궐명행사(蹶明行祀)의 예문정신(禮文精神)은 돌아가신 날이 되면 제일 먼저 고인의 제사부터 올리는 정성을 강조한데 있다고 본..

국립대전현충원

▲국립 대전현충원 현충문 ▲국립 대전현충원 현충탑 ▲국가 원수 묘역에 안장된 제10대 최규하 대통령 묘. ▲최규하 전 대통령 묘역 우측에 3기의 대통령 묘역이 예비로 준비 되어 있다. ▲국가 사회공헌자 묘역에 안장된 전 국무총리 김상협 묘. ▲국가 사회공헌자 묘역에 안장된 민관식 묘(대한체육회장/문교부장관 역임) ▲국가 사회공헌자 묘역에 안장된 전 국회의장 황낙주 묘. ▲국가 사회공헌자 묘역에 안장된 오제도검사 묘. 1946년에서 50년대초 검사 재직시 반공검사로서 좌익세력 색출에 이름을 떨쳤으며, 제9대, 제11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국가 사회공헌자 묘역에 안장된 손기정 전 올림픽 마라톤 선수 묘. ▲장군 제1묘역에 안장된 김창룡 묘(일제 관동군 헌병에서 대한민국 특무부장까지.....1956년 피살)..

고령김씨 송암 김면 가승보(聖師公派)

고령김씨 송암 김면 가승보(聖師公派) 출처>http://cafe.daum.net/kss6336?t__nil_cafemy=item ●고령김씨 족보 간행 연도 김씨지족보(金氏之族譜) - 1561년 판서공 신도비 1차 임오보(壬午譜) 1762년 2차 정사보(丁巳譜) 1797년 3차 경인보(庚寅譜) 1830년 4차 갑술보(甲戌譜) 1874년 5차 병진보(丙辰譜) 1916년 6차 기축보(己丑譜) 1947년 7차 갑인보(甲寅譜) 1974년 8차 을해보(乙亥譜) 1995년

송암 김면 세계도

■송암 김면 세계도/高靈金氏 의(宜) ㅣ 1世 남득(南得) *득관조(得貫祖) 문하평리(門下評理-從二品) ㅣ 2世 무(畝) *이랑묘. 이랑무 사간공 (司諫公) ㅣ 3世 사행(士行)-사문(士文)-사충(士忠)-사신(士信)- 시정공 집의공 승지공 군수공 (寺正公) (執義公) (承旨公) (郡守公) ㅣ 4世 자숙(子肅) 참의공 (參議公) ㅣ 5世 형생(荊生)-장생(莊生)-양생(陽生) 감찰공 승지공 참판공 (監察公) (承旨公) (參判公) ㅣ ㅣ ㅣ 수(銖)----임(銋)----구(鉤)----흠(欽)----빈(鑌)----탁(鐸) ㅣ 판서공 판서공 부사공 진사공 진사공 병사공 ㅣ (判書公) (判書公) (府使公) (進士公) (進士公) (兵使公) ㅣ ㅣ ㅣ ㅣ ㅣ 세문(世文)-혜문(惠文) 7世 ㅣ 부사공 판윤공 ㅣ (府使公..

이덕손묘지명(李德孫墓誌銘) /고려시대

■ 이덕손묘지명(李德孫墓誌銘) [시대] 고려 [관향] 합천 [연대] 1301년(충렬왕27년) [문화재지정] 미지정 [탁본문] 현존하지 않음 [찬자/서자/각자] 시한향(是漢鄕) / 미상 / 미상 [개요] 묘지명은 안정복(安鼎福)이 편찬한 『잡동산이(雜同散異)』 제 4책(아세아문화사)에 수록되어 있다. 1301년(충렬27) 한림학사승지(翰林學士承旨) 시한향(是漢鄕)이 작성하였다. 묘지명의 주인공 이덕손(李德孫 : ?~1301년)은 합주(陜州 : 지금의 경남 합천) 사람으로서 뒤에 첩(帖)으로 이름을 고쳤다. 증조부는 미상이며, 조부는 익단(益端)이다. 아버지는 순목(淳牧)이며, 어머니 하양군부인(河陽郡夫人) 이씨(李氏)는 문비(文庇)의 딸이다. -----------------------------------..

이적 묘지명(李績墓誌銘)/1225년(고종 12년)

■ 이적 묘지명(李績 墓誌銘) [개관] 묘지명은 이규보(李奎報)의 문집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권36과 『동문선(東文選)』권122에 실려 있으며, 1225년(고종 12)에 이규보가 작성하였다. 묘지명의 주인공인 이적(李績, 1162~1225)은 지평현(砥平縣 : 지금의 경기도 양평군 지제면) 사람이다. 묘지명에는 조상의 이름이 미상이나, 『고려사』열전에 따르면 아버지는 이준선(李俊善)이다. 또한 묘지명과 달리 열전에는 이름을 이적(李勣)으로 기록하고 있다. 묘지명에는 이적이 1216년 거란족이 쳐들어 왔을 때 공을 세운 기록을 자세하게 싣고 있다. 명종 때부터 관료 생활을 시작하여 맹주(猛州 : 지금의 평남 맹산군)수령, 내시(內侍),합문지후(閤門祗候), 고주(高州 : 지금의 함경남도 고원군)수령,..

고려문하시중 조간행장(高麗門下侍中 趙簡 行狀)

■ 고려 문하시중 좌정승 조공 장록 (高麗 門下侍中 左政丞 趙公 狀錄) 공의 휘는 간(簡), 자(字)는 자삼(子三)이다. 아버지의 휘는 연벽(連璧)으로 고려 고종 때 대호군으로 김제에 귀양 왔다. 신라 걸해왕이 군(郡) 남쪽 15리에 벽골제를 쌓았는데, 수원(水源)이 셋이다. 둘은 금구(金溝) 모악산(母岳山) 남쪽과 북쪽에서, 하나는 태인(泰仁) 상두산(象頭山)에서 나와 벽골제에서 합친다. 호군공이 예전에 꿈을 꾸었는데, 어떤 노인이 나타나 말하기를 “나는 벽골제의 용이오. 내일 흑룡이 나타나 내 집[巢穴]을 빼앗으려 할 것이오. 공이 와서 구해 주기를 바라오.”라고 하였다. 잠에서 깨어 보니 매우 이상했다. 다음 날 새벽에 호군공이 활과 화살을 가지고 벽골제 주변에 도착하자 잠시후 남쪽 방향에서 조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