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 1744

춘헌 최문도 묘지명(春軒 崔文度 墓誌銘)/全州崔氏

유원 고려국 광정대부 도첨의 참리 상호군 춘헌선생 최양경공 묘지명 (有元 高麗國 匡靖大夫 都僉議 參理 上護君 春軒先生 崔良敬公 墓誌銘) 이제현 찬(李齊賢 撰) 춘헌(春軒) 최 양경공(崔良敬公)의 휘(諱)는 문도(文度)요, 자(字)는 희민(羲民)이다. 54세 되던 지정(至正) 5년(1345) 6월 계축일(癸丑日)에 졸하였으며, 그해 8월 임신일(壬申日)을 택하여 옥금산(玉金山)기슭에 장사하여 선영(先塋)에 부(祔)하였으니 예(禮)다. 아들 사검(思儉)은 먼저 죽었고 손자는 모두 어리며, 맏사위인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 정보(鄭誧)는 경사(京師)에서 돌아오지 않았고, 둘째사위인 판도정랑(版圖正郞) 민선(閔璿)이 나 부인(羅夫人)의 명으로 나에게 글을 빌어 돌에 새겨 광중(壙中)에 넣으려고 하였다. 나는 이미..

영봉서원(迎鳳書院)/忠賢祠의 후신

■ 영봉서원(迎鳳書院) 성주(星州) 영봉서원(迎鳳書院)을 창건할 때 처음에는 이문열 조년(李文烈 兆年)과 이문충 인복(李文忠 仁復)과 김한훤(金寒暄)을 모두 합향(合享)하려고 하였었다. 그러나 제생(諸生)들은 모두 한훤만 독향(獨享)으로 하려 하였고, 문충을 배향하려는 자는 10여 명밖에 되지 않았는데, 또 문열을 함께 병향(幷享)하려고 하면 모든 선비는 들은 척도 안하면서 신을 신고 가 버렸다. 이는 대개 문열의 유상(遺像) 한 폭이 있었는데 손에 수주(數珠=염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퇴계(退溪)는 이르기를, “한 시대의 습속은 비록 어진 자로서도 면할 수 없으니, 그 화상을 없애 버리고 자그마한 결점을 가리는것이 좋지 않겠는가?”라고 하였다. 나는 《여사(麗史)》에 상고해 보니, 두 이공(李..

성산군 이조년 묘지명(星山君 李兆年 墓誌銘)

유원 고려국 성근익찬 경절공신 중대광 성산군 증시 문열공 이공 묘지명 (有元 高麗國 誠勤翊贊 勁節功臣 重大匡 星山君 贈諡 文烈公 李公 墓誌銘) 이제현 찬(李齊賢 撰) 예로부터 묘소에는 지석(誌石)이 있어 왔다. 세대가 이미 멀어지면 혹 묘소가 무너질 수는 있으나 그 지석을 보면 누구를 위하여 간직해 둔 것인 줄을 알게 되니, 진실로 차마 폐할 수 없는 것이며, 사군자(士君子)가 그 어버이를 장사할 적에 뒤로 미룰 수 없는 것이다. 성산군 이공이 졸한 지 1년이 넘어서 내가 비로소 공을 위하여 묘지명을 찬술하는 것은, 대개 연유(緣由)가 있어서이다. 조적(曹頔)의 변란 때에 천자가 영릉(永陵-고려 충혜왕의 묘호)을 불러 입근(入覲)하게 하였는데, 승상(丞相) 백안(伯顔)이 숙감(宿憾)을 품고 영릉으로 하여..

매림서원(梅林書院)

■ 매림서원(梅林書院) [소재지]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송림2리 [서원의 역사] 매림서원은 한계(寒溪) 오선기(吳善基)와 매헌(梅軒) 곽수강의 행적을 기리기 위하여 유림에서 1707년(숙종 33) 쌍림면 매촌리에 건립하였었다. 그 후 1871년(고종 8년) 음력 3월 20일 지방에 있어서 양반의 근거지로 남설(濫設)된 서원의 오 랜 적폐(積弊)를 제거하기 위하여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이 내려지면서 매림서원이 훼철된 후. 1984년 다시 중수하면서 서원으로 복원되었다. [배향자 인물소개] ●오선기(吳善基) 1630년(인조 8)∼1703년(숙종 29). 조선 후기 학자. 자는 경부(慶夫)이고, 호는 한계(寒溪)이다. 본관은 고창(高敞)이고, 오익전(吳益烇)의 아들로 경상북도 고령(高靈) 출신이다.그는 단계(丹..

병암정 별묘(屛巖亭및別廟)

종 목 : 문화재자료 제453호 (예천군) 명 칭 : 예천권씨병암정 및 별묘(醴泉權氏屛巖亭및別廟) 분 류 :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조경건축/ 누정 수량/면적 : 2동 지 정 일 : 2003.12.15 소 재 지 : 경북 예천군 용문면 성현리 93 소 유 자 : 예천권씨병암문중 관 리 자 : 예천권씨병암문중 상 세 문 의 : 경상북도 예천군 문화관광과 054-650-6902 예천 병암정(屛巖亭) 초간정(草澗亭) 종 목 : 문화재자료 제143호 (예천군) 명 칭 : 초간정(草澗亭) 분 류 :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조경건축/ 누정 수량/면적 : 1동 지 정 일 : 1985.08.05 소 재 지 : 경북 예천군 용문면 죽림리 350 소 유 자 : 권영기 관 리 자 : 권영기 상 세 문 의 : 경상북도 예..

조욱선생 묘(趙昱先生 墓)/平壤人

■ 조욱선생 묘( 양평군 향토유적 제26호) ↑소재지: 경기 양평군 용문면 덕촌리 산7번지 ↑후경 모습 ↑최근 새로 단장된 모습(2012.) 사진 출처 : 솔향 조욱(趙昱, 1498~1557) 선생의 묘는 양평군 향토유적 제26호이다. 본관은 평양(平壤)이고 자는 경양(景陽), 호는 용문(龍門)‧ 또는 보진재(葆眞齋). 아버지는 판관(判官-從五品) 조수함(趙守諴)이며,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춘양군(春陽君) 이래(李徠)의 딸이다. 묘는 장대석의 둘레돌이 돌려져 있고, 봉분의 오른쪽에 묘갈비(墓碣碑)이 자리하고 있다. 봉분 앞 중앙에는 상석과 향로석이 비치되 있고, 좌우에 동자석, 망주석, 문인석이 각각 놓여 있다. 묘갈은 조익(趙翼)이 글을 짓고, 이건명(李健命)이 글씨를쓰고, 이징하(李徵夏)가 ..

전주최씨(全州崔氏)

■전주최씨 개요(全州崔氏) ●연혁(沿革) 전주(全州)는 전라북도 중앙에 위치한 지명으로 고대 마한(馬韓)의 원산성(圓山成)에서 유래하며, 백제시대에 완산(完山) 또는 비사벌(比斯伐)‧비자화(比自火) 등으로 불렸다가, 555년(위덕왕 2)에 완산주(完山州)로 하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완(完)을 의역(意譯)하여 전주(全州)로 고쳤고, 900년(효공왕 4)에 견훤(甄萱)이 무주(武州: 光州)로부터 이곳으로 후백제의 도읍을 옮겨 백제 부흥의 노력을 하였다. 936년(고려 태조 19)에 후백제가 망하자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가 설치되었다가 940년에 다시 전주로 회복되었다. 983년(성종 2)에 12목 가운데의 하나인 전주목이 설치되었으며, 993년에 승화(承化)로 개칭하고 절도안무사(節度安撫使)를..

야인(野人)-崔昌大 詩

■ 야인(野人 : 시골에 사는 사람) 지은이 : 곤륜 최창대(昆侖 崔昌大) 野人茅屋小 葺用蒼椵皮 야인모옥소 즙용창가피 疎麻遶前庭 瓠葉蔓前籬 소마요전정 호엽만전리 皤皤老樹根 腹飽無所思 파파노수근 복포무소사 兒童不嚾爭 鷄犬各依依 아동부훤쟁 계견각의의 客來怪其人 試問羲皇時 객래괴기인 시문희황시 泊然無答言 微笑起行遲 박연무답언 미소기행지 但問牛背兒 月出可言歸 단문우배아 월출가언귀 ------------------------------------------------ 시골에 숨어사는 은자의 오두막 나무껍질로 덮은 지붕. 앞뜰 둘러 삼 대 자라고 울타리는 박 잎이 덮었네. 머리허연 노인 고목에 기대앉아 배 두드리며 세상사 잊었고, 아이들 시끄러운 소리도 없고 닭도 개도 저대로 한가롭네. 지나던 나그네 그에게 묻기를..

덕산황씨세계도(德山黃氏世界圖)

■ 덕산황씨세계도(德山黃氏世界圖) 시조공 황언필(黃彦弼) 덕풍군(德豊君) ㅣ 상계실전 ------------------ 1世 황재(黃 載) 장흥고사(長興庫使) ㅣ 2世 길상(吉祥)-여(女) ㅣ 김양보 처(金揚普 妻) ㅣ 3世 덕경(德卿) ㅣ 4世 욱(郁) ㅣ 5世 정문(正文) ㅣ 6世 구수(龜壽)-구연(龜淵) ㅣ ㅣ ㅣ 귀서(貴瑞) 7世 ㅣ ㅣ ㅣ 이철(李哲) 8世 ㅣ ㅣ ㅣ 종로(宗老)-여(女)-------여(女)-------여(女)-------여女) 9世 ㅣ ㅣ (金是鳳妻) (金夢立妻) (朴虎吉妻) (嚴兌龍妻) ㅣ ㅣ ㅣ 옥(鈺)-연(鍊)-용(鏞)----여(女)------ 여(女)------ 여(女)------여(女) 10世 ㅣ ㅣ ㅣ ㅣ (金爾湜妻) (金世規妻) (張益達處) (李成華妻) ㅣ ㅣ ㅣ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