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선현들의 묘.

송강 정철 묘(松江 鄭澈 墓)

야촌(1) 2012. 10. 11. 03:00

■송강 정철 묘(松江 鄭澈 墓) / 충북기념물 제106호

 

↑앞에 보이는 묘는 송강 정철선생의 아들 묘이고 뒤에 있는 묘가 송강(松江)선생 묘이다. 

 

↑ 송강(松江) 정철(鄭澈)선생 묘이다.

 

↑송강(松江) 정철(鄭澈)의 묘비(墓碑)이다. 

 

●정철(鄭澈)

 

정철[鄭澈 : 1536년(중종 31)~1593년(선조 26)]은 조선 중기의 문인, 정치가로  본관은 영일(迎日). 자는 계함(季涵), 호는 송강(松江). 돈령부판관 정유침(鄭惟沈)의 아들로 서울에서 태어났다. 

 

선생의 묘는 원래 경기도 고양시 원당동 신원리 송강마을의 부친의 묘 아래 소재하였는데, 우연히 우암선생이 진천을 지날때,당시 진천현감으로 있던 송강의 후손 정양(鄭瀁)으로 부터 고양의 송강산소가 물이난다는 풍수설이 있어 걱정된다는 말을 전해들은 송시열이 이곳 충북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 산14-1번지로 정해주자 1665년(현종 6) 후손 정양(鄭瀁)이 이장하였다고 전한다.  

 

정철은 어려서 인종의 귀인인 큰누이와 계림군(桂林君) 유(瑠)의 부인이 된 둘째누이로 인연하여 궁중에 출입, 같은 나이의 경원대군(慶源大君: 명종)과 친숙해졌다.10세 되던 해인 1545년(명종 즉위)의 을사사화에 계림군이 관련되자 그 일족으로서 화를 입어 맏형은 장류(杖流) 도중에 죽고 부친은 유배당하였는데, 그도 관북(關北)‧정평(定平)‧연일 등 유배지를 따라다녔다.

 

1551년에 아버지가 귀양살이에서 풀려나자 그 할아버지의 산소가 있는 전라도 담양 창평 당지산(唐旨山) 아래로 이주하게 되고, 이곳에서 과거에 급제할 때까지 10년간을 보내게 된다. 여기에서 임억령(林億齡)에게 시를 배우고 김인후(金麟厚)‧ 송순(宋純)‧ 기대승(奇大升)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이이(李珥)‧ 성혼(成渾)‧ 송익필(宋翼弼)같은 유학자들과 친교를 맺었다.

 

17세에 문화유씨(文化柳氏) 유강항(柳强項)의 딸과 혼인하여 4남 2녀의 자녀를 두었다.1561년(명종 16) 26세에 진사시 1등을 하였고, 이듬해 별시문과에 장원급제하였다.첫 벼슬은 사헌부지평, 이어 좌랑‧ 현감‧전적‧ 도사를 지내다가 31세에 이르러 정랑‧  직강‧ 헌납을 거쳐 지평이 되었다가 함경도암 행어사를 지낸 뒤 32세 때 이이(李珥)와 함께 사가독서하였다.

 

이어 수찬‧ 좌랑‧ 종사관‧ 교리‧ 전라도암행어사를 지내다가 40세인 1575년(선조 8)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다.그뒤 몇 차례 벼슬을 제수받았으나 사양하고, 43세 때 장악원정을 배수하고 조정에 나왔다. 이어 사간‧ 집의‧ 직제학을 거쳐 승지에 올랐으나, 진도군수 이수(李銖)의 뇌물사건으로 반대파인 동인의 탄핵을 받아 다시 고향으로 돌아갔다.

 

1580년 45세 때 강원도관찰사가 되었으며, 이때 〈관동별곡〉과 〈훈민가(訓民歌)〉16수를 지어 시조와 가사문학의 대가로서의 재질을 발휘하였다.그뒤 전라도관찰사‧ 도승지‧ 예조참판‧ 함경도관찰사 등을 지냈으며, 48세 때 예조판서로 승진하였고 이듬해 대사헌이 되었으나 동인의 탄핵을 받아 다음해에 사직, 고향인 창평으로 돌아가 4년간 은거생활을 하였다.

 

이때 〈사미인곡〉‧〈속미인곡〉‧ <성산별곡>등의 가사와 시조‧ 한시 등 많은 작품을 지었다.54세 때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이 일어나자 우의정으로 발탁되어 서인의 영수로서 최영경(崔永慶) 등을 다스리고 철저히 동인들을 추방하였으며, 다음해 좌의정에 올랐다.

 

56세 때 왕세자 책립문제인 건저문제(建儲問題)가 일어나 동인파의 거두인 영의정 이산해(李山海)와 함께 광해군의 책봉을 건의하기로 하였다가 이산해의 계략에 빠져 혼자 광해군의 책봉을 건의하였다.이에 신성군(信城君)을 책봉하려던 왕의 노여움을 사서 “대신으로서 주색에 빠졌으니 나랏일을 그르칠 수밖에 없다.”는 논척을 받고 파직, 명천에 유배되었다가 진주와 강계로 이배되었다.

 

57세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귀양에서 풀려나 평양에서 왕을 맞이하고 의주까지 호종, 왜군이 아직 평양 이남을 점령하고 있을 때 경기도‧충청도‧전라도의 체찰사를 지내고, 다음해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그러나 동인의 모함으로 사직하고 강화의 송정촌(松亭村)에 우거하다가 58세로 죽었다.

 

작품으로는 〈관동별곡(關東別曲)〉‧〈사미인곡(思美人曲)〉‧〈속미인곡(續美人曲)〉‧〈성산별곡(星山別曲)〉 등 4편의 가사와 시조 107수가 전한다. 시조는 《송강별집(松江別集)》. 추록유사(松江別集追錄遺詞)》 권2에 〈주문답(酒問答)〉 3수, 〈훈민가〉 16수, 〈단가잡편(短歌雜篇)〉 32수, 〈성은가(聖恩歌)〉 2수, 〈속전지연가(俗傳紙鳶歌)〉 1수, 〈서하당벽오가(棲霞堂碧梧歌)〉 1수, 〈장진주사(將進酒辭)〉 등이 실려 있다.

 

상당히 중복되기는 하나 성주본(星州本)과 이선본(李選本)《송강가사(松江歌辭)》에도 많은 창작시조가 실려 있다.

저서로는 시문집인 《송강집》과 시가작품집인 《송강가사》가 있다.

 

전자는 1894년(고종 31)에 간행한 것이 전하고, 후자는 목판본으로 황주본(黃州本)‧의성본(義城本)‧관북본(關北本)‧성주본(星州本)‧관서본(關西本)의 다섯 종류가 알려져 있으나, 그중 관북본은 전하지 않고 나머지도 책의 일부만 전한다.

 

또, 필사본으로는 《송강별집추록유사》와 《문청공유사(文淸公遺詞)》가 있으며, 한시를 주로 실은 《서하당유고(棲霞堂遺稿)》  2권 1책도 판각본으로 전한다. 창평의 송강서원, 연일의 오천서원(烏川書院) 별사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청(文淸)이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