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 1744

진사(進士)

■진사(進仕). 고려와 조선시대 과거의 하나로 소과(小科)인 진사시에 합격한 사람에게 주던 칭호이다. 진사란 사류(士類)에 참렬(參列)할 수 있는 자격을 얻었다는 뜻으로 1438년(세종 20)부터는 이들에게 합격증서로서 백패를 주었다. 진사는 성균관에 입학할 자격을 얻을 뿐만 아니라 대과에 응시할 자격이 있고, 하급관원으로 등용될 수도 있었다. 그러므로 소과 또는 소성이라 하였다. 고려시대에도 시(詩)· 부(賦)· 송(頌) 및 시무책(時務策 : 그 시대의 중요한 정책. 시급한 일)으로서 진사를 뽑았는데, 시험과목과 선발인원이 일정하지 않았다. 조선시대에는 진사 시험에 초시와 복시(覆試 : 초시 합격자가 다시 보는 과거. 즉 높은 시험)가 있었다. 초시의 시험과목은 경국대전에 부 1편. 고시. 명. 잠중에..

족보 보는법.

■족보 보는법 요즈음 족보(族譜)를 보는 방법을 몰라 자녀들에게 집안의 내력을 설명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것은 젊은세대들이 족보(族譜)에 관심이 없는 것도 있겠으나, 정작 낡은 유물이나 봉건사상쯤으로 도외시하는 한자(漢字)와 고어(古語)등 교육의 부재에도 문제가 있다 할 것이다. 조상의 얼이 담겨있는 귀중한 보첩(譜牒)을 경건한 마음으로 모셔야 하고, 소중히 간직하기 위해서는 족보 편수 하는 방법이나 구성, 체재 등 열람하는 방법을 숙지 하여야 한다. ○ 필수요소 먼저 '자기(나)'가 어느 파(派)에 속해 있는지 알아야 한다. 파를 알지 못할 경우에는 조상이 어느지역에서 살았고, 그 지방에 어떤 파(派)가 살았던가를 확인해야 한다. 그래도 파(派)를 모를 때는 부득히 씨족 전체가 수록되어 있는 대동보..

광평대군 묘역(廣平大君墓域 )-세종의 5남

광평대군 묘역(廣平大君墓域 )-세종의 5남 ↑광평대군 부부 묘(廣平大君 墓) 묘의 좌측이 부인인 영가부부인(永嘉府夫人) 平山申氏 묘이고 우측이 광평대군 묘 입니다. ↑광평대군신도비(廣平大君神道碑) ■ 광평대군 묘역(廣平大君墓域) 광평대군은 1425년(세종 7)에 세종대왕과 소헌왕후 심씨의 제5남으로 태어나 1444년(세종 26)에 별세하였다. 평산신씨 증 좌의정 자수(自守)의 딸을 부인으로 맞아 영순군(永順君)을 두었다. 영순군은 남천군(南川君) · 청안군(淸安君) · 회원군(會原君)을 두었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산10-1에 있는데 세종대왕의 다섯째 아들 광평대군(廣平大君)의 묘역에는 광평대군을 비롯하여 그 후손들의 묘 700여기(基)가 산재해 있다. 묘역의 넓이는 약 13만평(총면적 413,30..

임진왜란의 공신록.

임진왜란 공신록 명칭 책정사유 등위 호 이름 총수 호성공신 (扈聖功臣) 선조의 피난 시 호종했던 공로 1등 (2명) 효충장의적의협력선무공신 (效忠仗義迪毅協力宣武功臣) 이항복(경주) 정곤수(청주) 총 86명 내시:24명 이마:6명 의관:2명 별좌:2명 사알:2명 2등 (31) 충근정량효절협책호성공신 (忠勤貞亮効節協策扈聖功臣) 신성군 이우(선조의 4男), 정원군 이부(선조의 5男), 이원익(전주), 윤두수(해평), 심우승(청송),이호민(연안), 윤근수(문화), 유성룡(풍산), 김응남(원주), 이산보(한산), 유근(진주), 이충원(전주), 홍진(남양), 이국(광주), 유영경(전주), 이유징(정선), 박동량(반남), 심대(청송), 박숭원(밀양), 정희번(청주), 이광정(연안), 최흥원(삭녕), 심충겸(청송), ..

옛 관직의 품계.

■ 옛 관직의 품계. ● 정1품 [고려] 1060년(문종 14) 처음으로 문산계(文散階)를 제정할 때는 설정하지 않고 종1품을 최고 품계로 하였다가, 1308년(충렬왕 34) 문관만 정1품을 두었으나 정1품을 위한 관직은 따로 두지 않았고, 그 명호(名號) 등 제도의 변개가 거듭되었다. [조선] 상ㆍ하의 구분과 동반(東班: 문관)ㆍ서반(西班: 무관)ㆍ종친ㆍ의빈(儀賓: 국왕의 사위) 등의 구별이 있었다. 그러나 1865년(고종 2) 종친과 의빈의 품계를 모두 동반에 통합하고, 정1품 상의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와 정1품하의 보국숭록대부 사이에 상보국숭록대부(上輔國崇祿大夫)를 설정하여, 국구(國舅)와 종친의 관계로 정하였다. 관직으로는 영의정을 비롯하여 좌ㆍ우의정, 겸직의 영사(領事)ㆍ도제조(都提..

관계(官階)와 관직(官職)

■ 관계(官階)와 관직(官職) 1. 관계(官階) 관계(官階)란 관리의 계급이란 뜻으로 품계(品階), 또는 위계(位階)라고도 하였다. 고려 때에는 문관의 계급을 문산계(文散階), 무관의 계급을 무산계(武散階)라 하였다. 그후 시대에 따라 다소의 변화가 있었으나 1품부터 9품까지로 크게 나누고, 각 품계를 정(正)과 종(從)으로 나누었 다. 같은 품계라도 정(正)이 위, 종(從)이 아래이다. 정과 종을 다시 상(上), 하(下)로 세분 하였다. 각 계급에는 각각 그 계급을 나타내는 명칭이 붙어 있었으며, 이 명칭을 관계라 하였다. 관계는 문관과 무관, 종친(宗親)과 의빈(儀賓), 내명부(內命婦)와 외명부(外命婦), 토관직(土官職)과 잡직(雜職) 등에 따라 명칭이 각각 다르다. 관리에 임명됨과 동시에 계급이 정..

기제일(忌祭日) 논란.

■ 기제일(忌祭日) 논란. 우리 선조들은 관(冠).혼(婚).상(喪).제(祭)를 사례(四禮)라 하여 매우 소중히 지켜 왔다. 제례(祭禮)는 제사를 지내는 예법과 예절로 옛날에는 집집마다 사당(祠堂)을 만들고 신주(神主)를 모셨으며 철마다 지내는 사시제(四時祭)와 4대 이상, 조상의 묘지에서 지내는 묘제(墓祭) 등이 있었다. 지금은 대부분 지내지 않고 부모, 조부모가 별세한 날에 모시는 기제(忌祭)와 3대가 되는 증조부모 이상의 선영에 모시는 세일제(歲一祭 : 시사, 또는 시향)만 행하는 분들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이 기제를 언제(어느날) 모셔야 하는가가 문제인데 요즘 일부에서는 기제를 하루 앞당겨 지내는 실수를 범하고 있다. 이는 두 가지 이유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첫째, 기제는 별세하기 하루 전에 지내야..

옛 관직 일람.

■ 우리나라 옛 관직일람. [ㄱ] 감관(監官) : 조선시대 각 관아(官衙), 궁방(宮房)에게 금전의 출납을 맡아보던 관리. 각간(角干) : 신라의 최고 관급(官級). 상대등(上大等)과 같이 17관등과는 별개. 가감역관(假監役官) : 조선시대 토목(土木). 영선(營繕)을 담당하던 종9품의 임시관직. 가덕대부(嘉德大夫) : 조선시대의 종1품의 종친(宗親)에게 주던 관계(官階). 가선대부(嘉善大夫) : 조선시대의 관계(官階). 종2품으로 문, 무반, 종친이 받음. 가의대부(嘉義大夫) : 조선의 관계(官階). 종2품으로 처음에는 가정대부(嘉靖大夫)였다. 감군(監軍) : 조선의 군직(軍職)으로 군인들의 순찰을 감독하던 임시 벼슬. 감목관(監牧官) : 조선의 외관직, 지방의 목장(牧場)일을 맡아 보았다. 감무(監務..

파평윤씨 문중묘와 보학예절.

"이규원 객원전문 기자의 대한민국 통맥풍수" ■파평윤씨 문중묘와 보학예절. 용맥이 끊긴 중시조 윤번 묘 후손들 분란 예고했나. ↑정정공 윤번「 尹璠, 1384~1448」묘. 뒤의 입수룡(入首龍) 두툼하게 내려오다 혈처 5m 지점에서 멈춰선 것이 뚜렷 하게 보인다. 매우 드물고 희귀한 현장이다. 윤번은 세조대왕의 장인이며, 정희 왕후의 친정아버지다. 풍수공부를 한답시고 남의 묘를 살피고 다니다 보면 가끔 별의별 생각이 다 든다. 수 천년된 고인돌을 탐사하며, 장사 지낸 지, 천년이 넘는 옛 무덤 앞에서, 명당 중, 명당이라는 재벌이나, 정치인 산소를 눈치껏 살피며, 갑자기 떼돈 벌어 왕릉같이 꾸며 놓은 졸부의 호화분묘 앞에서, 때로는 살아서의 행적에 비해 너무 초라한 폐묘를 지나치며 말이다. 수없이 오르내..

릉묘들.

■ 릉묘(陵墓) 들. ▲ 1. 신라제4대 석탈해왕릉(脫解王陵) ▲ 2. 괘릉 : 보물 제1427호, 신라제38대 원성왕릉(元聖王陵). 봉분의 지름은 약23m, 높이는 약6m이다 ▲ 3. 신라 제42대 흥덕왕 릉(興德王陵) ▲ 4. 조민수의 아들 조우희(曺遇禧) 묘 ▲5. 원천석 묘(태종 이방원의 스승). ▲6. 난계 박연 묘(밀양박씨) ▲ 7 . 중봉 조헌선생 묘 ▲위의 묘가 송강 정철 묘이거 아랴 묘는 그의 아들 묘이다. ▲ 8.송강 정철 묘 ▲9. 다산 정약용 묘 ▲ 10. 영의정 동고 이준경 묘(광주이씨) ▲11. 영의정 한음 이덕형 묘 ▲ 12. 간이제(簡易薺),한확(韓確) 묘. ▲13. 약천(藥泉 南九萬) 묘 ▲14. 포은 정몽주선생 묘. ▲15.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 김만기金萬基, 16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