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 1744

족보 상식.

■족보 상식(族譜常識) 1. 족보의 기원(起原) 족보(族譜)는 다른 말로 보첩(譜牒)이라고도 하며, 그 효시는 중국의 6조(六朝) 시대에 왕실의 계통을 기록한 것 이 처음이며, 우리나라는 고려 왕실의 계통을 기록한 것으로 18대왕 의종(毅宗)때 김관의가 지은 왕대종록(王 代宗錄)이 그효시라고 할 수 있다. 체계적인 족보의 형태를 갖것은 조선 성종(成宗)때(1476) 부터이며, 이때 안동 권씨 성화보(安東權氏成化譜)가 처음발간되었다. 혈족(血族) 전부를 망라한 족보는 조선 명종(明宗)때 편찬된 문화 유씨보(文化柳氏譜)로 알려 졌으며 지금까지 전해온다. 2. 보첩(譜牒)의 종류(種類) ●대동보(大同譜) 같은 시조(始祖)아래 중시조 마다 각각 다른 본관(本貫)을 가지고 있는 씨족간에 종합 편찬된 족보이다. 다..

선략장군 이형림 묘(宣略將軍 李亨林 墓)/판운공파

↑소재지 : 경북 경주시 건천읍 대곡1리 ↑1479년(성종 10) 9월 24일에 성종 임금이 충순위 이형림을 선략장군에 임명한 교지. [원문] 敎旨 忠順衛李亨林爲宣略將軍者慶州 成化十五年九月二十四日 ●선략장군 이형림세계도(宣略將軍 李亨林 世系圖) 17세 제현(齊賢) 익재공 (益齋公) │ 18세 서종(瑞種)-달존(達尊)-창로(彰路) 侍郞公 雲窩公 밀직공(密直公) │ 19世 보림(寶林)-실림(實林)-원익(元益) 文肅公 스님이됨 │ ┌-------------------------┘ 20世 선(瑄) 병조판서 (兵曹判書) ㅣ 21世 지회(之會)-지대(之帶) 소경공파 판윤공파 ◀ 파조 (少卿公派) (判尹公派) ┌------------┘ 22世 점(點)---묵(默)---연(然) 府使公 進士公 퇴우당(退憂堂) ◇參奉 ◇..

우리나라 서원(書院) 현황.

■ 우리나라 서원현황 (총 614개소) □ 우리나라는 옛날에 서원이 없었으나 가정(嘉靖 :가정은 명 세종(明世宗)의 연호, 1522~1566) 연간(1542)에 주세붕(周世鵬)이 풍기군수(豐基郡守)가 되었을 때에 풍기군의 속현인 순흥(順興)은 문성공(文成公) 안유(安裕)의 본관(本貫)이며, 그가 살았던 옛터이므로 거기에다 그의 사우(祠宇)를 창건하여 선비들이 장수(藏修)하는 곳으로 삼았는데, 곧 백운동(白雲洞)이다. 《후청쇄어》 □ 이황(李滉)이 세붕을 이어 군수가 되어, 조정에 건의하여 송(宋) 나라의 고사에 따라 사액(賜額)한 것과 책을 내려줄것, 토지와 노비를 내려줄 것을 청하였더니, 명종 5년에 소수서원(紹修書院)이라 사액하고, 또 신광한(申光漢)에게 명하여 기문(記文)을 짓게 하였다. 서원에 사..

향제(享祭)와 향사(享祀)의 용어에 대하여...

제(祭)라는 것은 천신(天神)에게 지내는 제사이고 사(祀)라는 것은 원래 지신(地神)에게 지내는 제사 입니다. 향을 태우는 것은 제(祭)이며 모사그릇에 술을 붇는 것은 사(祀)입니다. 문중 향사 외의 것을 생각해보면 이미 땅을 밟고 현장에서 제사를 지낼 때는 향만 피우고 모사그릇이 없습니다. 이경우 祀를 안 쓰고 祭를 씁니다. (예) 기우제(祈雨祭), 평토제(平土祭), 사토제(祠土祭), 수륙제(水陸祭) 등~~~ 집 내(內)에서 선조를 모실때는 천신과 지신 모두다 불러야 하기에 제(祭)와 사(祀)를 붙여 제사라고 하며, 줄여서 사(祀)라고도하며 제(祭)라고도 합니다. 두 말은 떨어져서 사용할수 없는 용어이며, 불천위 향제사의 준말이 향사 향제입니다. 그럼으로 향제나 향사나 같은 의미의 말입니다. 그러나 위..

친족간의 호칭과 지칭(親族間 의 互稱과 指稱 )

■ 친족간의 호칭과 지칭(親族間 의 互稱과 指稱 ) 호칭(互稱) : 상대방 면전에서 그를 부를때를 말합니다. 지칭(指稱) : 제3자에게 누구를 가리킬때를 말합니다. (예) 지칭(指稱)으로는아버지의 윗 형제분을 백부(伯父), 중부(中父), 아버지의 아래 형제를 숙부(叔父), 계부(季父)라 하고, 호칭(互稱)에서는큰아버지, 작은아버지로 불러야 합니다. 근친간(近親間)의 호칭(呼稱) 대상주체 자신이 대상자를 부를 때 대상자에게 자신을 말할 때 자신이 타인에게 대상자를 말할 때 타인이 자신에게 대상자를 말할 때 조부 (祖父) 할아버지 할아버님 祖父님(조부님) 小孫(소손) 孫不肖子 (손불초자) 祖父(조부) 王父(왕부) 老祖父(노조부) 祖父丈(조부장) 王大人(왕대인) 조모 (祖母) 할머니 할머님 祖母님(조모님) 小..

오촌공(梧村公) 이빙시(履氷詩).

■ 오촌공(梧村公) 이빙시(履氷詩). 지은이 : 이대건(李大建, 1550-1574) 氷下蒼波幾仞深 行人莫不戰兢臨 빙하창파기인심 행인막불전긍임 若敎平地昆如是 步步無時放 爾心 약교평지곤여시 보보무시방이심 -------------------------------------------------------------------------------------------------------------------------------------- [國譯] 얼음밑에 울부짖는 물소리! 깊이가 몇길이나 되는지? 지나는 사람마다 조심조심 걸어간다. 이 詩는 오촌공 이대건이 23세때 지은글로서 평지(平地)라고, 뚜벅 뚜벅 걷지를 말고, 한걸음 한걸음 얼음위처럼 방심(放心)하지말라. 아무리 조그만 일이라도 가볍게 여기지 말..

서거정 선생 묘(徐居正 先生墓)

↑서거정선생묘(徐居正 先生墓, 1420~1488) ↑서거정 선생 묘표 ↑서거정 신도비 조선 전기의 명신이자 문장가인 서거정(1420~1488)선생의 묘는 원래 서울시 강동구 방이동에 있었는데 도시계획으로 1975년에 이곳으로 이장 되었다. 서거정의 자는 강중(剛中), 호는 사가(四佳)이다. 할아버지는 호조전서 의(義)이고, 아버지는 목사 미성(彌性)이며 어머니는 권근(權近)의 딸이다. 최항(崔恒)은 그의 자형이다. 조수·유방선 등에게 학문을 배웠는데 천문.지리.의약·복서(卜筮).성명(性命).풍수 등 여러 방면에 두루 통달 하였다. 당시 국가의 공문서와 외교문서의 격식이 대부분 그의 손에서 나왔고, 조선시대의 기본법전으로 통치의 원칙이 된 『경국대전』의 편찬에도 참여하였다. 대표적인 저술로는 시문집 『사가..

전주이씨(全州李氏)의 유례.

전주이씨(全州李氏)의 유례. 전주 이씨는 전주(全州)에서 대대로 살아왔다. 시조(始祖)의 휘(諱)는 한(翰)이며 호는 견성(甄城)이시다. 시조께서는 덕망이 높고 문장이 뛰어나 신라 때 사공(司空)벼슬을 지내시고, 태종무열왕의 10세손이며 군윤(軍尹)벼슬을 하신 김은의(金殷義)의 따님과 혼인하시어 대대로 신라에 벼슬 을 하시다가, 6세의 휘자 긍휴(兢休)에 이르러 고려 사공(司空)이 되시었다. 시조의 18세(世)는 목조(穆祖)대왕이시니 휘(諱)는 안사(安社)이시다. 목조께서는 처음 전주의 호족(豪族)으로 살았다. 성격이 호방하고 용기와 지략이 남과 달랐다. 그러나 새로 부임해온 지주사(知州事)의 탐욕과 포악함 을 규탄하니 보복하려 하므로 이를 피하여 강원도 삼척으로 이주하였으나, 그 지주사 가 안렴사(按廉..

이색의 조모님 묘지명

대원 제봉 요양현군 고려 삼한국대부인 이씨 묘지명 유서 (大元 制封 遼陽縣君 高麗三韓國大夫人 李氏 墓誌銘 有序) ◇이색의 조모님 묘지명입니다. 李齊賢 撰 대부인(大夫人)의 성(性)은 이(李)씨이니 흥례부(興禮府=울산의 고려시대 지명)가 본향이다. 증조부의 휘는 순광(淳匡)이니 사재 주부(司宰注簿)이며, 조부의 휘는 우(祐)이며 부친의 휘는 춘년(椿年)이니 모두 벼슬을 하지 않았다. 15세가 지나 한산 이 씨 정읍 감무(韓山李氏井邑監務) 휘 자성(自成)에게 시집가니 두 집이 원래부터 다른 성씨이요, 같은 이 씨(李氏)는 아니다. 3남 1녀를 낳았다. 맏아들은 배(培) 요, 둘째 아들은 일찍 죽었으며, 셋째 아들은 곡(穀)이다. 딸은 장 씨(張氏)에게 출가했는데 부인보다 먼저 죽었다. 정읍 부군(井邑府君)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