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 1744

이훈묘갈명(李薰墓碣銘) - 효령대군의 손자[청호공 외손자]

■ 이훈 묘갈명(李薰墓碣銘) - 효령대군의 손자[청호공의 외손자] [생졸년] 이훈『李薰, 1447년(세종 30) ~ 1462년(세조 8)』/향년 15歲 선조(先祖)의 휘(諱)는 훈(薰)이고, 자(字)는 형지(馨之)이니, 태종대왕(太宗大王)의 증손(曾孫)이며, 효령대군(孝寧大君) 보(補)의 손자이고, 서원군(瑞原君)으로 병조판서(兵曹判書)인 친의 다섯째 아들이다. 어머니는 의령군부인(宜寧郡夫人) 경주이씨(慶州李氏)로 감사(監司) 희(嘻)의 따님이다. 세종 정묘년(1447 세종 30)에 태어나 세조 임오년(1462 세조 8) 9월 2일에 돌아가니, 시흥 금불암리(始興金佛菴里)의 동북방 언덕 서원군(瑞原君) 묘소 밑에 장례하였다. 처음에는 고림정(高林正)을 제수 받았으나, 증손인 직언(直彥)으로 인하여 군(君..

정안대군 허종 묘지명(定安大君 許琮墓誌銘)

■ 정안대군 상혜공 허종 묘지명(題額) (定安大君 尙惠公 許琮 墓誌銘) 이제현(李齊賢) 지음. 삼중대광 정안부원대군(三重大匡 定安府院大君)이고 추증된 시호는 상혜공(尙惠公)이다. 추성양절좌리공신 삼중대광 김해부원군 영예문관 효사관사(推誠亮節佐理功臣 三重大匡 金海府院君 領藝文館 孝思觀事) 죽헌(竹軒) 김정승(金政丞 : 金倫)이 나에게 부탁하며 “작고한 정안부원대군(定安大君)은 우리 외삼촌의 아들[昆弟]로 우애가 매우 깊었는데 불행하게도 복(福)이 다하여, 이제 지정(至正) 5년(1345 : 충목 1) 5월 병신일에 장례를 지내려고 합니다. 그대의 글로 ▨ 돌에 써서 무덤에 넣고자 하니, 그대는 반드시 사양하지 말아주십시오.”라고 말하였다. 그 뜻에 감동되어 명(銘)을 짓는다. 명(銘)은 다음과 같다. 양천..

난초집(蘭樵集) - 이정두(李正斗)

■ 이정두(李正斗) [생졸년] : 1824년(순조 24) 8월 28일∼1865년(고종 2) 3월 29일. /향년 41세 ----------------------------------------------------------------------------------------------------------------------------------- 조선 후기 유학자. 자(字)는 경칠(景七), 호(號)는 난초(蘭樵)이다. 본관은 합천(陜川)으로, 경남 합천군 율곡면 임북리(慶南 陜川郡 栗谷面 林北里)에서 태어났다. 증조부는 이수증(李壽增)이고, 조부는 이한규(李漢奎), 아버지는 국포(菊圃) 이진항(李鎭恒)이며, 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이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고 학문에 남보다 뛰어남이 있었다..

노비의 과거 급제 그리고 몰락의 기록

■ 노비의 과거 급제 그리고 몰락의 기록 ●엄택주(嚴宅周) [문과] 영조(英祖) 1년 (1725) 을사(乙巳)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7위/합격연령 37歲 [생원진사시] 숙종(肅宗) 45년 (1719) 기해(己亥) 증광시(增廣試) 생원(生員) 3등(三等) 59위/합격연령 31歲 ------------------------------------------------------------------------------------------------------------------------------ 엄택주(嚴宅周)의 일은 인간 윤리의 문제이다. 왕이 나라를 다스리는 도리로 윤리를 제일로 삼는데, 사람이 사람 노릇하는 것은 삼강오륜(三綱五倫)의 윤리가 있기 때문이다. 이는 죽여도 아까울 것이 없다고..

영호사(靈湖祠)

영호사(靈湖祠) 1545년 창건. 1785년 중건. 1916년에 재건된 망호정(望湖亭)은 여말(麗末)의 대유(大儒) 익재(益齋) 이제현(李濟賢 : 1282∼1367)을 제향하는 영호사[靈湖祠 :1916년 영당(影堂)으로 건립]의 강당 겸 제실로 이용되고 있다. 망호정(望湖亭) 마을은 경주이씨의 동족마을로 동각(洞閣)으로도 이용되고 있으며 족보(族譜 :숙종 甲子譜)와 많은 문계, 동계(洞契)문서들을 보관하고 있다. 망호정은 사우(祠宇)의 삼문(三門)밖에 있으며 정면 5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소재지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망호리 624번지 ↑영화문 ↑망호정(望湖亭)의 노송(老松) ↑망호정뒤 영호사에 들어서는 삼문 ↑영호사의 삼문 ↑영호사 ↑영호사 영당 내부 17世 익재공(益齋公)을 주벽(主..

역대 성균관 대사성 역임자 - 조선시대

■ 역대 성균관 대사성 역임자 (歷代成均館大司成歷任者) ◇집필자 : 이재훈(2010. 08. 20) ◇Update : 2021. 01. 09(토) ◇성균관 대사성 : 총950명 ◇성균관 관장(대한제국)/총10명 ◇경주이씨 대사성 배출 수 : 13명 /성균관장 1명 1.태조 이성계 太祖 (李成桂)/7명 유 창(劉 敞) 김약항(金榑恒) 정 탁(鄭 擢) 함부림(咸傅霖) 변중량(卞仲良) 박 신(朴 信) 유 관(柳 寬) 2.정종 이방과 定宗(李芳果)/1명 조 용(趙 庸) 3.태종 이방원 太宗(李芳遠)/7명 장덕량(張德良) 권 근(權 近) 정이오(鄭以吾) 유백순(柳伯淳) 최 함(崔 咸) 권 우(權 遇) 윤회종(尹會宗) 4.세종 이도 世宗(李祹)/13명 강석덕(姜碩德) 황 현(黃 鉉) 박서생(朴瑞生) 이맹균(李孟畇)..

진주 촉석성문기(矗石城門記)

■ 촉석성문기(矗石城門記) 진산 하륜(晋山 河崙) 찬(撰) [생졸년] 1347년(충목왕 3)∼1416년(태종 16) 옛날부터 다스려짐과 어지러움이 되풀이되는 것은, 대개 그 하늘 운세의 성함과 쇠퇴함의 이치와 사람 사는 일의 성공과 실패가 서로 인연이 되어 그러한 것이다. 옛사람은 인간으로서의 할 일을 닦음으로써 하늘의 운수에 응하였기 때문에, 도둑떼에 의한 난리가 혹시 일어나더라도 끝내는 능히 우려함이 되지 않게 하였다. 나는 우리 고향의 성(城)에서 그런 느낌을 가졌던 것이다. 내가 옛적 총각이던 시절에 여기서 유학하며 늘상, 성 둘레 구덩이의 남겨진 빈터를 보았으되 그 오래됨을 알지 못했고 나이 많은 어른에게 여쭈어 봐도 또한 능히 알 수가 없었다. 이 무렵엔 백성들의 살림집들이 오손 도손 즐겁게 ..

반구정기(伴鷗亭記)

■ 반구정기(伴鷗亭記) (반구정은 임진강 아래에 있다). 미수 허목 찬(眉叟 許穆 撰) [생졸년] 1595년(선조 28)∼1682년(숙종 8). 반구정(伴鷗亭)은, 먼 옛날 태평 재상 황 익성공(黃翼成公) 황희(黃喜))의 정자이다. 상국이 죽은 지 2백 년이 채 못 되어 정자가 헐렸고, 그 터전이 쟁기 밑에 버려진 땅이 된 지도 1백 년이 된다. 이제 상국의 후손 황생(黃生)이 강 언덕에 집을 짓고 살면서 옛 이름 그대로 반구정(伴鷗亭)이라 하였다. 이는 정자의 이름을 없애지 않으려 함이니 역시 훌륭한 일이다. 상국의 사업이나 공렬은 어리석은 사람도 다 왼다. 상국은 조정에 나아가 벼슬할 적에는 임금을 잘 보좌하여 정치 체제를 확립하고 모든 관료를 바로잡았으며, 훌륭하고 유능한 자를 직에 있게 하여 온 ..

고서문집(古書文集)

■ 고서문집(古書文集) 용재 성현 저[慵齊 成俔 著(1439(세종 21~1504(태종 5)] ●우리 나라는 문장가가 매우 적고 저서는 더욱 적다. ◇신라 시대의 최치원(崔致遠)이 《계원필경(桂苑筆耕)》몇 권을 저술하였는데, 모두 사륙변려문(四六騈儷文) 이요. ◇시중 최자(崔滋)가 동인문(東人文) 몇 십 권을 편찬하고, ◇예산(猊山) 최해(崔瀣)가 《삼한구감(三韓龜監)》한 질(帙)을 편찬하고, ◇시중(侍中) 김태현(金台鉉)이 《동국문감(東國文鑑)》 몇 십 권을 편찬하고, ◇서달성(徐達城)이 왕명을 받들어 《동문선(東文選)》몇 십 권을 편찬한 것인데, 모두 전현(前賢)의 시문(詩文) 을 모은 것이다. ◇문순공(文順公) 이규보(李奎報)가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전후집 몇 십 권을 저술하고, ◇원외랑(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