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 1744

묘비의 비석에 부부를 쓰느 위치?

■ 묘비의 비석에 부부를 쓰느 위치? [질문] 김생원 묘비의 비석에 부부를 쓰는 위치와 신주나 지방에 쓰는 부부의 위치가 같은 것인가? 다른 것인가? ------------------------------------------------------------------------------------------------------------------------------------------- [답변] 이재훈 옛날이나 지금이나 신주(神主)나 지방(紙榜)에 부부를 쓰는 경우에는 남편이 향해서 좌(左)인 서(西)쪽이고, 부인이 향해서 우(右)인 동(東)쪽에 씁니다. 이것은 죽은 사람은 서(西)쪽을 상(上)으로 하고, 남자가 상으로 보기 때문에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그러나 묘지의 비석에 부부 위치를 쓰..

부고 작성시의 사(嗣)자 쓰는법에 대하여...

■ 부고 작성시 사(嗣)자 쓰는법에 대하여... [질문] 김 0 0 부고(訃告)를 작성할때「사(嗣)」字를 쓰는 법에 대하여 알고싶습니다. ------------------------------------------------------------------------------------------------------------------------------------------- 금 번 고인이 된 큰아들(長子)이 아버지 보다 먼저 죽어서 장자의 큰 아들인 장손(長孫)이 주상(主喪)입니다. 따라서 부고(訃告)에 주상(主喪)인 장손((長孫)을 승중사손(承重嗣孫)이라 썼습니다. 그런데 죽은 이의 차자(次子)인 주상(主喪)의 숙부(叔父)가 있을 경우 그에게도「사(嗣)」字를 쓸수 있습니까? ---------..

[펌글]제례참고글

海東雜錄 本朝[一] ■趙浚 [原文] 平壤人。字子明。號松堂。版圖判書德裕之子。恭愍王末年。出按江原道。行到旌善郡。有滌蕩東溟知有日。居民拭眼待澄淸之句。識者知其有大志。佐我太祖爲開國功臣。官至領議政。謚文忠。○麗末權勢之家。競爲互市徵斂。民甚苦之。扶老携幼。渡江而西。願自今抑買者。一切禁止。痛繩以法。具抑買之貨。在民間未盡收者。宜令刷括以充官用。 時務書 舊制。下王牌于諸倉庫宮司。必印以行信寶。今內豎獨署其名。非所以防奸也。自今凡內用。令都評議使供之。毋下王牌。○請令士大夫庶人。當忌日必祭。不許騎馬出行。對賓客。如居喪禮。○自事元以來。昇平日久。文恬武嬉。宿衛無人。至設護軍等官以代禁衛之任。而祖宗入衛之制。皆爲虛設。○國法。州郡每歲計口籍民。故朝廷之徵兵調役。如指諸掌。近來此法一毀。守令不知其州之戶口。徵調之際。鄕吏欺蔽。富壯免而貧弱行。貧弱之戶不堪其苦而逃矣。貧弱逃則富壯之戶代受..

제례의 의미

■ 제례(祭禮)의 의미(意味) 고례(古例)에 의하면 제왕(帝王)은 하늘을 제사(祭祀) 지내고, 제후(諸侯)는 산천을 제사 지내며, 사대부(士大夫)는 조상을 제사 지낸다고 했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말하는 제례(祭禮)는 조상에게 지내는 제사 의식(意識)을 말한다. 사람은 누구나 이 세상에 자기를 존재하게 한 근본에 대하여 보답해야 할 것이다/근본 지예(根本之禮) 이것이 효(孝)이다. 그러므로 효(孝)란? 부모(父母)와 조상(祖上)을 공경과 정성으로 극진히 섬기는 일을 말한다. 따라서 조선조(朝鮮朝)의 양반(兩班)들은 제사(祭祀)를 잘 모시고 손님을 잘 접대(接待)하는 봉제사(奉祭祀) 접빈객(接賓客) 일을 솔선수범 했다. 그리고 이들은 고조(高祖) 이하의 조상이 돌아가신 날 지내는 기제사와 철철 히 현조(玄祖..

정여창선생신도비명병서(鄭汝昌先生神道碑銘幷序)

문헌공 일두 정선생 신도비명 병서 文獻公 一蠹 鄭先生 神道碑銘 幷序 동계(東谿) 조구명(趙龜命 : 1693~1737) 찬 우리 동방(東方)은 은(殷)나라 태사(太師)가 교화를 베푼 뒤로 이적(夷狄)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이 성대하게 일었으나 아득한 수천 년 동안 참다운 선비가 드물었다. 고려 말기에는 정 문충공(鄭文忠公 정몽주(鄭夢周)) 한 사람뿐이었고, 우리 국조(國朝)에는 소문이 나서 알려진 분이 다섯 선생인데 선생이 그중의 한 분이다. 선생의 휘(諱)는 여창(汝昌), 자(字)는 백욱(伯勗)이며, 선대의 관향(貫鄕)은 하동(河東)인데, 뒤에 함양군(咸陽郡)으로 옮겨 가서 살았다. 휘 지의(之義)는 종부시 판사(宗簿寺判事)이고, 휘 복주(復周)는 전농시 판사(典農寺判事)이며, 휘 육을(六乙)은 한성부 좌..

김훤(金晅) 묘지명 - 자찬 묘지명

■ 도첨의 찬성사 김공 훤 묘지명 (都僉議 贊成事 金公 晅 墓誌銘) 대덕(大德) 9년 을사년(충렬 31, 1305) 2월 30일에 도첨의찬성사(都簽議贊成事) 김훤(金晅)이 스스로 지은 묘지명 광정대부 정당문학 보문각대학사 동수국사(匡靖大夫 政堂文學 寶文閣大學士 同修國史)로 벼슬을 물러나 은퇴한 김훤이 스스로 지음 김훤(金晅)의 자는 용회(用晦)이고, 의성현(義城縣) 사람이다. 아버지의 이름은 굉(閎)인데 비서랑(秘書郞)이고, 어머니는 토산군부인(兔山郡夫人) 몽씨(蒙氏)로 검교대장군(檢校大將軍) 양정(養正)의 딸이다. 훤은 갑오년(고종 21, 1234) 6월 30일에 태어나 20세에 벼슬길[士板]에 오르고, 무오년(고종 45, 1258)에 예부원외랑(禮部員外郞) 이방균(李方均)공의 딸에게 장가들었다. 그 ..

한훤당 김굉필 묘(寒暄堂金宏弼墓)

■한훤당 김굉필 묘(寒暄堂金宏弼墓) ↑한훤당 김굉필선생 묘(寒暄堂金宏弼先生墓) / 소재지: 경상북도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산1번지 ↑寒暄堂 配位 贈 淑夫人 順天朴氏 墓(한훤당 배위 증 숙부인 순천박씨 묘) ↑한훤당 신도비각(寒暄堂 神道碑閣) / 소재지 : 도동서원 내. ↑한훤당 신도비 ↑근대 국역으로 새로히 건립한 한훤당 신도비(도동서원 내) /사진출처ㅣ 개미실사랑방 ↑다람재에서 보는 도동서원(道東書院)

순상국(巡相國)과 통상국(統相國)의 용어?

■ 순상국(巡相國)의 용어? [답변] : 이민희 원래의뜻은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등이 지방을 순찰할 때 쓰는 용어이나 보통의 경우 병마절도사나 수군절도사에게 탄원서나 소지, 고소, 고발장을 쓰거나 불망비등 비석 유를 세우거나할 때 쓰는 아부용[치켜세움]용어입니다. ◇비슷한 용례로 지방현령이나 군수에게는 성주(城主)라는 이칭을 썼습니다. ------------------------------------------------------------------------------------------------------------------------------------------- ■ 통상국(統相國)의 용어는? [답변] : 이민희 통상국은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의 이칭입니다.

보첩 수정에 관하여....

■ 보첩 수정에 관하여..... [질의자] : 이기범 ----------------------------------------------------------------------------- 간단한 질문 드리겠습니다. 보첩 수정이 가능한지요? 그리고 수정이 가능하다면 어떤 절차를 거쳐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본인의 의사나 통보 없이 수정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 [답변] : 이민희 中河 한번 발행된 보첩은 절대 수정이 불가 합니다 잘못기제 되어 꼭 수정을 해야 할 사유가 발생할 시에는 다음번 보첩발행 시 수정이유[변정문]을 기제 하여 수정 합니다 그러나 그 기록은 없어..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의 증 조부모 묘소.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의 증 조부모 묘소. 풍산유씨 문중의 서애 유성룡 대감 직계 후손인 유시민 보건복지부 장관의 증조부모 묘소이다. 유 장관은 풍산유씨 26세손으로 문충공 서애 유성룡선생의 후손이다. 그는 1959년 경북 경주에서 출생 하였다. ↑내외분이 위 아래로 모셔저 있다. ↑조부이신 통덕랑 유하식(柳河植)공 께서 종숙에게로 양자를 가셨기 때문에 현재의 이분은 생가 증조부가 된 다. ↑증조모 광주노씨 ↑묘역의 지세를 살펴보면, 유 장관의 증조부모 묘소가 향하고 있는 방향과, 사진에서 가까이 있는 다른 분의 묘소 방향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로가 다른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는 것은, 산세가 그와 같은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증조부모 묘소는 산세가 감싸지 못하여 혈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