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 1744

회재 이언적 묘지명(晦齋李彦迪墓誌銘) - 여주이씨

■ 회재선생 묘지명(晦齋先生墓誌銘) 백사 이항복 찬(白沙 李恒福 撰) 아! 오래되었도다. 옛날 숙황제(肅皇帝) 24년인 을사년에 하늘이 우리나라에 혹독하게 재앙을 내리어 인묘(仁廟)가 승하하자 명묘(明廟)는 상중(喪中)에 있었고 모후(母后)가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하니, 인정(人情)이 흉흉하였다. 이 때 이기(李芑)라는 신하가 있어 신인(神人)을 속이고 임금의 밝음을 뒤바꾸어, 이에 두세 원흉(元兇)과 함께 임금은 어린 사람이라서 옛날의 일을 미처 알지 못할 것이라 하고, 대궐을 들어가서 상변(上變)을 하였다. 그래서 이 날 양전(兩殿 문정왕후와 명종을 가리킴)이 충순당(忠順堂)에 함께 나왔는데, 이기 등이 장차 윤임(尹任)ㆍ유관(柳灌)ㆍ유인숙(柳仁淑) 등을 대역(大逆)으로 무고하려고 하자, 조정에 있는..

회재 이언적 신도비명 병서(李彦迪 神道碑銘 幷序) - 驪州李氏

■ 증 영의정 문원공 이공 신도비명 병서 (贈 領議政 文元公 李公 神道碑銘 幷序) 고봉 기대승 찬(高峯 奇大升 撰) 1527년(中宗 22)∼1572년(선조 5) 명종 20년(1565)에 권간(權奸)들을 축출하고 정사를 크게 변경하였다. 그리하여 나이 많은 노성(老成)한 분과 준걸(俊傑)들을 맞이하여 등용하고, 당시에 죄를 입고 과오를 범한 자들을 너그러이 용서하여 을사년(乙巳年 을사사화(乙巳士禍)) 이후로 귀양 가거나 쫓겨난 자들이 혹은 서용(敍用)되고 혹은 전직되었으며, 이미 죽은 자들에게는 관직을 복구하도록 명하였다. 고(故) 의정부 좌찬성 회재(晦齋) 이공은 강직한 도를 행하다가 배척을 입고 별세한 지가 13년이 되었는데, 이때 비로소 복관(復官)의 대열에 참여되었다. 세도(世道)는 태평성대를 만나..

열읍원우사적(列邑院宇事蹟)

■ 열읍원우 사적(列邑院宇事蹟) 1759년(영조 35)과 1763년경에 中央의 지시에 따라 전국 각 읍에서 읍에 있는 書院·祠宇·影堂의 事蹟을 조사· 정리하여 보고한 것을 中央에서 各道別로 合編한 책이다. 간혹 正祖年間 이후의 것도 있다. 10책중 제1-3책은 全羅道‚ 제4책은 黃海道‚ 제5-7책은 慶尙道‚ 제8-10책은 忠淸道의 것인데 책의 크기‚ 내용의 量이나 詳略이 각각 다르다. 내용은 대체로 書院·祠宇의 賜額與否와 간략한 沿革을 앞에 적고 이어 主享·配享人의 行蹟‚ 관계전물의 上樑記·重修記‚ 건립·賜額 등과 관련된 上疏등의 文字들을 정리·수록한 것이나 各邑에서 각각 작성된 것이고 대상 院宇가 다양하였으므로 내용의 양식이나 분량에서 차이가 많다. 각 책별로 수록된 院宇를 살피면 다음과 같다. 각 책..

우리나라 서원(書院)

■ 우리나라 서원현황(총 614개소) □ 우리나라는 옛날에 서원이 없었으나 가정(嘉靖 :가정은 명 세종(明世宗)의 연호, 1522~1566) 연간(1542)에 주세붕(周世鵬)이 풍기군수(豐基郡守)가 되었을 때에 풍기군의 속현인 순흥(順興)은 문성공(文成公) 안유(安裕)의 본관(本貫)이며, 그가 살았던 옛터이므로 거기에다 그의 사우(祠宇)를 창건하여 선비들이 장수(藏修)하는 곳으로 삼았는데, 곧 백운동(白雲洞)이다. 《후청쇄어》 □ 이황(李滉)이 세붕을 이어 군수가 되어, 조정에 건의하여 송(宋) 나라의 고사에 따라 사액(賜額)한 것과 책을 내려줄것, 토지와 노비를 내려줄 것을 청하였더니, 명종 5년에 소수서원(紹修書院)이라 사액하고, 또 신광한(申光漢)에게 명하여 기문(記文)을 짓게 하였다.서원에 사액하..

의심을 푸는 방법에 대하여

■ 의심을 푸는 방법에 대하여 글 : 이곡(李穀, 1298 ~ 1351) 어떤 사람이 아무 근거도 없이 자기를 의심한다면 반드시 진실을 밝혀야 할 것이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굳이 그렇게 할 필요가 없는 때도 있다. 왜냐하면 변명에 급급하다 보면 그 의심이 더욱 심해질 것이 뻔한 데에 반해서, 가만히 놔두면 뒤에 가서 저절로 의혹이 해소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어떤 여종이 주인 여자를 대신해서 아이에게 젖을 먹이다가 얼마 뒤에 임신을 했는데 분만을 하고 나서 그 사실이 발각되었다. 주인 여자가 노하여 매질을 하려고 하며 심문하기를 “무릇 젖을 먹일 때에는 남자와의 관계를 완전히 끊어야 하는 법이다. 그 이유는 몸에 아이를 갖게 되면 젖을 먹이는 아이에게 해가 되기 때문이니, 이것이 너의 첫 번째 죄이다..

한강 정구 선생 묘지명(寒岡 鄭逑先生 墓誌銘)

記言卷之三十九 / 東序記言[二] 한강 정구선생 묘지명(寒岡鄭逑先生墓誌銘) [생졸년] 1543(중종 38)∼1620(광해군 12). 허목(許穆) 찬(撰) 선생의 휘는 구(逑), 자는 도가(道可)이며, 성은 정씨(鄭氏)이다. 정씨의 선계(先系)는 청주(淸州)에서 나왔는데 고려 때의 상장군(上將軍) 의(顗)가 사실 시조이다. 상장군 뒤로 감찰 어사(監察御史) 현(儇), 첨의찬성(僉議贊成) 해(瑎), 청하군(淸河君) 책(㥽),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 포(誧), 청원군(淸原君) 추(樞), 정당문학(政堂文學) 총(摠), 상호군(上護軍) 효충(孝忠),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옥경(沃卿) 등 9대가 세상에 드러나 대족(大族)으로 불리었다. 집의가 철산 군수(鐵山郡守) 윤증(胤曾)을 낳고, 군수가 사헌부 감찰(司憲府監..

옛 관직명에 참(叅)자와 參자에 대하여

[질문] 옛 족보의 관직명에 나오는 참(叅)자가 컴퓨터에서 한자전환을 하면 참(參)자로 나오는데, 어느 글자가 맞는지요. (예) 1. 정2품 : 좌참찬(左叅贊), 우참찬(右叅贊)→우참찬(右參贊). 좌참찬(左參贊) 2. 從二品官 : 참판(叅判)→참판(參判) 3. 正三品官 : 참의(叅議)→참의(參議) 4. 從三品官 : 참교(叅校)→참교(參校) 5. 正七品官 : 참군(叅軍)→참군(參軍) 6. 從九品官 : 참봉(叅奉)→참봉(參奉) [답변] : 야촌 이재훈 참여할 참(參)은 叅(썪일 참의 속자입니다. 속자(俗字)란 세간에 두루 쓰이는 문자로, 정식의 글자가 아닌 약자 표기 글자로 정자가 맞고 속자는 틀리다고 생각해선 안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삼국사기에도 많은 속자가 쓰였다고 합니다. 따라서 음을 참으로 읽을 경..

굴러 들어온 복을 차다.

■ 굴러 들어온 복을 차다. 누르하치(奴兒哈赤)의 맏아들은 귀영개(貴永介)이다. 명나라 장수 유정(劉綎)을 이기고 우리나라의 무신 강홍립(姜弘立)을 항복시킨 것이 모두 그의 힘이었다. 둘째 아들 퉁개불(佟介佛)은 정묘호란 때 우리나라를 침략한 자이다. 아홉째 아들 다이곤(多爾袞)은 이른바 섭정왕(攝政王)으로, 병자호란 때 강도(江都)를 함락한 자이다. 다섯째 아들 홍태시(洪太時)는 바로 숭덕제(崇德帝)이다. 「퉁개불은 화석예친왕(和碩禮親王) 대선(代善)이다. 홍태시는 누르하치의 여덟째 아들이지 다섯째가 아니다.」 누르하치가 죽자 장자(長子) 귀영개가 즉위하여야 했으나 귀영개는 홍태시의 호방함을 두려워하였기 때문에 그에게 자리를 양보하였고, 홍태시는 사양하지 않고 즉위하였다. 귀영개는 왕위를 잃고 나서 뜻..

조선의 가문별 급제자 수

문중명 인원수 문중명 인원수 안동김씨 좌의정 김상헌 조부 김생해 136 광주이씨 공조판서 이하원 선조 영의정 이준경 31 반남박씨 좌의정 박세체 고조 문간공 박소 127 경주이씨 영의정 이광좌 고조 영의정 이항복 31 대구서씨 영의정 서종태 고조 형조판서 서성 105 임천조씨 의정대신 조병호 선조 조응공 30 남양홍씨 영의정 홍서봉조부 관찰사 홍춘경 97 진주강씨 우의정 강사상 부친 강온 28 풍산홍씨 영의정 홍봉한 선조 홍수 89 진주강씨 정민공 강흡 증조 강억 28 해평윤씨 영의정 윤두수 부친 윤변 86 강릉김씨 영의정 김상철 선조 예조판서 김첨경 28 여흥민씨 좌의정 민정중 고조 민사용 83 연일정씨 영의정 정호 고조 좌의정 정철 28 청송심씨 영의정 심열 조부 명종국구 심열 73 동복오씨 우의정 ..

송시도 묘지명 병서(宋時燾 墓誌銘 幷序)

■ 종5대조 세한재부군 묘지명 병서 (從五代祖 歲寒齋府君墓誌銘 幷序) ◇우암 송시열의 동생임 배위 숙인이씨는 경주이씨 청호공 후→24世 눌헌 이사균(李思均) 현손녀(玄孫女)임. 성담 송환기 찬(性潭 宋煥箕 撰), (찬인은 송시열(宋時烈)의 5대손임. 惟我先祖尤菴文正公有弟監正公。德望甚偉。爲一時名勝所推重。歿後權文純公嘗語人曰。正丈當時穪小尤菴。三山士風之不變。莫非其功。可無俎豆之禮乎。噫。夫以文純公之贒而誦慕公如此。豈不盛矣哉。公諱時燾字誠甫。系出恩津。高麗判院事諱大原爲鼻祖。歷二世有諱明誼官司憲府執端。以淸裁直節。與鄭圃隱諸賢相推重。入我朝有諱愉。隱德不仕。號雙淸堂。寔公八世祖也。高祖諱世良。始仕爲齋郞。棄歸以遺逸終。贈戶曹參判。曾祖諱龜壽。宗廟署奉事。贈吏曹判書。號西阜。性至孝居喪致哀。有白燕巢廬之異。祖諱應期。儀賓府都事。贈議政府左贊成。操履純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