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문집.고서.문헌 154

부통색문답(附通塞問答) - 李鎭宅.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버 ■부통색문답(附通塞問答) [저자(著者)] 李鎭宅(1738(영조 14)∼1805(순조 5) / 경주이씨 32世 [문과] 정조(正祖) 4년 (1780) 경자(庚子)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21위 -------------------------------------------------------------------------------------------------------------------------------------- 問庶孽之枳塞已三百年餘矣一朝通之不亦難乎曰凡當事者當論其事之是非母問其事之難易事雖爲弊於一 時旣覺之後亦當矯之况爲三百年之弊則益當救正之不暇其欲正之係於在上者一擧措而已有. -----------------------------------------------..

병자사략(丙子事略)

왕실도서관장서각디지털아카이버 ■병자사략(丙子事略) [저자(著者)] 李鎭宅(1738(영조 14) ∼1805(순조 5). [문과] 정조(正祖) 4년 (1780) 경자(庚子)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21위 萬曆己未經理楊鎬分四路兵擊兒奴哈志敗績 瀋 崇顔 竇永澄等死之都督劉綎率我國之衆擊之綎及孫一琦劉松等皆死我國將金應河力戰亦死元帥姜弘立與金景瑞降虜而反[주:景瑞後爲日記送本國爲弘立告發被害] 甲子李适之亂其黨韓明璉誅其子沇逃入虜穴以爲我國盡殺弘立一門誑誘弘立至於丁卯弘立誘賊入寇夜襲義州府尹李莞判官崔夢亮被殺又陷安州兵使南以興牧使金準自焚死上避江都世子分朝全州送弘立三寸姜絪及其妾子於陣前 弘 立 知其宗黨之俱存始生悔意虜亦爲弘立所誘而來春夏之間潦水大漲進退維谷出送弘立及其所妾胡奴之女講和而歸主和者參判崔鳴吉斥和者大諫尹煌也己巳上國以熊廷弼代鎬鎬庾死獄中是年兒奴哈..

규사현인록(葵史賢人錄)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버 ■ 규사현인록(葵史賢人錄) [저자(著者)] : 李鎭宅(1738(영조 14)∼1805(순조 5). [문과] 정조(正祖) 4년 (1780) 경자(庚子)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21위 -------------------------------------------------------------------------------------------------------------------------------------- ● 高麗 ○鄭文培『주: 偉庶子官禮部尙書』 ○李世璜『주: 仁老庶子官大司憲入我朝爲都評議使』 ● 我朝[朝鮮] ○魚無迹『주: 字潛夫號浪仙』 ○柳藕『주: 字養淸號西峯▣寒暄堂門人成東洲撰碣文曰惟以訓誨後生爲務培植人才功實多焉矢文卜筮音 律書盡亦各『주: 各下落]其妙其子泛愛..

伽倻山海印寺重建上樑文.

완당집 제7권 >상량문(上樑文) ■ 가야산 해인사 중건상량문 (伽倻山海印寺重建上樑文) 지은이 : 완당(阮堂)· 김정희(金正喜) 1786(정조 10) 충남 예산~1856(철종 7). 그윽이 헤아리건대 대운(大雲)이 널리 덮임에 화택(火宅)이 서늘한 데로 돌아오고 법월(法月)이 겹바퀴가 되매 보찰(寶刹)은 상서가 솟았도다. 삼독(三毒)을 없애고 삼계(三界)를 뛰어나니 다시 환희의 하늘을 보고 십덕(十德)을 나타내고 십문(十門)을 증명하니 길이 견뢰의 땅에 정했구려. 붉은 불똥은 양구(陽九)의 액을 그치고 금속(金粟)은 대천(大千)의 빛을 더하도다. 대개 들으니 하나의 대사(大事)의 인연이 묘용(妙用)을 허공(虛空)에 나타내는 것은 법해(法海)의 서로 이음이요, 만 가지 행실의 공덕이 진체(眞諦)를 진찰(塵刹..

초려(草廬)에게 올리다. - 명재 윤증(明齋 尹拯)

옮긴일 : 2010. 09. 10 명재유고 제9권>서 명재 윤증(明齋 尹拯) 생몰년 : 1629(인조 7)~1714(숙종 40) ■ 초려(草廬)에게 올리다. - 명재 윤증(明齋 尹拯) 화창하고 따뜻한 봄에 삼가 조용히 수양하고 조섭하며 늘 백복(百福)을 누리시는 것을 생각하니 구구한 정성으로 우러르는 마음 그지없이 위안이 됩니다. 저는 질병을 앓는 중에 조심하지 못하여 거의 죽을 지경에 이르렀다가 삼가 여러 선생님들께서 염려하고 돌봐 주신 덕택으로 소생하였습니다. 그러나 정신이 사라진 듯하고 저승길이 어른거려 이제부터 다시는 온전한 사람 노릇을 할 수 없게 되었으니 스스로 가엾어 한들 어쩌겠습니까. 이렇게 병으로 신음하는 가운데 보내 주신 서신을 받고 펴서 읽으니 가슴이 활짝 열려 잠시나마 흔쾌한 마음을..

난초집(蘭樵集) - 이정두(李正斗)

■ 이정두(李正斗) [생졸년] : 1824년(순조 24) 8월 28일∼1865년(고종 2) 3월 29일. /향년 41세 ----------------------------------------------------------------------------------------------------------------------------------- 조선 후기 유학자. 자(字)는 경칠(景七), 호(號)는 난초(蘭樵)이다. 본관은 합천(陜川)으로, 경남 합천군 율곡면 임북리(慶南 陜川郡 栗谷面 林北里)에서 태어났다. 증조부는 이수증(李壽增)이고, 조부는 이한규(李漢奎), 아버지는 국포(菊圃) 이진항(李鎭恒)이며, 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이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고 학문에 남보다 뛰어남이 있었다..

고서문집(古書文集)

■ 고서문집(古書文集) 용재 성현 저[慵齊 成俔 著(1439(세종 21~1504(태종 5)] ●우리 나라는 문장가가 매우 적고 저서는 더욱 적다. ◇신라 시대의 최치원(崔致遠)이 《계원필경(桂苑筆耕)》몇 권을 저술하였는데, 모두 사륙변려문(四六騈儷文) 이요. ◇시중 최자(崔滋)가 동인문(東人文) 몇 십 권을 편찬하고, ◇예산(猊山) 최해(崔瀣)가 《삼한구감(三韓龜監)》한 질(帙)을 편찬하고, ◇시중(侍中) 김태현(金台鉉)이 《동국문감(東國文鑑)》 몇 십 권을 편찬하고, ◇서달성(徐達城)이 왕명을 받들어 《동문선(東文選)》몇 십 권을 편찬한 것인데, 모두 전현(前賢)의 시문(詩文) 을 모은 것이다. ◇문순공(文順公) 이규보(李奎報)가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전후집 몇 십 권을 저술하고, ◇원외랑(員..

김해 옛지명(金海舊地名)

■ 김해도호부(金海都護府) 용재 성현 저[慵齊 成俔 著 (1439(세종 21~1504(태종 5)] 동쪽으로 양산군(梁山郡) 경계까지 42리이고 남쪽으로 웅천현(熊川縣) 경계까지 40리이며, 서쪽으로 창원부(昌原府) 경계까지 44리이고 북쪽으로 밀양부(密陽府) 경계까지 44리인데, 서울과의 거리는 8백 84리이다. [건치연혁] 가락국(駕洛國)이다. 혹 가야(伽倻)라 하기도 하였는데 뒤에 금관국(金官國)이라 고쳤다. 시조(始祖) 김수로왕(金首露王)으로부터 구해왕(仇亥王)까지 무릇 10대, 4백 91년을 왕국으로 내려왔다. 구해왕이 신라에게 항복하니 법흥왕(法興王)이 객으로 예대(禮待)하고 그 나라를 읍으로 만들어서 금관군(金官郡)이라 불렀다. 문무왕(文武王)이 금관소경(金官小京)을 설치하였고 경덕왕(景德王)..

쇄미록(鎖尾錄) - 吳希文 著

■ 임진왜란의 생생한 증언 기록,「쇄미록(鎖尾錄)」 「쇄미록」은 조선중기의 학자 오희문[吳希文 : 1539(중종 34)~1613(광해군 5)]이 쓴 일기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인 1591년(선조 24) 11월부터 시작하여 1601년(선조 34) 2월까지 9년 3개월간의 내용을 담고 있다. 제목을 「쇄미록」이라 한 것은 『시경(詩經)』의 ‘쇄혜미혜(瑣兮尾兮) 유리지자(遊離之子)’에서 나온 것으로, 유리기(遊離記) 또는 피난의 기록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쇄미록』은 장기간에 걸쳐 쓴 전란의 기록물이며, 생활사 연구에 단서가 되는 다양한 내용들이 기록되어 있다. 「쇄미록」의 전반부는 임진왜란의 발발과 여러 지역을 전전하는 힘겨운 피난 행적이 중심을 이룬다. 일기를 보자. ☞16일 : 전하는 말에 왜선(..

신편고금사문유취유집(新編古今事文類聚遺集)

↑重刻序: 丙午臘月望日...祝穆謹識刊記: 萬曆甲辰(1604)孟春之吉金谿唐富春精校補遺重刻 l 30.5 x 18.5cm 송대의 축목(祝穆)과 원대의 부대용(富大用)·축연(祝淵)이 편찬했다. 축목은 전집(前集) 60권, 후집(後集) 50권, 속집(續集) 28권, 별집(別集) 32권을 편찬해서, 1246년에 완성했다. 이 책은 당대 구양순(歐陽詢)의 〈예문유취 藝文類聚〉를 모방하여, 여러 책에 나오는 중요한 부분과 고금의 사실(事實)·시문(詩文)을 수집하여 부문별로 분류하여 편찬한 것이다. 즉 전집은 천도(天道)·천시(天時)·지리(地理)·제계(帝系)·인도(人道)·사진(仕進)·선불(仙佛)·민업(民業)·기예(技藝)·악생(樂生)·영질(嬰疾)·신귀(神鬼)·상사(喪事) 등 13부문, 후집은 인륜(人倫)·창기(娼妓)·노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