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촌 이재훈 435

이씨의 관향별 인구수(李氏의 貫鄕別 人口數) - 2000년

이씨의 관향별 인구수(李氏의 貫鄕別 人口數) - 2000년 통계청 인구조사 자료. [통계표 주석] 1) 가구, 인구 : 외국인 가구 및 인구는 제외하였으며, 가구수는 가구주의 성씨·본관을 기준으로 집계하였음. 2) 성씨·본관의 "기타"는 조사표상의 기입내용이 불명확한 경우이고,"미상"은 조사표상에 기재되지 않은 것임. 3) 梁, 呂, 廉, 柳, 李씨 등은 한글 맞춤법에 따라 양, 여, 염, 유, 이씨로 분류 집계하였음. 이씨(李氏) 가구수 인원수 남자 여자 No 관향(貫鄕) 2,113,007 6,794,637명 3,413,171명 3,381,466명 001 가리(加里) 666 1,956 815 1,141 002 가평(加平) 5,108 15,815 7,774 8,041 003 간성(杆城) 319 965 4..

최국선(崔國璿)

■ 최국선(崔國璿) ◇경주 최부자집의 기원을 이룬 분임. ◇생몰년 : 1631년(인조 9)~1682년(숙종 8) ------------------------------------------------------------------------------------------------------------------------------------ 조선 중기 문신· 자선사업가(慈善事業家). 자는 재경(在卿)이다.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증조(曾祖)는 증 병부좌시랑(贈 兵部左侍郞-오늘날 국방차관급) 최신보(崔臣輔)이고, 조부는 공조참판(工曹參判) 정무공(貞武公) 최진립(崔震立)이다. 아버지 용궁현감(龍宮縣監-從六品) 최동량(崔東亮)과 어머니 승사랑(承仕郞-從八品) 주관(朱灌)의 딸 웅천주씨(熊川朱氏) 사..

유중영(柳仲郢) -풍산인

■ 유중영(柳仲郢) [생몰년] 1515년(중종 10) ~ 1573년(선조 6) [문과] 중종(中宗) 35년(1540) 경자(庚子)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23위/합격연령 : 26세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언우(彦遇), 호는 입암(立巖). 아버지는 간성군수(江城郡守-從四品)공작(公綽)이며, 어머니는 증이조참의이형례(李亨禮-行 敎授)의 딸 연안이씨(延安李氏)이다. 선조(宣祖-조선 제14대왕) 때의 영의정(領議政-正一品) 유성룡(柳成龍)의 아버지..

고약장수에서 종6품 오른 피재길(皮載吉)

서울신문 홈 > 기획/연재 >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 2007-10-01 23면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 (40) 고약장수에서 종6품 오른 피재길(皮載吉) 홍천 피씨(皮氏)는 전형적인 중인 집안이다. 대부분의 중인은 문과를 하던 사대부 집안에서 분파되었는데, 피씨는 문과 급제자가 없다. 조선시대 양반들의 1차 시험이었던 생원 진사시의 합격자 명부 ‘사마방목’에도 피씨는 없으니, 전형적인 중인이라고 볼 수 있다. 중인 집안의 족보를 간추려 모은 ‘성원록(姓源錄)’에는 홍천 피씨가 두 집안 실려 있는데, 중시조인 피수장(皮壽長)과 피하조(皮河照)가 모두 무인 출신이다. 두 집안의 후손들은 역관, 계사, 율관들과도 혼인했는데,‘성원록’을 편찬한 이창현은 이 집안을 의원 집안으로 분류했다...

종중의 의미와 종류?

■ 종중의 의미와 종류? 1.인류학[宗中] 흔히 종중, 종친회, 친족회, 문중, 문회(門會),유복친, 가문등등 단체가 사회적 실체를 가지면서 여러 가지 법률행위를 하는 단체로 볼 수 있다. 2.종중[宗中] 종중은 가장 넓은 범위의 부계 혈연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종중의 개념은 성문법으로 규정되어 있지는 않으나, 전통 관습에 따른 것을 기존의 대법원 판례에서 인정해 오고 있다. 기존 대법원 판례의 주요 내용을 보면, 고유의미의 종중이란 공동선조의 분묘 수호와 제사 및 종원 상호간의 친목 등을 목적으로 하여 공동선조의 후손 중 성년 이상의 남자를 종원으로 하여 구성되는 자연발생적인 종족집단 체이다. 또 종원은 공동선조의 후손 중 성년 이상의 남자로 제한되고 공동선조의 후손 중 미성년자 및 여자와 출계자는 ..

화산서원(花山書院)

■ 화산서원(花山書院) *경기도 기념물 제46호(1975. 09. 05 지정) *소재지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방축리 산16~1 조선 선조 때의 명신 백사 이항복(李恒福 . 1556~1618)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건립하고 위패를 모신 서원이다. 인조 13년(1635) 건립되었다가 숙종 원년(1675) 임금이 친히 이름을 지어 그것을 새긴 편액을 내린 사액서원(賜額書院)이 되었다. 고종 5년(1868)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없어졌다가 1971년 지방 유림들의 뜻을 모아 복원 되었다 현재 사당과 동.서재. 내삼문. 외삼문 등의 건물이 남아있다.이항복은 선조13년 문과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거처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를 모시고 따랐다, 임진왜란이 끝난 뒤 영의정이 되었고 청백리에..

삼부팔모(三父八母)

■ 삼부팔모(三父八母) 복제(服制)에서 친부모 이외를 말하며,, 자신과의 관계가 직. 간접으로 아버지의 지위에 있는 세 사람과 어머니의 지위에 있는 여덟 사람에 대하여, 상례(喪禮)상의 복제(服制)가 있고 없는 한계를 정한 것을 말한다. ●삼부(三父) ①동거계부(同居 繼父) 어머니가 후살이 간 집에 따라가서 함께 사는 계부. 즉 의붓아버지를 말한다. 이 경우 계부에게 자식이 없고 양자도 없을 뿐 아니라 대공(大功) 이상의 친척이 없는 경우에 한하여서 부장기 (不杖朞朞, 1년상)의 복(服)을 입도록 하였다. ②부 동거계부(不 同居 繼父) 어머니가 개가할 때, 함께 따라가지 않은 계부. 이때 복은 없다. 그러나 어머니가 개가할 때 어려서 함께 따라가 장성한 후, 분가한 뒤 헤어져 살게 된 계부는 비록 동거를..

정인지 선생 묘(鄭麟趾先生墓)

■ 학역재 정인지 선생 묘(學易齋 鄭麟趾 先生 墓) ○생졸년 : 1396년(태조 5)~1478년(성종 9) ○문화재지정일 : 1980년 11월 13일 충청북도기념물 제33호. ○소재지 : 충청북도 괴산군 불정면 외령리 산144번지 정인지(鄭麟趾) 선생의 자는 백저(伯雎), 호는 학 역재(學易齋), 본관은 하동(河東)으로, 권우(權遇)의 문인이다. 1414년(태종 14) 과거에 급제하여 세종(世宗) 때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 부제학(副提學)등을 지내고 성삼문「成三問,1418년(태종 18)~1456년(세조 2)」, 신숙주「申叔舟,1417년(태종 17)~1475년(성종 6),」 최항「崔恒,1409년(태종 9)~1474년(성종 5)」등과 함께 훈민정음을 창제하는데 공을 세웠다. 김종서「金宗瑞,138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