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촌 이재훈 435

상앙[商鞅) - 중국 진나라의 정치가

■ 상앙(商鞅, 약BC390 ~ BC 338) 중국(中國) 진(秦) 나라의 정치가(政治家). 별명(別名)은 위앙(衛鞅)ㆍ본명은 공손앙(公孫鞅)으로, 전국시대의 진(秦)나라를 재조직하여, 통일국가 진[秦(BC 221~206)]을 세우는 데 공헌(貢獻)했다. 상앙은 본래 진나라 사람이 아니다. 동방의 소국(小國) 위(衛)나라 태생이다. 야심가인 상앙에게 위나라는 너무 작았던 것일까. 그는 고국을 떠나 북방의 강국 위(魏)나라에 가서 공숙좌(公叔座)라는 대신을 섬겼다. 공숙좌가 죽자 위(魏)나라를 떠나 진(秦)으로 들어가 출사(出仕)하게 되었다. 그는 국가는 오직 권력(權力)으로만 유지(維持)될 수 있고, 그 권력은 대규모(大規模) 군대(軍隊)와 충분(充分)한 식량(食量)에서 나온다고 믿었다. 전국시대에 진나..

경주이씨 대동행렬자 적용유례

■ 경주이씨 대동행렬 자 적용유례 (慶州李氏 大同行列 字 適用類例) 경주이씨(慶州李氏) 금석록(金石錄)을 보면, 경주이씨 화수회가 발족한 것은 1868년(고종 5년)으로, 지금으로 부터 143년 전이 되고, 이는 고종(高宗) 초기 대원군께서 섭정하고 계실 때 전국에 왕명(王命)으로 모던 성씨들은 각기 항렬자(行列字)를 정하고 이에 따라, 이름을 작명하되 장파(長派)의 항렬자를 따라 통일하여, 성명만 보더라도 그 관향과 항렬을 단번에 알아보고, 서로 돈목(敦睦)하고 위 아래 차서(次序)를 혼동(混同)해서, 망발(妄發)하는 일이 없게 하라고 명했다. 이에 오문(吾門)에서는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귤산(橘山) 유원(裕元) 공의 제청으로 상서공파(尙書公派)에서, 유원(裕元), 유승(裕承), 유응(裕膺), 국당공..

공민왕릉(恭愍王陵)

■고려 제31대 공민왕 1330년(충숙왕 17)∼1374년(공민왕 23). 고려 제31대왕. 재위 1351∼1374년. 본관은 개성(開城). 이름은 전(顓), 초명은 기(祺), 몽고식 이름은 빠이앤티무르(伯顔帖木兒), 호는 이재(怡齋)·익당(益堂). 충숙왕과 명덕태후 홍씨(明德太后洪氏) 사이의 둘째 아들이다. 비는 원나라 위왕(魏王)의 딸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이며, 그밖에 혜비이씨(惠妃李氏)· 익비한씨(益妃韓氏)· 정비안씨(定妃安氏)· 신비염씨(愼妃廉氏)가 있다. 일찍이 강릉대군(江陵大君)에 봉하여졌으며, 1341년 원나라에 가서 숙위(宿衛)하였으며, 1344년(충목왕 즉위)에 강릉부원대군(江陵府院大君)에 봉하여졌다. 1349년 원나라에서 노국대장공주를 비로 맞이한 2년 뒤, 원나라가 나이 어리고 ..

서계 이선생 가장결(西溪李得胤先生家藏訣)

[백승종의 정감록 산책] 이득윤과 ‘서계이선생가장결’ ‘정감록’에 수록된 예언서의 저자들 중에도 비교적 낯선 인물이 있다. 서계(西溪) 이득윤(李得胤·1553∼1630)이 그런 경우다. 그러나 따지고 보면 서계 역시 조선시대엔 상당히 유명한 예언가였다. 서계가 살던 16세기는 우리 역사상 별들의 시대였다. 퇴계 이황, 화담 서경덕, 하서 김인후, 율곡 이이, 고봉 기대승, 우계 성혼, 남명 조식 등 조선 유학사(儒學史)의 거장들이 일시에 배출되어, 성리(性理)를 궁구했다. 노수신·백인걸·유희춘임억령 등 선비의 기개를 떨친 이도 많았고, 최경창·백광훈·이달 등 시문의 대가도 적지 않았다. 그런가 하면 북창 정렴, 토정 이지함, 격암 남사고 등은 신선의 세계를 드나들어 이채를 띠었다. 불가(佛家)에도 서산대..

[정치비사] 대통령이야기 전두환

월간중앙 2010. 09. 23 강준식 ​박정희 흉내 낸 ‘총의 권력’…일등 ‘경제대통령’ 이었다? 후계자 노태우에 뒤통수 맞고 백담사行 ​ ​전두환은 어떤 인물이었나? ​ 역사적 사건과 인물은 두 번 반복한다는 헤겔의 생각에“처음엔 비극으로, 두 번째는 소극(笑劇)으로”라는 생각을 덧붙인 것은 칼 마르크스였다. 에서 그가 다룬 당통→코시디에르, 로베스피에르→루이 블랑을 박정희(朴正熙)→전두환(全斗煥)으로 슬쩍 둔갑시켜본 것은 나뿐이었을까? ​ 박정희에게는 우국지사적인 풍취가 있었다. 거사의 배경에 사회 혼란이라는 상황적 명분과 가난을 퇴치하겠다는 근대화의 신념이 일정 부분 국민적 공감대를 확보했던 것이 사실이다. 무엇보다 5·16은 무혈이었다. 그러나 전두환은 집권과정에서 국민적 공감대를 얻을 만한 비..

윤집 선생 묘(尹集先生 墓)

윤집 묘(尹集 墓)와 신도비(神道碑) / Written by 한국의 능원 묘 ▲ 묘역 뒷편에서 내려다 본 모습으로. 사진 우측이 삼학사의 한분이신 윤집선생 묘이고 약간 좌측 아래 묘가 아들 윤이선(尹以宣) 입니다. 윤집(尹集, 1606~1637)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서 병자호란 때 청과의 화의를 반대한 3학사(三學士)의 한 사람이다.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성백(成伯), 호는 임계(林溪)·고산(高山). 증조는 윤우신(尹又新), 조부는 윤섬(尹暹), 아버지는 현감 윤형갑(尹衡甲), 어머니는 춘천부사 황치경(黃致敬)의 따님 창원 황씨이며, 형이 남양부사 계(棨)이다. 어려서 아버지가 죽자 형과 함께 공부했다. ▲ 윤집선생 묘역을 우측으로 오르면 신도비를 볼 수 있습니다. ▲ 묘역 하단에 위치한 후손 묘..

최명길(崔鳴吉) /전주최씨(全州崔氏)

■ 최명길(崔鳴吉) [생몰년] 1586 (선조 19) - 1647 (인조 25) [문과] 선조(宣祖) 38년(1605) 을사(乙巳)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22위 [생원진사시] 선조(宣祖) 38년(1605) 을사(乙巳) 증광시(增廣試) 생원 1등(一等) 1[장원(壯元)]위 [생원진사시] 선조(宣祖) 38년(1605) 을사(乙巳) 증광시(增廣試) 진사 2등(二等) 3위 [가족사항] [부] 최기남(崔起南) [조부] 최수준(崔秀俊) [증조부] 최업(崔嶪) [외조부] 유영입(柳永立) [처부] 장만(張晩) [처부2] 허린(許嶙 ------------------------------------------------------------------------------------------------------..

유은정(柳隱亭)

↑유은정(柳隱亭) 경상북도 예천군 유천면 성평리 `유은정(柳隱亭)' 중수 완공 기념식이 2010년 8월 27일 오후 5시 현지에서 열렸다. `유은정'은 경주이씨 국당공파 38세손 이우호(장릉참봉)의 아들 재익이 1936년 세운 정면 3칸, 측면 1.5칸, 방 2개로 큰 바위 위에 지은 팔작지붕 정자이다. 정자 뒤편에는 높이 3m 크기의 듬직한 바위가 있으며 벚나무가 정자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이재익 선생의 손자 기철 씨는 “조상의 숨결이 밴 정자가 오래 전부터 사용하지 않아 허물어져 가는 모습이 안타까워 중수를 위해 10년 전부터 조금씩 준비해왔다”고 말했다. 지난해 10월부터 공사를 시작한 유은정은 2억 5천만원을 들여 기둥과 보만 남기고 부연, 서까래, 마루 바닥을 완전 교체하였다. 또 대들보는 하..

격사재 소장품인 고문서[경주이씨 족보 등] 84점 도난품 목록

[도난] 정읍 신중리 경주이씨 재실(격사재) 소장 고문서[경주이씨 족보 등] 84점 ◇지정종별 : 비지정문화재◇도난일자 : 2004 .1. 19전후 ◇수량 : 84점 ◇소유자 : 이상술 ◇시대 : 조선 ◇규격 : 미상 ◇내용 : 전북 정읍시 고부면 신중리 소재 경주이씨 재각 격사재(格思齋)에 소장하고 있던 족보, 세보, 파보, 대동보 등 84책을 2004. 1. 19 도난 발견하여 관내 경찰서만에 신고를 하였으나, 문화재청 사범단속반의 도난 확인 요청 에 의해 2010. 5월경에 문화재청에 도난 사실을 신고하게 됨. ◇도난문화재 자료 : 첨부파일 참조(경주이씨 족보 등) ●盜難文化財 情報(非指定文化財) No 고문서명 년도 수량 No 고문서명 년도 수량 1 경주이씨족보(갑자보) 1684 6책(共) 07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