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중국사(中國史) 151

손빈(孫臏)

■ 손빈(孫臏) : BC 382년 ~ BC 316년. 손빈(孫賓)은 전국시대의 병가이며 일찍이 방연(龐涓)과 병법을 공부했다. 방연은 위(魏)나라 혜왕(惠王)의 장군이 되었는데, 손빈의 재주를 시기해서 위나라로 그를 불러들여 빈형(臏刑 : 무릎 쪽 슬 개 골 만 절단하여 걸어 다니지 못하게 하는 형벌)에 처했다. 이로 인해 손빈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손무(孫武, 기원전 544년경~기원전 496년경) 사후 100년 후에 나타난 손무의 후손이라 하나 정확한 혈통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손빈은 후에 제(齊 : 기원전 1046년 - 기원전 221년)나라 위왕(威王)의 군사(軍師 : 참모)가 되었는데, 위왕은 계릉(桂陵)과 마릉(馬陵)에서 위군(魏軍)을 차례로 무너뜨릴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손빈은 전쟁을 수단으..

붕당론(朋黨論) - 구양수(歐陽脩)

■ 붕당론(朋黨論) ◇구양수(歐陽脩 : 1007~1072) - 중국 송나라의 정치가 겸 문인. ↑구양수 화상(歐陽脩 畵像) 신(臣)은 듣기에, 붕당(朋黨)이라는 말이 옛 부터 있다고 들었는데, 오직 임금이 군자(君子)와 소인(小人)을 분별할 따름입니다. 큰 군자는 군자와 더불어 도(道)를 함께 함으로서 붕(朋)을 만들고, 소인은 소인과 더불어 이를 함께 함으로서 붕(朋)을 만들고 하니, 이는 자연스러운 이치입니다. 그러나 신(臣)은 생각건대 소인은 붕(朋)이 없고, 오직 군자라야 그것이 있다고 여기오니 그 까닭은? 소인은 좋아하는 것이 이익과 녹봉(祿俸)이고, 탐내는 것은 재물과 돈(화폐)입니다. 그 이로움이 같을 때를 당해서 잠시 서로 끌어들여 당(黨)을 만들어 붕(朋)이라고 하는 것은 거짓입니다. 그..

서시(西施)와, 간장(干將),

■서시(西施 : 생년 미상) - 중국 춘추시대 월(越)나라의 미녀. 그녀는 중국 춘추시대 월나라의 미녀이다. 원래 저장성[浙江省] 주지[諸曁] 저뤄산[苧蘿山]의 서쪽에 살며 땔나무를 팔아 생계를 이었다. 오(吳)나라에 패한 월(越)왕 구천(句踐)은 회계(會稽)의 치욕(恥辱)을 씻으려고 대부(大夫) 종(種)의 책략(策略)을 이용하여, 두 미녀 서시(西施)와 정단(鄭旦)을 데려와 아름다운 옷을 입히고 여러 가지 기예를 가르친 뒤 재상 범려(范蠡)를 사신(使臣)으로 보내 오(吳)왕 부차(夫差)에게 바쳤다. 오(吳)왕은 서시(西施)의 미모(美貌)에 사로잡혀 정사를 게을리하여 마침내 월(越)에 패(敗)했다. 서시(西施)에 관한 이야기와 전설은 매우 많은데, 오(吳)나라가 망한 뒤 범려(范蠡)를 따라 오호(五湖)에..

월왕 구천(越王 句踐)과 범려(范蠡)

■ 월왕(越王) 구천(越王 句踐 : BC 497~465)/춘추시대 중국의 월(越)나라 왕. 오왕 부차와 같이 와신장담(臥薪嘗膽)의 주인공이다. 구천(句踐)은 오왕 부차(吳王 夫差)가 부친의 유언에 따라 복수를 준비하고 있다는 소문을 듣고 범려(范蠡)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오(吳)를 먼저 공격하였으나 부초산(夫椒山)에서 패하고 회계산(會稽山)에서 항복하였다. 이 때 오자서((伍子胥 : ? ~기원전 485년)가 구천(句踐)을 죽이고 월(越)나라를 멸망시키자고 간언하였으나 범려(范蠡)가 오(吳)의 간신 백비(伯韶)를 회유하여 오왕(吳王)이 구천을 용서하여 신하의 예를 갖추게 하고 그의 부인은 오왕(吳王)의 첩으로 만든 후 월나라로 돌려보냈다. 그 뒤 명신(名臣) 범려(范蠡)와 함께 군비를 증강하고 힘을 키우며 ..

계찰(季札) - 吳나라의 공자.

■ 계찰(季札 : BC 585년경) - 吳나라의 공자. 태백(太伯 : 고공단보의 아들)이 오나라를 세우고 14대 군주가 수몽인데, 수몽에게는 아들이 넷이 있었다. 그중 막내아들인 계찰(季札)이 돈후(敦厚)하고 총명(聰明)했다. 수몽은 계찰을 후계자(後繼者)로 삼으려 했으나 계찰이 극구(極口) 반대했다. 별 수 없어 장자(長子)인 제번에게 물려주었는데 제번이 아버지 복상(服喪)을 치르고 나서는, 계찰에게 자리를 물려주려했으며 백성들도 계찰이 계승(繼承)하기를 바랐다. 계찰은 장남이 계승(繼承)해야 한다며 한사코 반대하고 들에 나가 농사를 지으니 더 강요(强要)하지 못했다. 뒤를 이은 여제가 계찰을 사절단(使節團)으로 하여 중원각국을 巡訪하도록 했다. 먼저 노(魯)나라로 갔는데 황제만이 할 수 있는 춤과 노..

오자서(伍子胥) - 吳나라의 大夫

■오자서(伍子胥 : BC 559? - 484)/吳나라의 大夫 ↑오자서(伍子胥) 이름은 원(員), 자서(子胥)는 그의 자(字)이다. 초(楚)나라의 대부를 지낸 오사(吳奢)의 둘째 아들이다. BC 522년(楚平王 7)에 오사가 살해되자, 그는 송(宋)나라와 정(鄭)나라를 거쳐 오나라로 들어갔다. 나중에 합려(闔閭)를 도와 오왕 요(僚)를 죽이고 왕위를 탈취했다. 그뒤 군대를 정비하여 국세가 날로 번성해갔다. 얼마 후 초를 함락시킨 공으로 신(申)땅에 봉해져 신서(申胥)로 불렸다. 합려가 죽은 뒤 그 뒤를 이어 왕이 된 부차(夫差)에게 월(越)의 화친 요구를 거절하고, 제(齊)에 대한 공격을 중지하라고 진언했다가 왕의 분노를 샀으며, 나중에 자결하라는 왕명을 받고 죽었다.

안자(晏子) - 춘추전국시대 제나라 정치가.

■ 안자(晏子), BC578~BC 500. - 춘추전국시대 제나라 정치가. ↑안자(晏子) 중국 춘추시대 제(齊) 나라의 정치가로 이름은 영(嬰). 자는 평중(平仲) 관중(管仲)과 함께 훌륭한 재상(宰相)으로 이름을 떨쳤다. BC 556년 아버지 안환자(晏桓子)가 죽고 그 뒤를 이어 제나라의 대부(大夫)가 되었다. 영공(靈公)· 장공(莊公)· 경공(景公)을 섬겼으며, 근검절약하고 힘써 노력하여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 최서가 장공을 살해했을 때 장공의 시체 위에 엎드려 곡(哭)을 했지만 사람들의 신망을 받고 있는 인물이었기 때문에 죽음을 면했다. BC 517년 혜성이 나타나 두려워 떨고 있는 경공(景公)에게 사치를 삼가고 세금을 줄이고 형벌을 가볍게 하면 재난을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충간(忠諫)했다. 이..

정자산(鄭子産) - 춘추시대 鄭나라의 宰相

■정자산(鄭 子産 : BC 585~523) - 춘추시대 鄭나라의 宰相. ↑정자산(鄭 子産) 성은 공손(公孫), 이름은 교(僑). 정(鄭)나라 목공(穆公)의 손자요. 자국(子國)의 아들이다. BC 554년 정경(正卿)인 자공(子孔)이 내란으로 죽은 뒤 경(卿)이 되었다. BC 543년 백유(伯有)의 내란 이후 정경의 위치에서 난을 수습한 뒤, 죽을 때까지 정나라의 정치를 지배(支配)했다. 당시 정나라는 북방의 覇者인 晉과 남방의 패자(覇者)인 초(楚)사이에 끼여 고초(苦楚)를 겪었으나, 자산은 그의 박식과 웅변으로써 두 나라의 세력 균형을 이용하여 일시적인 평화를 누렸다. 진·초 두 나라에 대한 공납(貢納)의 부담을 줄이는 한편 국내의 농지를 정리(定理)· 개척(開拓)하여 토지세(土地稅)를 징수함으로써 국..

석작(石碏)과 유하혜(柳下惠)

■ 석작(石碏) 위(衛) 나라 환공(桓公) 때의 충신(BC 734~719) ↑중화 석성시조 석작 상 춘추시대 위(魏)나라 임금 환공(桓公)은 이복동생으로, 서자(庶子)였던 주우(州旴)에게 살해당했다. 장공(莊公)은 주우(州旴)를 사랑한 나머지 방탕하게 길렀고 석작대신(石碏大臣)은 이를 염려하였다. 석작(石碏)의 아들 석후((石厚)는 주우를 도왔다. 임금이 된 주우는 지위를 굳히기 위해 이웃나라를 침공하는 등의 힘을 과시해 보았으나 백성들은 그를 따르지 않았다. 벼슬에 물러나 있는 석작에게 아들 석후가 인심 획득 방법을 물었다. 석작은 . 그러기 위해서는 왕실과 사이가 좋은 진(陳) 나라에 중계를 부탁해 보라'고 했다. 석작은 미리 진나라에 사신을 보내 이렇게 전했다. '주우(州旴)와 석후((石厚)는 임금..

진목공(秦穆公)

■ 진목공(秦穆公) BC760-510 춘추5패의 한사람 백리해(百里亥)와 그의 의형 건숙(蹇叔) 등을 등용해서 국정을 정비(整備)하고 동으로는 하서(河西)를 빼앗고 서로는 서성(西戎)을 쳐서 패자(覇者)가 되었다. 진(秦)나라 목공(穆公)은 현군(賢君)으로 전한다. 백리해(百里亥) 같은 명신(名臣)을 얻었으며 망명(亡命)중인 진(晋)의 공자 중이(重耳)를 후(厚)하게 대접했으며 진혜공(晉惠公) 이오가 두 번이나 속였어도 흉년이든 진(晋)나라 백성을 위해 곡식을 빌려준 일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