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 1744

사충서원(四忠書院)

● 사충서원(四忠書院) 1868년(고종 5) 비훼철 서원 1725년 경기도 과천에 신임옥사(辛壬獄事)에 관련되어 죽은 김창집(金昌集)· 이명· 건명(李健命)· 태채(趙泰采) 등 4대신을 제향하기 위해 세운 서원으로서, 이는 경종 때 후일의 영조가 될 왕세제(王世弟)를 책봉하는 문제로 소론과 대립, 1722년(경종 2) 노론계의 역모사건인 신임옥사에 관련되어 죽은 위의 노론 4대신을 기리기 위해 과천 노량진(지금의 사육신묘 입구)위치에 설립되고 2년에 영조 년에 사액(賜額)되었다. 이는 노론이 득세함으로써 가능한 일이었는데, 1727년 정미환국(丁未還局)으로 소론이 정권을 잡게 됨에 따라 신임옥사의 뜻은 뒤집어 지고 4대신은 다시 죄인이 되어 서원은 없어지게 되었다. 그 뒤 경신처분(庚申處分)으로 4대신은..

이건창선생묘(李建昌先生墓)

↑이건창선생묘역(李建昌先生墓域)ㅣ사진>ⓒ한국의능원묘 ㅣ광나루 인천광역시기념물 제29호 ㅣ 묘의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양도면 건평리 655-27번지 묘의 주인을 알리는 작은 표석하나 없이 봉분 한 기만 달랑 있는 묘가 참 안스럽게 보입니다. ↑이건창선생 묘역 뒤에서 바라 본 모습 ㅣ 사진>ⓒ한국의능원묘 ㅣ광나루 -------------------------------------------------------------------------------------------------------- 강화학파 거두의 묘엔 묘비 하나 없이 풀벌레만… chosun.com>강화 김경은기자 입력 : 2011.10.10. 03:01 [길 위의 인문학] 양명학 정신의 산실 강화 주자학이 지고의 진리인 조선에서 주자를..

참봉 김차태 처 경주이씨 효열비

전 참봉 김차태 처 경주이씨 효열비 (前 參奉 金次泰 妻 慶州李氏 孝烈碑) 부인은 성이 이씨(李氏)이고 경주(慶州)가 그 본관이니, 보한당(保閒堂) 휘 욱(郁)의 11세손 원춘(元春/평리성암공파)의 따님이시다. 집안에 있을 때에 가정의 가르침에 훈도(薰陶)되었고, 《예기(禮記)》의 편(篇)을 즐겨 읽었으며, 뜻과 행실이 단정하고 의젓하였다. 자라서는 학성군(鶴城君) 김완(金完)의 11세손 김차태(金次泰)에게 시집갔는데, 시부모를 섬김에 있어 한결같이 옛날의 법도를 따랐다. 시아버지가 일찍이 병이 들어 오래도록 낫지 않아, 백방으로 치료하고 봉양하였으나 그 효력을 보지 못한 채 점점 위독한 상태에 이르게 되었다. 이에 부인은 밤낮으로 근심하고 두려워한 나머지 변을 맛보아 혀에 느껴지는 달고 쓴맛으로 병의 ..

숙휘공주 묘(淑徽公主 墓)

↑조선국 효종의 3녀인 숙휘공주와 인평위 정제현 합장 묘역. ● 숙휘공주(淑徽公主) [생졸년] 1642년 2월 17일 ~ 1696년 10월 27일 / 향년 55세 효종(孝宗)의 넷째 딸로 어머니는 인선왕후(仁宣王后)이다.우참찬 정유성(鄭維城)의 손자인 정제현(鄭齊賢)을 인평위(寅平尉)로 삼아 숙휘공주를 시집보냈다. 소생으로는 직장(直長) 정태일(鄭台一)이 있다.

개성 선죽교 시비(開城善竹橋詩碑)

■ 개성선죽교시비(開城善竹橋詩碑) 표면(表面) 어제(御製) 어필(御筆) 선죽교(善竹橋) 시비(詩碑) 전제(篆題) 도덕(道德)과 정충(精忠)이 만고까지 뻗치니 태산(泰山)같이 높은 절개 포은공(圃隱公)이라네 이면(裏面) 어제(御製) 어필(御筆) 선죽교(善竹橋) 소지(小識) 내가 즉위한 지 16년째 되던 경신년(영조 16, 1740년) 가을 9월 3일 목청전(穆淸殿)을 지나면서 보니 길가에 다리가 있었는데, 이곳이 고려조의 시중(侍中)인 포은(圃隱) 정공(鄭公)이 절개를 지킨 곳이다. 다리에 멈추어서 시를 지어 비석을 세우니, 공의 도덕을 높이고 공의 정충(精忠)을 드러내고자 하는 것이지 이것이 어찌 다만 내가 한때 우연히 감격하여 그런 것이겠는가. 또한 우러러 옛날 도(道)를 높이고 충(忠)을 숭상하던 성..

권람 묘표(權擥墓表)

■권람 묘표(權擥墓表) 유명조선국 수충위사협책정난동덕좌익공신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좌의정 춘추관감사를 지낸 길창부원군으로 시호가 익평공(翼平公)인 소한당(所閑堂) 권람(權擥) 선생 정경의 묘 성화(成化) 을유년(1465, 세조 11) 2월 6일에 사망하여 4월 21일에 장사지내다. 공은 안동 사람으로, 지재선생(止齋先生)인 문경공(文景公) 제(踶)의 아들이다. 경오년(1450, 문종 즉위년)의 문과에서 장원으로 급제하였고, 정난공신(靖難功臣)과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모두 1등으로 봉해졌다. 아들인 걸(傑)과 보(保)는 공(功)을 논상(論賞)하여 호군(護軍)에 제수되었고, 건(健)은 어리다. 딸들 중 첫째는 정난공신으로 가선대부(嘉善大夫)인 청원군(淸原君) 한서귀(韓瑞龜)에게 출가하였고, 다음은 절충장군(..

우의정 김석주 부자(父子) 묘(右議政 金錫胄父子墓)

↑우의정 김석주 묘(右議政 金錫胄 墓) 원래 묘(墓)는 경기도 광주시 남종면 귀여 2리 산75-31(제청마을)에 있었으나 2009년 경기도 남양주시 상패동 청풍김씨 문의공파 종중산으로 이장 하였다. ↑우의정 김석주 묘(右議政 金錫胄 墓) ●김석주(金錫胄) [생졸년] 1634년(인조 12) ~ 1684년(숙종 10) [문 과] 현종(顯宗) 3년(1662) 임인(壬寅) 증광시(增廣試) 갑과(甲科) 1[장원(壯元)]위,/ 합격연령 : 26세.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자..

정휘옹주(貞徽翁主)와 전창위(全昌尉) 유정량(柳廷亮)의 합장 묘.

▲▼선조의 서6녀인 정휘옹주(貞徽翁主,1593~1653)와 전창위 류정량(柳廷亮)의 합장 묘역 ↑의정부시 가능3동 산 82번지는 선조의 여섯째 딸 정휘옹주(貞徽翁主)와 그의 남편 전창위 류정량(柳廷亮)의 묘 가 있었는데, 1979년 그의 후손들에 의해 남양주군 별내면 덕송리 산10-1로 이장됐다. 유정량은 영의정 유영경 의 손자로 14세에 정휘옹주에게 장가들어 부마가 되고 전창위(全昌尉)에 봉해졌다. ↑정휘옹주(선조의 서6녀)와 전창위(全昌尉) 유정량(柳廷亮)의 합장 묘역 ↑도계(道溪) 유심(柳淰) 의 묘. ↑도계(道溪) 유심(柳淰) 의 묘비 ■ 유심(柳淰) [생졸년]1608(선조 41) - 1667(현종 8) [문과] 인조(仁祖) 13년(1635) 을해(乙亥)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9위/합격연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