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 1744

안성 이해룡고가

■ 안성 이해룡 고가(安城 李海龍 古家) ↑상량문에 의하면 이 건물은 1797년(정조 21)에 신축되어 2000년에 허물어져 없어졌다. ↑중수하기전의 옛건물 ↑2006년 11월에 위의 건물을 다시 복원했다. [명칭] 이해룡고가 (李海龍古家) [지정종목]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73호 [지정일] 1985년 -9월 20일 [수량] 1동 [소재지]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청룡리 78번지 [시대] 조선 [종류/분류] 가옥(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청룡리 78번지에 있는 조선시대의 전통가옥) =========================================================================================== 경기도 안성시 서운산 남쪽 계곡 근처의 작은 산간 마을에 있는 조선 ..

홍간 묘지(洪侃墓誌) / 익재 이제현의 사돈(門下侍郞 李瑞種의 丈人)

都僉議舍人洪崖公(諱 侃)墓誌銘. *익재 이제현의 사돈(門下侍郞 李瑞種의 丈人) 홍양호(洪良浩:1724~1802) 撰 洪崖先生諱侃。字平甫。一字雲夫。姓洪氏。豐山人。始祖國學直學諱之慶之長子。宋度宗咸淳二年高麗元宗七年丙寅。與文士閔漬同榜賜第。歷官朝奉大夫秘書尹致仕,都僉議舍人,知制誥。間出爲原州牧。又以言貶東萊縣令。卒于官。卽忠烈王三十年甲辰也。後雪谷鄭誧以司議大夫。謫蔚州。嘗至東萊。有詩曰。當日洪平甫。波瀾起筆端。高才不遇世。晩歲此爲官。憔悴身仍病。吟哦興未闌。壁間無一字。豈爲和詩難。蓋傷先生之不遇也。先生娶三嘉吳氏。司憲糾正崇之女。一男侑。密直使三館大提學。女適中郞將成君阜。密直三子。長曰溟官弘文館。仲曰演寶文閣大提學。季曰浚藝文館大提學。一女歸宗簿副令 李瑞種。卽鷄林府院君益齋李齊賢子也。成三子。準得尙書,有得政丞,允得密直副使。寶文生郞將龜。見麗政亂。棄歸高陽。已..

여말 李敬之의 가계도를 알고싶습니다.

질의자 : http://cafe.daum.net/kungjulee?t__nil_cafemy=item 여말 조선초 밀직부사 또는 판서 李敬之의 父로부터의 가계도를 알고싶어 올렸습니다 즉 敬之의 질서(姪壻)로 최단(崔鄲)의 기록이 있는지의 如否를 문의드립니다. 저는 경주최가의 후손 최예환입니다. "samhjg@hanmail.net'로 연락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 野村 李在薰 반갑습니다. 壬辰年 한해 귀문의 일익번창을 기원합니다. 질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오문..

이배원 고가(李培源古家)

이배원 고가(李培源古家) [문화재지정] 향토문화재 [종류] 가옥 [건축년대] 일제강점기 [지정번호] 익산향토유적 제10호 [지정일] :2002. 12. 14 [소재지]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 함열리 411-2번지 [내용] 2002년 12월 14일 익산시 향토유적 제10호로 지정되었다.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의 한옥마을에 자리 잡고 있다. 1917년, 당시 함라면의 대표적인 만석꾼 이배원이 건립하였다. 왼쪽에서부터 건넌방, 대청, 윗방이 있고, 윗방에서 앞쪽으로 두 칸의 안방과 부엌이 나와 있는 ㄱ자형 집이다. 가구(架構)는 1고주오량가(一高柱五梁家)로 고주 중간에 대들보를 끼우고 고주 머리가 직접 마룻보와 중도리를 받치게 했다. 건립 당시에는 안채·사랑채 ·행랑채· 문간채· 곳간채 등 여러 채가 있었으나..

조선의 군사제도

■ 조선의 군사제도 초기에는 통수기관(統帥機關)으로 중앙에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를 두고 거기에10위를 속하게 하였으나,세조 때에 삼군부를5위도총부(五衛都摠府)로 개편하여 중앙군인5위를 지휘하게 하였다. 5위는 의흥위(義興衛:中衛) ·용양위(龍衛:左衛) ·호분위(虎賁衛: 右衛) ·충좌위(忠佐衛: 前衛) ·충무위(忠武衛: 後衛)로 궁궐수비와 서울 방비를 담당하였다. 각 위(衛)는 또 5부(部)로 나뉘었고, 각 부는 4통(統)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밑에여(旅) ·대(隊) ·오(伍)가 있었다. 지방에는 각 도(道)에 병영(兵營)과 수영(水營)이 있어서 육군과 수군을 통할하였고, 그 밑에 여러 진(鎭) ·포(浦) ·보(堡)가 있다. 이들 부대에 복무하는 지방군은 양인 계층의 농민으로서 교대로 입번(立番)하고, ..

사례태기(四禮汰記)

■ 사례태기(四禮汰記) [내용] 칠곡출신으로 유학자이자 독립운동가인 회당 장석영(晦堂 張錫英) 선생이 저술한 사례주석서인 6권 2책 목활자본이다. [크기] 21.8×33cm [참고] ●사례태기(四禮汰記)>해제 조선 말기의 학자 장석영(張錫英)이 ≪의례집전 儀禮集傳≫의 절목(節目)과 그 주·소를 참고하고 선유(先儒)의 제설(諸說)과 자신의 견해를 추가하여 집성한 사례주석서. 6권 2책. 목활자본. 1926년 문인인 이영기(李永基)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장석영의 자서(自序)가 있고, 권말에 이영기·이현숙(李鉉淑) 등의 발문 4편이 있다. 이 책의 편차를 보면 권1에 관례, 권2에 혼례, 권3∼5에 상례, 권6은 제례 및 부록으로 국휼례(國恤禮) 등이 수록되어 있다. 참고한 서적이나 인용된 학설을 보면 ≪..

배우 박용하, 가수 김현식 묘

■ 능원묘 답사 ◇답사지 : 경기 하남/성남 권역 ◇일시 : 2012. 11. 11(일요일) ◇참가인원 : 7명 ↑아침에 집결해서 첫 답사지인 유길준선생 묘는 검단산 중턱에 있어서 초장부터 땀 좀 뺐습니다. ↑유홍선생 신도비 전경. 유홍선생 묘역은 종중의 허가가 있어야 한다고...그냥 통과... ↑구정 남재선생 아들인 남경문선생 묘역 입구 전경... 문은 닫혀 있어도. ↑남경문선생 묘역은 작은릉이라고 불릴 정도로 묘역이 큽니다. 선생의 3남은 조선 태종의 4女 정선공주와 결혼하 고... ↑성종의 서14남 양원군 이희 묘는 한 번 다녀 온 곳인데도 소재지가 산 번지로 빙글빙글 돌고... ↑양원군 묘역 뒤에는 유계문선생 묘역이 있는데, 양원군과 무슨 관계가 있는지... 확인이 요합니다. ↑이극돈의 3자인 이..

청첩장에 돌아가신 아버지와 어머니의 칭호?

[문] 청첩장에 돌아가신 아버지나 어머니를 고(故) 0 0 0 라고 나타내는 칭호가 맞는지요? [답] 야촌 이재훈 돌아가신 이를 나타내는 고(故)자는 죽은 이의 이름 앞에 붙이는 관형사입니다. 우리가 돌아가신 아버지를 선고(先考). 선군(先君), 선공(先公). 선친(先親). 선부(先父). 선엄(先嚴). 망부(亡父). 등(等)으로 나타냅니다. 그럼으로 청첩장에 죽은 아버지를 표기 할 때는 선군(先君) 0 0 0라 표기하고, 죽은 어머니를 표기 할 때는 선비(先妣) 0 0 0 라 표기함이 옳을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