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선현들의 묘.

정휘옹주(貞徽翁主)와 전창위(全昌尉) 유정량(柳廷亮)의 합장 묘.

야촌(1) 2011. 10. 12. 02:50

▲▼선조의 서6녀인 정휘옹주(貞徽翁主,1593~1653)와 전창위 류정량(柳廷亮)의 합장 묘역

 

↑의정부시 가능3동 산 82번지는 선조의 여섯째 딸 정휘옹주(貞徽翁主)와 그의 남편 전창위 류정량(柳廷亮)의 묘

    가 있었는데, 1979년 그의 후손들에 의해 남양주군 별내면 덕송리 산10-1로 이장됐다. 유정량은 영의정 유영경

    의 손자로 14세에 정휘옹주에게 장가들어 부마가 되고 전창위(全昌尉)에 봉해졌다.

 

↑정휘옹주(선조의 서6녀)와 전창위(全昌尉) 유정량(柳廷亮)의 합장 묘역

 

 ↑도계(道溪) 유심(柳淰) 의 묘.

 

↑도계(道溪) 유심(柳淰) 의 묘비 

               

■ 유심(柳淰)

[생졸년]1608(선조 41) - 1667(현종 8)

[문과] 인조(仁祖) 13년(1635) 을해(乙亥)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9위/합격연령 : 48세 

[생원진사시] 인조(仁祖) 5년(1627) 정묘(丁卯) 식년시(式年試) 진사 1등(一等) 1[장원(壯元)]위/합격연령 20세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징보(澄甫), 호는 도계(道溪).아버지는 전창위(全昌尉) 정량(廷亮)이며, 어머니는 선조의 딸 정휘옹주(貞徽翁主)이다.1613년(광해군 5) 계축옥사로 가산이 적몰되고 유배당한 아버지를 따라 호남에 있다가 1623년 인조반정으로 풀려나왔다.

 

1627년(인조 5) 사마시에 합격한 뒤 음보(蔭補)로 참봉이 되고 시직(侍直)으로 1635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승문원에 등용되고 1638년 사은진주 겸 성절동지사(謝恩陳奏兼聖節冬至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1651년(효종 2) 경상도관찰사로 나아갔으며, 1656년에도 평안도관찰사를 역임하였다.1659년(현종 즉위) 예조참판으로 고부 겸 주청사(告訃兼奏請使)의 부사로 다시 청나라에 다녀온 뒤 강화유수가 되었으며, 1662년에는 도승지를 역임하였다. 글씨에 뛰어났으며, 특히 송설체(松雪體)에 능하였다.

 

 

 

 

■ 유정량(柳廷亮)

    [생졸년] 1591년(선조 24)∼1663년(현종 4)./壽72歲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룡(子龍), 호는 소한당(素閒堂). 영의정 영경(永慶)의 손자로, 통진현감(通津縣監) 열(悅)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첨지 이필(李韠)의 딸이다.

 

1604년(선조 37) 14세 때 선조의 딸 정휘옹주(貞徽翁主)와 혼인하여 전창위(全昌尉)에 봉하여졌다.

1612년(광해군 4) 할아버지 영경(永慶)의 사건으로 일가가 멸족될 때 전라도 고부에 유배되었다.

 

1619년 장차 역모가 있으리라는 소문이 호남 지방에 유포되자 경상도 기장(機張)으로 이배되었다.

여러 해 동안의 귀양살이로 토굴 속에서 햇빛을 보지 못하여 실명의 위기에 놓이게 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즉시 풀려나와 작위가 회복되어 숭덕대부(崇德大夫)에 승품되고, 여러차례 승진하여 성록대부(成祿大夫)에 이르러 세훈(世勳)을 물려받고 군(君)에 봉하여졌다.

 

1646년(인조 24)· 1651년(효종 2)· 1655년에 각각 사은사(謝恩使)· 진향사(進香使)· 사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고, 도총관에 이르렀다. 글씨에 뛰어났다. 시호는 효정(孝貞)이다.

------------------------------------------------------------------------------------------------------------------------------------

 

의정부시 가능3동 산 82번지는 선조의 여섯 번째 딸 정휘옹주와 그 남편 전창군 유정량 의 묘 가 있었는데, 1979년 그의 후손들에 의해 남양주군 별내면 덕송리 산10-1(용마사격장내)로 이장됐다.

 

유정량(柳廷亮)은 영의정 유영경(柳永慶)의 손자로 14세에 정휘옹주(貞徽翁主)에게 장가들어 부마가 되고 전창위(全昌尉)에 봉해졌다. 그는 성품이 활달하고 무인다운데가 있어 말타기를 즐겨했으며 장군이 되기를 원했으나 부마라는 신분 때문에 관직에 오를 수 없음을 불만스럽게 여긴 나머지 옹주에게 퉁명스럽게 대할때가 여러번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무렵 우리나라에 담배가 처음 들어와 남녀 구분없이 장죽으로 담배 피우는 것이 유행처럼 번지기 시작하자 옹주도 장죽을 물고 다녀 남편이 보기에 지나치고 눈에 거슬려 몹시 나무랐는데 그게 화근이 되어 부부싸움까지 번졌다.

 

화가 난 옹주는 대궐로 들어가 분함을 실토하자 선조께서 부마를 불러 들였다. 유정량은 괴나리 봇짐을 메고 짚신 두 죽을 양허리에 찬 채 궁중으로 들어갔다. 그 차림새가 버릇 없는 것 같으면서도 기인다운 데가 있어 선조께서 손 행색으로 궁중에 들어선 까닭을 물으셨다. 

 

그러자 유정량이 아뢰기를 “신은 이미 상감의 노여움을 산 죄인으로서 유배를 면키 어렵게 되었습니다.”라고 대답했다. 선조가 “귀양길을 떠날 자라면 짚신 한 죽이면 족하지 두죽은 다 무엇에 쓸 것인고?” 라고 묻자 유정량은 “여필종부라 하였으니 옹주와 함께 떠나려 하옵니다”라고 대답했다. 이에 선조는 더 이상 나무라지 아니했다.
 

한편 유정량의 할아버지인 유영경은 소북파의 우두머리로서 영창대군을 세자로 삼으려 했으나, 1608년 선조가 승하하고 광해군이 즉위하자 이이첨, 정인홍 등 대북파에게 모함당하여 함경도 경흥에서 죽게된다.

 

유정량도 16세의 어린 나이에 전라도 고부로 유배당한다. 귀양생활 7년째 되는 어느 날 경상도 양산으로 다시 옮겨 가는데 도중에 집은 다 헐고 거미줄이 곳곳에 늘어져 있는 주인 없는 빈집에서 하룻밤을 지내게 된다. 이때 동네사람들이 달려와서 빨리 나오라고 야단법석을 떨었다.

 

전에도 여러 길손이 이 집에서 자게 되면 사람이 온데 간데 없이 귀신 밥이 됐다는 것이다. 그러나 유정량은 말대꾸도 하기 싫은 듯 다리를 쭉 펴고 누었다. 조금 후에 방안에 차가운 공기가 맴돌며 천장에서 큰 구렁이가 뚝 떨어지면서 몸을 칭칭 감기 시작했다.


이튿날 날이 새자 마을 사람들이 몰려왔으나 길손은 간데없고 방안에 큰 구렁이만 죽어 있었다. 유정량은 이미 양산에 도착해 있었다. 한편 유정량에게는 표동이라 불리 우는 애마가 있었는데 하루에 천리를 달리는 준마였다.

 

그런데 어느 날 표동이 유정량을 찾아왔다. 광해군이 표동을 끌고가려 하자 마굿간에서 뛰어 나와 이곳 양산 6백리 길을 단순에 달려온 것이다. 귀양살이 12년 되던 해 어느날 표동이 별안간 네굽을 모아 구르며 갈기를 세우고 날뛰자 유정량이 이를 달랬으나 저녁에 겨우 그쳤다. 

 

이날이 바로 인조반정이 있었던 1623년 3월 12일 이었는데 이튿날 아침 역졸이 궁으로 돌아오라는 어명을 가지고 달려왔다. 이때부터 표동응 영마라 하여 더욱 이름났으며 그후 40여년간 살다가 죽었는데 후히 장사지내고 그무덤을 용마총이라 이름 했으나 지금은 흔적이 남아있지 않다. 

 

정휘옹주는 남편이 유배생활을 하는동안 홀로 되신 시할머니와 시어머니를 정성껏 모시며 집안 살림을 꾸려 가다 효종 4년(1653) 환갑(還甲)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