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 1744

사계절 제사의 종류

■ 사계절 제사의 종류 ●향(享) : 봄의 제사(祭祀) ●체(禘), 약(礿) : 봄제사, 여름제사, 종묘제사, 불시(不時)의 제사. ●상(嘗) : 가을제사. ●증(烝) : 겨울제사 ---------------------------------------------------------------------------------------------------------------- [참고] 사계절 제사의 종류 ◈체(禘=제사 체) 1. (고대 제왕이 지내는)제사(祭祀) 2. 큰 제사(祭祀) 3. 종묘의 제사(祭祀) 이름(천자가 정월에 남교(南郊)에서 하늘을 제사지내는 제사) ◈약체(礿禘) 임금이 봄과 여름에 지내던 제사(祭祀). 봄에 지내는 제사(祭祀)를 약(礿)이라 하고, 여름의 제사(祭祀)를 체(禘)라 ..

대제학(大提學)의 위상(位相)

■ 대제학(大提學) 조선시대 홍문관(弘文館),예문관(藝文館)의 최고 책임자로,정2품직의 전임직(專任職)이 아니라 타관(他官)이 겸임하는 겸직(兼職)이다. 관직은 둘이지만 실제로는 한사람이 두 관서(官署)의 대제학(大提學)을 겸하는 것이 상례였으며,국가의 모든 문한(文翰)을 장악하여,사령(辭令),과거시험(科擧試驗)등을 통괄하고,학문과 관계되는 제반 일을 관장하였다. 대제학(大提學)은 정2품(正二品)의 관계이지만,학문(學文)과 도덕(道德)이 뛰어나고,가문(家門)에도 하자가 없는 석학(碩學),석유(碩儒)만이 오를 수 있는 지위로,정승(政承) 3명과도 바꾸지 않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학자(學者)와 인격자(人格者)로 서의 최고 지위라 할수 있어,본인은 물론,일문(一門)의 큰 명예로 여기었다. 대제학(大提學)후보..

제사, 시제의 축문해설

■ 제사축문(祭祀祝文)의 주요 문구에 대(對)한 해설(解說) 축문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일일이 그 격식을 따지자면 요즘 같은 시대에 는 맞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시대가 변하고 생각하는 사고가 달라졌음으로, 조상 대대로 전례 오는 제례의 근본정신은 계승하되 오늘 날에 맞는 격식을 따르는 것이 합리적이라 부인하지 않는다. 상례(喪禮)와 제례(祭禮)에 따르는 여러 가지의 축문(祝文)과 고사(告辭)를 사용함에 있어, 흔히 나오는 주요 문 구(文句)를 다음과 같이 설명해 둔다. -------------------------------------------------------------------------------------------------------------------------------..

전두환 대통령 부모 선영

↑ⓒ癡叔堂 ↑ 묘의 좌향>술좌진향(戌坐辰向) ㅣ ⓒ癡叔堂> 멀리 황강이보인다. 전두환 전 대통령의 증조부 전석주(全錫注) 묘와 조부 전영수(全永洙) 선생의 묘는 모두 고향 마을 내천리에서 가까운 야등산(冶嶝山) 곤좌(坤坐)와 성지곡(聖智谷)의 건좌(乾坐)로 각각 합장으로 모셔저 있다 한다. ⓒ천병학(1000bh)> ↑ 2009년 10월 22일 선영성묘에서(ⓒ합천군청) 사진 ⓒ합천군청 ↑2009년 10월 22일 생가에서... 이날 전두환 전 대통령 내외는 오전 11시 합천 고향에 도착해 조부선영과 부모 선영을 성묘 하고 환영나온 지역주만 400여명과 오찬을 함께했다. ●전 대통령 선영소재지 ◇전두환 대통령 생가=경남 합천군 율곡면 내천리 264번지 ◇전두환 대통령 부모묘소=경남 합천군 율곡면 기리 산80번..

고령신씨 시조 묘표음기(高靈申氏始祖墓表陰記)

성재유고(醒齋遺稿)冊九 [記] 신익상(申翼相) : 1634(인조12)~1697(숙종23) ------------------------------------------------------- ■ 高靈萬代山申氏始祖墓表陰記 신익상(申翼相) 撰 惟我始祖諱成用。高靈人也。始登文科。官至檢校軍器監。生諱康升。正順大夫左右衛上護軍。生諱仁材。匡靖大夫僉議評理上護軍。生諱思敬。中順大夫監門衛大護軍。生諱德隣。禮儀判書。生諱包翅。始入我朝。爲大司諫。生諱檣。工曹參判。生諱叔舟。領議政府院君。皆由文科進。判書以下。各葬在他道。具在地誌。而惟大護軍以上墓。不知所在。俗傳縣治甘草田。卽故申氏世居地。竹田乃其族葬。而久遠無徵。其在萬代山者。人皆知爲我始祖墓焉。萬曆丙午間。縣人有偸葬墓傍者。平封土。埋石物。適後孫守沂,景沂迭宰是縣。按治掘出。封墓如故。而未究石物埋處。崇禎壬午。先君宰..

민광민(閔光旻) 묘갈명(墓碣銘)

■ 민광민 묘갈명(閔光旻墓碣銘) [생졸년] 1622년(광해군 14) ~ 1701년(숙종 27) 회덕현(懷德縣) 북쪽 삼정동(三政洞)은 여흥(餘興) 민씨(閔氏)가 대대로 조상들의 산소를 모신 곳이고 그곳의 유좌(酉坐)의 언덕은 현감(縣監) 민광민(閔光旻)의 산소이다. 6대조 이조정랑(吏曹正郞) 민수(閔粹)의 산소는 그 위에 있다. 할아버지는 부사(府使) 증판서(贈判書) 민여검(閔汝儉)이고 아버지는 증정랑(贈正郞) 민평(閔枰)으로 산소는 동쪽에 있다. 나의 문정(文正) 선조인 우암(尤庵) 선조께서 2대의 묘갈문(墓碣文)을 지었는데 판서공(判書公)의 묘갈 문에는 “판서공의 손자와 증손들이 모두 효도와 의리가 있고 질박하고 정직하다”라는 말이 있고 정랑공(正郞公)의 묘갈문에는 “정랑공이 죽은 후, 그의 아들 민..

춘천의 금석문

■ 춘천의 금석문 차례 Ⅰ. 춘천의 금석문 1 Ⅱ. 춘천 지역의 주요 금석문 1 1. 申崇謙神道碑 1 2. 朴恒神道碑 1 3. 朴元庇 神道碑 3 4. 朴安具神道碑 4 5. 宋檥神道碑 5 6. 鄭雲湖神道碑 7 7. 柳夢彪神道碑 8 8. 柳潚神道碑 11 9. 金佑明神道碑 14 10. 趙萬永神道碑 14 11. 趙寅永神道碑 17 12. 趙秉龜神道碑 20 13. 趙秉夔神道碑 23 14. 閔泳徽神道碑 24 Ⅰ.춘천의 금석문 금석문은 금속, 암석 등에 새겨놓은 글을 말한다. 춘천 지역에는 많은 양의 금석문이 분포되어 있다. 적게는 개인 의 묘역에 건립한 묘비 부터 크게는 국가 차원에서 세워준 신도비 종류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 역시 다양하다. 이같은 금석문은 새겨놓은 당대의 상황을 그대로 후대에 전해주기 때문에 역사,..

정조도 비웃는 성균관 학생회장, 정말 막강했나

[오마이뉴스 김종성 기자] ■ 정조도 비웃는 성균관 학생회장 - 정말 막강했나? ↑에서 학생회장 격인 장의로 활약 하는 하인수(전태수 분). ⓒKBS 조선시대 국립대학인 성균관을 스케치하고 있는 KBS2 월화드라마 에는 시청자들에게 꽤 낯선 직책 하나가 등장하고 있다. 학생회장인 장의(掌議, '의장'이란 뜻)란 존재가 그것이다. 극중에서 하인수(전태수 분)가 맡고 있는 직분이다. 장의 하인수는 적어도 성균관 안에서만큼은 무소불위의 파워를 행사하고 있다. 그의 위세는 웬만한 벼슬아치 저리 가라 할 정도다. 드라마 속에서 악당의 대표 격인 그는 측근들을 동원해서 주인공들인 잘금 4인방(믹키유천·박민영·유아인·송중기 분)의 행보를 사사건건 위협할 뿐만 아니라, 이따금씩은 정조 임금(조성하 분)에 대해서까지 도..

저헌(樗軒) 이석형(李石亨)선생 묘.

■ 저헌(樗軒) 이석형(李石亨)선생 묘. 촬영일 : 2009. 09. 10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능원리 산 3에 있는 저헌(樗軒) 이석형(李石亨)선생의 묘이다. 그는 포은(圃隱)정몽주(鄭夢周)선생의 증손서(曾孫壻 : 증손녀의 남편)로서 조선초기의 문신으로 세종조에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하고, 1471년(성종 2)에 좌리공신(佐理功臣) 4등에 책록되었으며,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에 봉하여졌다. 그는 또한 연안이씨의 중흥조이며 그의 묘는 정몽주 선생 묘역과 근접한 옆 능선에 위치해 있다. ↑저헌 이석형 선생 묘 /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능곡로 45(는원리 산3번지) ↑저헌(樗軒)선생의 묘갈비 / 사진 출처 ⓒ인터넷 ↑좌측 보이는 묘역이 포은 정몽주 선생 묘이고 우측이 저헌 이석형 선생 ..

조익선생묘(趙翼先生墓)

▲조익선생묘(趙翼先生墓) /소재지 : 충남 예산군 신양면 신양리 산 33-1(97,887㎡) ▲좌의정 조익선생 묘 ▲좌의정 포저 조익 묘갈비(左議政 浦渚 趙翼 墓碣碑) ▲묘역 하단에 세워진 조익선생 신도비(구) /사진 ⓒ도방이야기 ▲좌의정 조익 선생 묘 후경 / 사진ⓒ명문 풍수지리학회 ●조익선생(趙翼先生) [생졸년] 1579년(선조 12)∼1655년(효종 6). [문 과] 선조(宣祖) 35년 (1602) 임인(壬寅) 별시(別試) 병과(丙科) 2위 -------------------------------------------------------------------------------------------------------------------------------------- 조선 후기의문신. 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