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 1744

멀리 있는 선산의 옥산(玉山) 이우(李瑀) 죽음을 애도하며 -최립

■멀리 이 고부 계헌(李古阜季獻)의 죽음을 애도하며 옥산 이우는 율곡의 아우로 형의 그늘에 가려진 당대의 천재였다. 나와 율곡 공의 교분으로 말한다면 / 余於栗谷公 그야말로 형제나 다름이 없었는데 / 交義實弟兄 계헌은 바로 공의 막내 동생이라 / 季獻其少弟 어린아이 때부터 돌보아 주었다오 / 撫視自孩嬰 수려한 그 용모 얼마나 멋있었던가 / 眉眼瑩可念 예에 노닐며 글씨로 이름 날렸나니/ 游藝以書鳴 장인 어르신은 바로 매학 노인장/ 作贅梅鶴翁 초성의 명성과 거의 비등하였다네/ 草聖幾齊名 우리 율곡 공이 세상을 등진 뒤론 / 一自公亡後 사학의 성취를 한참 보지 못했는데 / 阻觀仕學成 마침 내가 남쪽 고을 맡고 있던 날 / 適余南州日 계헌은 병산의 청렴한 원님이었다오 / 作縣屛山淸 시관(試官)으로 여유가 많았던..

玉山 李瑀先生墓碣文/玉山傳

유명조선국 통훈대부 군자감정 옥산선생 이공 묘갈문 (有明朝鮮國 通訓大夫 軍資監正 玉山先生 李公 墓碣文) 송시열 지음(宋時烈 述) 율곡선생께 아우님이 계시니 이름은 우(瑀)요. 자(字)를 계헌(季獻) 호(號)를 옥산(玉山)이라 하며, 일찍이 영남의 선산(善山)에 사셨는데, 선산(善山) 사람들이 사절(四絶)이라 칭찬했다. 거문고와 글씨와 시(詩)와 그림이 뛰어남을 말하는 것이었다. 그 서법(書法)이 더욱 묘하여 참께에다 거북구(龜)자를 쓰신적이 있었고, 또 콩을 두쪽으로 쪼개어 오언절구(五言絶句)를 그 한쪽에다 쓰셨는데, 그 결구(結構)와 적륵(趯勒)의 법(法)을 잃지 않았었다. 선조대왕(宣祖大王) 께서 사랑 하시어 상(賞)으로 초결(草結 : 초서 쓰는 비결), 백운(百韻)을 손수 쓰신 책액(冊額)을 내려주..

정안대군묘지명(定安大君 墓誌銘)

■ 정안대군 상혜공 허종 묘지명(定安大君尙惠公許琮墓誌銘) [지은이] 이제현 [형태사항] 크기>51.0 x 98.0/한자 [비고] 識記 : 至正五年(1345) 五月日書備考 : 忠宣王公主駙馬許琮(미상-1345)의 墓誌銘임 소장처분 류기 호: 54 [소장정보] 현소장처 : 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 ------------------------------------------------------------------------------------------------------------------------------------- 이 자료는 찬자는 이제현(李齊賢, 1287-1367), 서자와 각자는 모두 미상으로 해서(楷書)로 쓰여진 탁본(拓本) 1장의 금석문이다. 전액(篆額)이 ‘정안대군묘지명(定安..

부통색문답(附通塞問答) - 李鎭宅.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버 ■부통색문답(附通塞問答) [저자(著者)] 李鎭宅(1738(영조 14)∼1805(순조 5) / 경주이씨 32世 [문과] 정조(正祖) 4년 (1780) 경자(庚子)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21위 -------------------------------------------------------------------------------------------------------------------------------------- 問庶孽之枳塞已三百年餘矣一朝通之不亦難乎曰凡當事者當論其事之是非母問其事之難易事雖爲弊於一 時旣覺之後亦當矯之况爲三百年之弊則益當救正之不暇其欲正之係於在上者一擧措而已有. -----------------------------------------------..

병자사략(丙子事略)

왕실도서관장서각디지털아카이버 ■병자사략(丙子事略) [저자(著者)] 李鎭宅(1738(영조 14) ∼1805(순조 5). [문과] 정조(正祖) 4년 (1780) 경자(庚子)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21위 萬曆己未經理楊鎬分四路兵擊兒奴哈志敗績 瀋 崇顔 竇永澄等死之都督劉綎率我國之衆擊之綎及孫一琦劉松等皆死我國將金應河力戰亦死元帥姜弘立與金景瑞降虜而反[주:景瑞後爲日記送本國爲弘立告發被害] 甲子李适之亂其黨韓明璉誅其子沇逃入虜穴以爲我國盡殺弘立一門誑誘弘立至於丁卯弘立誘賊入寇夜襲義州府尹李莞判官崔夢亮被殺又陷安州兵使南以興牧使金準自焚死上避江都世子分朝全州送弘立三寸姜絪及其妾子於陣前 弘 立 知其宗黨之俱存始生悔意虜亦爲弘立所誘而來春夏之間潦水大漲進退維谷出送弘立及其所妾胡奴之女講和而歸主和者參判崔鳴吉斥和者大諫尹煌也己巳上國以熊廷弼代鎬鎬庾死獄中是年兒奴哈..

규사현인록(葵史賢人錄)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버 ■ 규사현인록(葵史賢人錄) [저자(著者)] : 李鎭宅(1738(영조 14)∼1805(순조 5). [문과] 정조(正祖) 4년 (1780) 경자(庚子)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21위 -------------------------------------------------------------------------------------------------------------------------------------- ● 高麗 ○鄭文培『주: 偉庶子官禮部尙書』 ○李世璜『주: 仁老庶子官大司憲入我朝爲都評議使』 ● 我朝[朝鮮] ○魚無迹『주: 字潛夫號浪仙』 ○柳藕『주: 字養淸號西峯▣寒暄堂門人成東洲撰碣文曰惟以訓誨後生爲務培植人才功實多焉矢文卜筮音 律書盡亦各『주: 各下落]其妙其子泛愛..

개성 서소문 상량문 대의(開城西小門上樑文 代擬) 

담인집(澹人集 券之十六) 신좌모 저[申佐模 ,1799(정조 23) ~ 1877(고종 14)] ■ 開城西小門上樑文 代擬 譬如衆星北極。隆上京之藩籬。是爲半月西門。壯故都之鎖鑰。華扁特揭。麗醮增光。盖聞爲城郭扃鐍以守之。內嚴外禦。使商賈行旅願出也。有譏無征。周西都之邑岐淢豊。盖重基迹之攸肇。秦東門之踐華跨渭。足見襟喉之斯存。顧玆松京。麗氏虎踞之基。聖祖龍興之地。神崧其鎭。禮成其浸。可見軆勢之崇深。穆淸之殿。敬德之宮。尙想軌跡之宏達。睠彼內城故址。寔我本朝始營。創夏正更革之初。週圍凡二十里。逮漢陽定鼎以後。廢壞殆四百年。名都大州。蕩无防限。頹垣敗堞。棄爲邱墟。肆我后軫綢繆之謨。而微臣膺修繕之命。募游手而計傭給價。不役本府一丁。審向背而集事赴功。適値舊中八癸。遂乃去帷盖而不避熱濕。親版鍤而與共甘辛。當以身先。拊循乃其職耳。弗遑自逸。奔湊敢言勞乎。於是民咸感奮發誠。家願趨赴効力。抱..

개성눌리문상량문 대의(開城訥里門上樑文 代擬)

■ 개성눌리문상량문 대의 (開城訥里門上樑文 代擬) 신좌모(申佐模) 찬[생졸년] 1799 (정조 23) - 1877(고종 14) 負鵠嶺而五冠聯延。鎭玆北固。傍蜈穴而兩扇張翕。扃于西偏。出入共由。開闔從便。顧玆都察大峴。爰有訥里小門。內而橋曰朱雀洞曰廣明。最近管理營牙纛。外則關爲靑石鎭爲礪炭。素稱要害處喉襟。盖本朝未遑周營。創內城而壯鑰。而半月仍襲秦故。綰西路而固扃。第漢都自鼎遷乎。伊晉堞無復存者。中間之歲月悠遠。魚齒全平。上下之風雨洗磨。虹腰半缺。奚但都邑之荒廢。居人嗟傷。抑亦關防之疎虞。識者竊歎。何幸聖后感故都之念。爰畀微臣繕遺堞之任。廢興無常。慨辛朝之自墜。成毁有數。喜癸年之重回。東南門之新舊相仍。築斯城某從至某。北西樓之遠邇均適。設是闑間於其間。穹扉谽谺。中容高車大盖。飛甍縹緲。上爲曲檻層欄。兩路之使華相望。誰能出不由也。九街之商貨並湊。寧復入而閉焉。蓋修廢亶由睿裁..

개성 동대문 상량문 대의(開城東大門上樑文 代擬)

■ 개성 동대문 상량문 대의 (開城 東大門 上樑文 代擬) 신좌모(申佐模) 撰 [생졸년] 1799(정조 23) ~ 1877(고종 14)] 肇國在西土。命周維新。迺立爲東門。按秦之故。楣扁特揭。棖闑重光。顧勝國五百年䧺都。寔右畿三十州要地。左靑石右白峙。壯關輔之襟喉。前朱雀後紫霞。儼殿宇之軆勢。金剛城之羅閣萬二。尙傳姜太史規橅。勃禦塹之環門十三。可徵徐皇華圖誌。逮我本朝開國。乃有半月築城。循男山而歷太平都察。北榦東支道里凡二十許。設女堞而立進言訥理。南大西小閭閻可八萬餘。自漢師鼎遷以來。廢不修繕。而商旅萃集於是。任其頹夷。種穄之田疇半荒。兔葵燕麥。栽松之嶽石全露。虎倒龍顚。不特居人過客之所嗟傷。抑亦分司留臺之所愾歎。屬我后翠華之臨幸。適是時玄黓之復回。謁齊厚而歷奠麗陵。追三恪列爵之典。展穆淸而親御太學。想六聖駐蹕之儀。粤瞻顧望。撫基迹之桓掇。周咨詢訪。愾關防之踈虞。肆當後癸..

경회루상량문 의(慶會樓上樑文 擬)

■ 경회루상량문 의(慶會樓上樑文 擬) 신좌모 저[申佐模 :1799 (정조 23) - 1877(고종 14)] 伏以太微列輔弼之垣。階三能於上紫。方輿辨神明之奧。柱八極於中黃。上棟下宇。取諸古者聖王爲宮室。四戶八窓如一。蓋云僊人好樓居。斯皆憲經緯於乾淸坤寧。亦以寓弛張於觀游節佚。肆昔虞殿之百工和。薰兮有風。周臺之庶民攻。成之不日。花萼勤政之對跱。乃在興龍舊坊。瓊林賜宴之親臨。厥有釣魚故事。厥或殫雕繪之巧思。窮鉅麗之瓌觀。別風嶕嶢。亘雙蜺而宛委。落星縹緲。齊五鳳而騫翔。豈若玆慶會樓之値千載之休期。明良相得。標二字之嘉號。頌禱斯興也哉。夫斯樓也。自太祖鼎定之初。召羣臣晉接之所也。五百興間有名世。周同德同心。二三豪出而爲時。漢羣策羣力。盖嘗奔走於干戈之際。備更險艱。故玆雍容於杯酒之間。與共安樂。遂乃創自傑構。揭厥華楣。黼座儼日月之章。所討論者政謨治法。釦砌聽星辰之履。所引對者耆舊親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