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족보관련문 71

족보 보는법.

■족보 보는법 요즈음 족보(族譜)를 보는 방법을 몰라 자녀들에게 집안의 내력을 설명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것은 젊은세대들이 족보(族譜)에 관심이 없는 것도 있겠으나, 정작 낡은 유물이나 봉건사상쯤으로 도외시하는 한자(漢字)와 고어(古語)등 교육의 부재에도 문제가 있다 할 것이다. 조상의 얼이 담겨있는 귀중한 보첩(譜牒)을 경건한 마음으로 모셔야 하고, 소중히 간직하기 위해서는 족보 편수 하는 방법이나 구성, 체재 등 열람하는 방법을 숙지 하여야 한다. ○ 필수요소 먼저 '자기(나)'가 어느 파(派)에 속해 있는지 알아야 한다. 파를 알지 못할 경우에는 조상이 어느지역에서 살았고, 그 지방에 어떤 파(派)가 살았던가를 확인해야 한다. 그래도 파(派)를 모를 때는 부득히 씨족 전체가 수록되어 있는 대동보..

족보 상식.

■족보 상식(族譜常識) 1. 족보의 기원(起原) 족보(族譜)는 다른 말로 보첩(譜牒)이라고도 하며, 그 효시는 중국의 6조(六朝) 시대에 왕실의 계통을 기록한 것 이 처음이며, 우리나라는 고려 왕실의 계통을 기록한 것으로 18대왕 의종(毅宗)때 김관의가 지은 왕대종록(王 代宗錄)이 그효시라고 할 수 있다. 체계적인 족보의 형태를 갖것은 조선 성종(成宗)때(1476) 부터이며, 이때 안동 권씨 성화보(安東權氏成化譜)가 처음발간되었다. 혈족(血族) 전부를 망라한 족보는 조선 명종(明宗)때 편찬된 문화 유씨보(文化柳氏譜)로 알려 졌으며 지금까지 전해온다. 2. 보첩(譜牒)의 종류(種類) ●대동보(大同譜) 같은 시조(始祖)아래 중시조 마다 각각 다른 본관(本貫)을 가지고 있는 씨족간에 종합 편찬된 족보이다. 다..

世 와 代

■ 촌수 : 동일 조상을 기준으로 한 나와 친척간의 원근(遠近) 개념 계촌법(計寸法)이란 친척간의 멀고 가까움을 따져서 촌수(寸數)로서 원근(遠近)을 나타내는 방법이다. 전통적인 문화관습에서 4대 봉사를 함께 하는 8촌 내(內)를 친척으로 하고 있음으로 나로부터 종(縱)으로는 고조(高祖)를 최고 존속으로 하고 횡(橫)으로는 동 고조 8촌 까지를 따짐의 주된 대상으로 한다. 계촌개념을 도해로 예시하면 나와 계촌 당사자인 친척과는 동일 조상이 관련된 삼각도형의 관계이다. 촌수는 그 삼각의 밑변의 마디 수 에 해당한다. 조상의 대수가 올라감에 따라 밑변의 길이가 길어진다고 생각하면 된다. 모계 쪽도 촌수 계산법은 같다. 예를 들면 나와 부모가 같은 형제는 2촌 조부모(祖父母)가 같은 친척은 4촌 증조(曾祖)가..

한산이씨(韓山李氏)

■ 한산이씨(韓山李氏) 한산이씨의 관향은 오늘날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인데 백제때는 마산현으로 불리었고 고려에 이르러 한산으로 개칭(940년 태조23)되었으며, 후에 다시 한주로 승격(1175년 명종5)되었고, 조선에 들어와 한산군으로 승격(1413년 태종13),1914년, 서천군에 병합되어 후에 다시 한산면이 되었다. 현재는 서천군에 속한 작은 면에 불과하지만 조선시대에는 한산군으로서 주변 여러 지역의 중심지였으며 한산모시와 한산소면주로 유명 하였고, 이곳엔 한산이씨 가문이 수백년 동안 쌓아놓은 고고한 삶의 흔적이 살아 숨쉬는곳이기도 하다. 역사의 고정을 통해 추적할 수 있는 한산이씨는, 고려 중엽의 1세 휘(諱) 윤경(允卿)인 권지호장(權知戶長) 호장공(戶長公)부터이며, 아마도 충남 한산 지방에서 호..

가장 독창적인 족보

■ 과학으로 푸는 우리유산 - 가장 독창적인 족보 (국정브리핑 2004-09-29 12:02) 족보를 만드는 이유는 자신과 같은 성을 가진 사람들끼리의 동족 의식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성은 혈족 관계를 표시하기 위해 제정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류 사회가 시작되는 원시 시대부터 유사한 관념을 갖고 있었다고 추측한다. 원시 사회야말로 혈연을 기초로 하여 모여 사는 집단 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씨족의 숫자도 점점 증가하고 대가 멀어질수록 서로의 유대 관계를 알 수 없게 되자 다른 씨족과 구별하기 위해 성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한다. 성을 처음으로 사용한 민족은 한자를 발명한 중국이었다. 초기에 성을 만드는 방법은 단순하였다. 그들이 살고 있는 지명이나 산, 강을 성으로 삼았다. 신농씨의 어머니가 강수..

숭정년간(崇禎年間)을 서기로 환산

■ 숭정년간(崇禎年間)을 서기로 환산 1628 戊辰 숭정후 戊辰 숭정1 1629 己巳 숭정후 己巳 숭정2 1630 庚午 숭정후 庚午 숭정3 1631 辛未 숭정후 辛未 숭정4 1632 壬申 숭정후 壬申 숭정5 1633 癸酉 숭정후 癸酉 숭정6 1634 甲戌 숭정후 甲戌 숭정7 1635 乙亥 숭정후 乙亥 숭정8 1636 丙子 숭정후 丙子 숭정9 1637 丁丑 숭정후 丁丑 숭정10 1638 戊寅 숭정후 戊寅 숭정11 1639 己卯 숭정후 己卯 숭정12 1640 庚辰 숭정후 庚辰 숭정13 1641 辛巳 숭정후 辛巳 숭정14 1642 壬午 숭정후 壬午 숭정15 1643 癸未 숭정후 癸未 숭정16 1644 甲申 숭정후 甲申 숭정17 1645 乙酉 숭정후 乙酉 숭정18 1646 丙戌 숭정후 丙戌 숭정19 1647 丁..

일본인의 족보를 보니......

일본인의 족보를 보니.... 도요토미 히데요시(1536~1598)가 천하통일(天下通一)을 하는 과정에서 오랜 내전(內戰)으로 남자들이 너무 많이 전장(戰場)에서 죽자 왕명(王命)으로 모든 여자들에게, 외출할 때는, 등에 담요 같은걸, 항상 매고 아랫도리 내의(內衣)는 절대 입지 말고 다니다가 어디에서건 남자를 만나면 애기를 만들게 했다. 이것이 일본여인의 전통의상(衣裳)인 기모노의 유래(流來)이며 오늘날에도 기모노를 입을 땐 팬티를 입지 않는 풍습(風習)이 전해지고 있다. 그 덕에 운이 좋아 전장에서 살아남은 남자들은 아무 여자고 맘에 들면 다 차지 할 수 있는 행운(幸運)이 주어졌다. 그 결과 아이의 아버지가 누군지 몰라, 이름을 지을 때 할 수 없이 애를 만든 장소(場所)를 가지고 작명하였는데, 그것..

숨겨진 한국사 족보서 찾다

숨겨진 한국사 족보서 찾다. 2007.05.01. 08:43 명나라 이여송은 한국계… 유학사 연구에도 단서 제공 씨족의 병력도 드러나 유전병 예방에 도움도 조선조 1850년 무렵부터 1900년까지 전국적으로 사망인구가 급증한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이 기간에 전염병이 극심했던 것으로 나타난다. 전염병의 이동 경로를 보자. 외국인 선교사, 상인 등의 이동에 따라 외래 병이 서울에서 창궐한 경우 위로는 황해도, 아래로는 충남까지 확산되는데 충북 대다수 지역은 빠져 있다. 그 후 전염병은 잠시 소강상태를 보이다 호남으로 내려간 다음 북상해 평안도로 옮아가고 다시 내려와 경상도에 퍼진다. 이후 강원도로 북상한 전염병은 평안북도까지 올라갔다가 강원도로 내려와 머물다 북상하지만 함경북도 일부에서 멈춘다. 현대 의..

족보 위작 건에 관한 소고.

■ 족보 위작 건(族譜僞作件)에 관한 소고(小考) 족보를 갖추고 있느냐, 없느냐에 따른 양반인정 문제는 지금의 현 상황에서는 판단하기가 애매한 부분이 많 다. 전세계적으로 볼때, 대한민국의 족보가 제일로 잘되어있다고 한다. 세계속에서 인정 받는 대한민국의 족보! 그러나 속내를 들여다 보면 허무맹랑한 일부터 여러 모순 덩어리가 넘쳐난다. 누구나 관심을 갖고 상식이 통하는 선상에서 관찰하여 보면 쉽게 찾을 수 있다. 첫째! 개별 문중의 시조(始祖)! 족보를 구비하고 있는 한국 성씨 집단의 대다수가 이 부분에서는 공교롭게도 극소수의 성씨를 제외하고는 위작시비(僞作是非)에 걸려든다. 사대주의사상(事大主義思想)에 오랜기간 물들어 있던 터라 시조의 출신지가 중국(中國)에 편향 되어 있고, 신분 또한 중국(中國)의 ..

족보의 용어

■ 족보의 용어 풀이. ◇시조(始祖) : 제일 처음의 선조(先祖)로서 첫 번째 조상을 말함. ◇비조(鼻祖) : 시조 이전의 선계조상 중 가장 윗사람을 말함. ◇중시조(中始祖) : 시조 이하에 쇠퇴한 가문을 일으켜 세운 조상을 모든 종중의 공론에 따라 추존한 사람 또는 중 흥조 ◇선계(先系) : 시조이전 또는 중시조 이전의 조상을 일컫는 말 ◇세(世) : 세(世)는 대체로 씨족에서 많이사용되며 시조로 부터 혈통의 흐름에 다라 차례로 탄생하는 인물에 대한 순번을 정하는 단위이다. 단, 왕이나 대통령,교장,회장등 혈통의 흐름에 구애되지 않고 직책에 임명된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세(世)를 쓰지않고 대(代)를 사용한다. ◇대(代) : 보학에서의 대(代)는 기준이 되는 사람을 빼고 나머지를 차례로 따지는 것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