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익재이제현선생 90

牛峰桃李村 선대묘소 답사 자료 - 귤산 이유원

■ 우봉 도리촌(牛峰桃李村) 선대묘소 답사 자료 - 귤산 이유원 [1] 34世 귤산 이유원「橘山 李裕元 1814년(순조 14) ~ 1888년(고종 25)」 壽 75歲 25世 백사 항복(白沙 恒福) 의 九代孫으로 이조판서(吏曹判書) 동천(桐泉) 계조『啓朝 : 1793년(정조 17) ~ 1856년(철종 7)』의 아들이 다. [2] 우봉 도리촌의 지명 변화 ◇고려시대 : 우봉현 도리촌(牛峰縣 桃李村) ◇1945년 11월 이전 : 황해도 금천군 소남면 지금리 도리촌(黃海道 金川郡 小南面 知琴里 院村) ◇일명 : 우봉 도리촌(牛峰桃李村) ◇1954년 : 황해북도 장풍군 십탄리(黃海北道 張豐郡 十灘里 院村) ◇1960년 : 개성직할시 장풍군 십탄리(開城直割市 張豐郡 十灘里 院村) ◇1967년 일부지역의 편입 분리에..

익재 이제현 선생 약사(益齋李齊賢先生略史)

■ 익재 이제현선생약사(益齋 李齊賢先生略史) [생졸년] 1287년(충렬왕 13)∼1367년(공민왕 16) [고려문과] 충렬왕(忠烈王) 27년(1301) 신축(辛丑) 신축방(辛丑榜) 병과(丙科) 1위(4/33) [고려사마] 충렬왕(忠烈王) 27년(1301) 신축(辛丑) 진사시(進士試) 1등(一等) 2위(2/77) --------------------------------------------------------------------------------------------------------- 고려 말의 문신. 학자·, 문인으로 본관은 경주(慶州), 초명은 지공(之公). 자는 중사(仲思), 호는 익재(益齋)· 역옹(櫟翁).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아버지 동암공(東菴公) 진(瑱)은 고려건국의 삼한벽상..

익재집 보물로 지정(역옹패설과 익재난고 )

↑1432년(세종 14) 원주에서 두 번째로 간행한 익재집 ■ 익재집(益齋集) 보물로 지정 고려시대 최고의 명신(名臣)이요, 대학자인 이제현(李齊賢,1287~1367)선생이 지은 익재난고(益齋亂藁)는 보물 제1892호로 역옹패설(櫟翁稗說)은 보물 제1893호로, 지정됐다고 2016년 2월 22일(월요일) 문화재청이 발표했다. 고려후기 이인로(李仁老,1152~1220)의 파한집(破閑集/說話文學集)과 최자(崔滋,1188~1260)가 엮은 보한집(補閑集/詩話集)과 더불어 고려3대 문학비평서인 역옹패설(櫟翁稗說)은 이제현선생의 나이 56세 때인 1342년(충혜왕 3) 관직에서 물러나 자택에 머물면서 익재난고(益齋亂藁)와 함께 집필한 책이다. 이 책의 《초간본》은 저자 이제현(李齊賢)의 77세 때인 1363년(공..

일본 천리대학교 소장 익재공(諱 齊賢) 진영고찰...

일본 천리대학교 소장 익재공(諱 齊賢) 진영과 19世 직장공(諱 養吾)의 따님 정경부인 조반배위 진영고찰. ↑익재 이제현선생 진영(일본 천리대학도서관 소장) ↑정경부인 조반배위 진영(일본 천리대학도서관 소장) ↑정경부인 하연배위상(河演配位像)/일본천리대학도서관소장 실물크기 : 50.1cm x 35cm 一. 머리말 문화재청이 2015년 10월 국회 동북아 역사왜곡대책특별위원회에 보고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문화재가 세계20여 개국에 총160.342점이 국외 소장되어있다고 한다. 이중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소장품만도 67,708점이나 된다고 하니 과히 충격적이다. 그리고 이중 지금까지 미국, 일본 등 10개국에서 9,749점의 문화재가 환수되었다고 조사되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초상화(肖像畵=..

보은 장산영당 익재 이제현 영정

본 영정은 1999년 2월 도난 당했다가 되찾은 후 2010. 11. 26일 국립청주박물관에 기탁·보관돼 있다. 본 초상은 조선 중기의 문신인 후손이사균(李思鈞·1471∼1536)이 화공에 의뢰해 국보 제110호의 의모본으로 제작되었다. ○보은 장산영당(報恩 長山影堂- 宗中影堂)의 익재 영정./충북 유형문화재 제72호 ○작자: 미상(未詳). ○1504년(이사균) 국립중앙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소장본(所藏本)의 이모본(移模本)임 ○소재지: 충청북도 보은군 탄부면 하장리 327번지(忠淸北道 報恩郡 炭釜面 下長里) ○보은 장산영당(報恩 長山影堂- 宗中影堂)의 익재 영정. / 충북 유형문화재 제72호 ○작자 : 미상(未詳). ○1504년(이사균) 국립중앙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소장본(所藏本)의 이모본(移模本)임..

“도덕의 으뜸, 문학의 최고봉”이제현의 사상

「정치기획특집」 “도덕의 으뜸, 문학의 최고봉”이제현의 사상 [일요신문]1131호] 승인 2016.01.04. 14:04:10 德·功·言 3가지 장점 갖춘 유가적(儒家的) 인물 [일요서울 | 우종철 논설주간] 이제현(李濟賢, 1287~1367)은 ‘자주성을 잃은 고려’라는 미증유(未曾有)의 민족수난기에 일곱 왕(충렬·충선·충숙·충혜·충목·충정·공민왕) 시대를 거치며 네 번이나 시중을 지낸 경륜의 정치인이요, 대학자요, 시인이요, 역사가이다. 본관은 경주, 초명은 지공(之公), 자는 중사(仲思), 호는 익재(益齋)·역옹(櫟翁),실재(實齋),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이제현은 1287년 이진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고려 건국 초의 삼한공신 이금서(李金書)의 후예인 이진은 신흥관료로 크게 출세하여 재상급인 ..

익재집 편찬 및 간행 요약

익재집 편찬 및 간행 요약 익재집(益齋集)은 저자 이제현[李齊賢, 1287년(충렬왕 13)∼1367년(공민왕 16)]의 생전에 막내아들 이창로(李彰路)와 장손 이보림(李寶林)이 편집하고 이색(李穡)의 서(序)를 받아 1363년(공민왕 12)에 처음 간행하였다《초간본》. 그러나 이 초간본은 오늘날 전하지 않는다. 그 후 1432년(세종 14) 세종(世宗)의 명(命)에 의하여 나라에서《역옹패설(櫟翁稗說)》과 함께 강원도 원주(原州)에서 간행하였다《중간본》. 당시 김빈(金鑌)의 발문에 의하면 '간행기구 미면결오(刊行旣久 未免缺誤)' 라고 하여 초간 사실을 추인(追認)하고 있는데 이때, 아울러 초간본에 빠지고 잘못된 부분의 일부를 바로잡은 것으로 보인다. 이 중간본은 현재 일본봉좌문고 조선목록(日本 蓬左文庫 朝..

익재진 자찬(益齋眞自讚)

[참고용어] ○ 이모본(移模) : 서화(書畫)를 본떠서 그린 그림. ○ 범본(範本) : 본보기 ○ 심의(深衣) : 예전에, 신분이 높은 선비들이 입던 웃옷. 대개 흰 베를 써서 두루마기 모양으로 만들었으며 소매 를 넓게 하고 검은 비단으로 가를 둘렀다. [해설] 이 글은 고려 말 익재 이제현선생이 자신의 초상화에 자신이 글을 남기었다. 즉 독학을 하여 견문이 적고 좁으니, 도를 들은 것도 당연히 늦었다고 말하고, 나의 불행이 자기로 부터 말미암으니 어찌 스스로를 돌이켜보지 않을 수 있겠느냐? 내가 무슨 덕이 있다고, 백성에 까지 미치어서 4번이나 국상이 되어 다행히 그 임무를 다 하였으나 다만 사람들의 비방만 받았구나. 잘 생기지 못한 외모는 또 그려서 무엇 하겠느냐 만, 너희 후손들에게 알리노니, 한 ..

이제현(李齊賢)

■이제현(李齊賢) [생년] 1287년(충렬왕 13/丁亥) 12월 24일(庚辰日) [졸년] 1367년(공민왕 16/丁未) 7월 19일(癸卯日) [고려문과] 충렬왕(忠烈王) 27년(1301) 신축(辛丑) 신축방(辛丑榜) 병과(丙科) 1위(4/33) [고려사마] 충렬왕(忠烈王) 27년(1301) 신축(辛丑) 진사시(進士試) 1등(一等) 2위(2/77) --------------------------------------------------------------------------------------------------------- 이제현『李齊賢, 1287년(충렬왕 13) 12월 24일(庚辰日)∼1367년(공민왕 16) 7월 19일(癸卯日)』 고려후기의 시인·문신·성리학자· 화가이다. 초명은 지공(之公)..

이제현과 이색의 문장은 누가 나은가? - 세조

세조 5권, 2년(1456 병자 / 명 경태(景泰) 7년) 9월 19일(병술) 1번째기사 조현할 세자를 위해 한어와 중원의 일에 대해 가르치게 하다. 영의정(領議政) 정인지(鄭麟趾)· 파평군(坡平君) 윤암(尹巖)·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 신숙주(申叔舟) 등을 불러 의논하기를, “세자가 근자에 조현(朝見-신하가 조정에 나아가 임금을 뵙는 일)하겠기로, 내가 통사(通事) 매우(梅佑)· 김자안(金自安) 등으로 하여금 한어(漢語)와 중원(中原)의 일을 가르치려고 한다.”하고, 임금이 정인지(鄭麟趾)에게 묻기를, “이색(李穡)의 문장(文章)이 어떠한가?” 하니, 정인지가 대답하기를, “우리 동방(東方)에 있어서는 가위 걸연(傑然-매우 뛰어남)한 사람입니다.”하였다. 임금이 말하기를, “그렇다면 이제현(李齊賢)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