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익재이제현선생

익재집 보물로 지정(역옹패설과 익재난고 )

야촌(1) 2016. 4. 8. 02:20

1432(세종 14) 원주에서 두 번째로 간행한 익재집

 

■ 익재집(益齋集) 보물로 지정 

 

고려시대 최고의 명신(名臣)이요, 대학자인 이제현(李齊賢,1287~1367)선생이 지은 익재난고(益齋亂藁)는 보물 제1892호로 역옹패설(櫟翁稗說)은 보물 제1893호로, 지정됐다고 2016년 2월 22일(월요일) 문화재청이 발표했다. 

 

고려후기 이인로(李仁老,1152~1220)의 파한집(破閑集/說話文學集)과 최자(崔滋,1188~1260)가 엮은 보한집(補閑集/詩話集)과 더불어 고려3대 문학비평서인 역옹패설(櫟翁稗說)은 이제현선생의 나이 56세 때인 1342년(충혜왕 3) 관직에서 물러나 자택에 머물면서 익재난고(益齋亂藁)와 함께 집필한 책이다. 

 

이 책의 《초간본》은 저자 이제현(李齊賢)의 77세 때인 1363년(공민왕 12)에 막내아들 창로(彰路)와 장손 보림(寶林)이 편집(編輯)하여 이색(李穡)의 서(序)를 받아 경주에서 처음 간행하였다. 그러나 이 초간본은 오늘날 전하지 않는다. 

 

이번에 보물로 지정된 계명대학교도서관소장본은 1432년(세종 14)에 세종대왕의 명으로 집현전학사들이 선사(繕寫)해 만든 원고 본을 강원도 감영이 있던 원주에 내려 보내 간행한 것으로 역옹패설 말미에 편성 및 출판과정을 설명한 집현전 응교 김빈(金鑌)의 발문이 있다. 

 

이 원주본의 《중간본》부터 익재난고와 역옹패설을 합하여 익재집(益齋集) 또는 익재문집(益齋文集)이라고 한다.

 

執筆>李在薰

-------------------------------------------------------------------------------------------------------------------------------------

익재집 간행기(益齋集刊行記)/중간본 

 

발(跋) : 김빈(金鑌)

 

고려(高麗)의 익재공(益齋公)은 덕업(德業)과 문장(文章)으로 당세를 창도(倡導)하였다. 저술한바 시문(詩文)을 《익재난고(益齋亂稿)》라고 명명하였으며, 시사(時事)에 대하여 이것저것 기록한 것을 《역옹패설(櫟翁稗說)》이라 불렀는데, 사지(詞旨)가 전아할 뿐만 아니라 전조(前朝) 전후 5백 년 사적(史跡)의 대략을 알 수 있으니, 실로 《고려사(高麗史)》와 서로 표리(表裏)가 되는 책이다.

 

간행(刊行)된 지가 오래어서 판각(板刻)이 이지러져 오류가 생김을 면할 수 없었으므로, 선덕(宣德 : 明 宣宗의 연호) 6년(1431, 세종 13) 전하(殿下)께서 문신(文臣)을 명하여 바루어 선사(繕寫)하게 하고, 강원도(江原道) 원주(原州)에서 간행하게 하였다.

 

공(公)의 높은 도덕과 성대한 공업(功業)은 후배가 흠모(欽慕)하는 바이나 볼 수가 없으며, 다만 그 영화(英華)로 운, 통서(統緖)가 후세에 전하여 오는 것은 오직 문장(文章)을 힘입는 것이니, 학자(學者)로서 그 풍교(風敎)를 듣고 그 시(詩)를 독송(讀頌)하면, 반드시 흥기되는 자가 있을 것이다.

 

이 문집(文集)이 거의 없어지게 되었으므로 특별히 다시 간행하도록 명하여 오래도록 전하여지게 하셨으니, 전하께서 덕을 높이고 학문을 숭상하시는 아름다움이 아, 성대하도다. 선덕(宣德) 임자년(1432, 세종 14) 가을 7월일에 조봉대부(朝奉大夫) 집현전 응교 예문응교 지제교 경연검토관(集賢殿應敎藝文應敎知製敎經筵檢討官) 신(臣) 김빈(金鑌)은 분부를 받들어 삼가 발(跋)을 짓는다.

 

익재집 > 부록 / 묘지명ㆍ발ㆍ지ㆍ간행기(墓誌銘跋識刊行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