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촌 이재훈 435

보재 이상설선생 순국 제96주기 추모식

▲좌측으로 부터 필자, 이동길총무이사, 이대희 감사, 이상근회장, 이재춘이사, 이재정 고문, 이동우 경주이씨 충북 청장년회장, 이상용 전경주이씨 대전화수회장, ? , 앞줄좌측 부터 이자형, 이상래이사, 이재용행사진행위원. 사단법인 이상설선생기념사업회(회장 이상근)는 2013년 4월 22일 월요일 오전 11시 충북 진천군 진천읍 산척리 134-2번지 숭렬사에서 이 지역 출신 독립운동가인 보재 이상설[1870(고종 7)~1917] 선생 순국 제96주기 추모식을 각급 기관 사회단체장, 주민등 200여명이 참석해 고인의 뜻을 기렸다. 이날 제1부 제례에는 졍재교 진천유도회장의 집례로 초헌관에 유영훈 진천군수, 아헌관에 김영준 청주보훈지청장, 종헌관에 이상호 경주이씨 진천군 화수회장이 각각 맡아서 영신례(迎神禮)..

중국 지안 고구려비로 동북공정(東北工程)

중국 지안 고구려비로 동북공정 ※동북공정이란? 중국은 현재 중국의 국경 안에서 이루어진 모든 역사는 중국의 역사이므로 고구려와 발해의 역사 또한 중국의 역사라고 주장한다. 동북공정에서 한국 고대사에 대한 연구는 고조선·고구려·발해 모두를 다루고 있지만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고구려이다. 이 연구를 통해 중국은 고구려를 고대중국의 지방민족정권으로 주장하고 고구려의 역사를 중국역사로 편입하려 하고 있다. 동북공정은 1983년 중국 사회과학원 산하 변강역사지리연구중심이 설립된 이후 1998년 중국 지린성 퉁화사범대학 고구려연구소가 '고구려 학술토론회'를 개최하면서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2004년 동북공정 사무처가 인터넷에 연구내용을 공개하면서 한국-중국간 외교문제로 비화되었다. 우리나라도 중국의 역사왜곡에 대..

제원면 천내3리 증조모님 산소 성묘

성묘일자 : 2013년 03. 27일(수요일) ↑隱松公 李英雨先生 配位 星山全氏 墓 ◇생졸년 : 1852. 03. 29(철종 3) - 1905 . 03. 04] ◇휘(諱) : 전어년(全於年) ◇아버지 : 전석일(全錫一) ◇출생지 : 오늘날 경북 고령군 쌍림면 신촌리 들어은동 마을 ◇자녀 : 아들 4형제를 두시어 모두 가문을 번성케 하셨다. ◇이곳 일대는 선인부사도강형산도(仙人浮莎渡江形山圖)로 동양의 제2혈지로 불리운다. 산소 소재지 : 충남 금산군 제원면 천내리 479번지 ↑좌로부터 在英(舍第),在坤(再從弟),재복(舍仲),필자 내외 . ↑필자의 재종제(再從第)로 두사람은 부자(父子) 간이다. ↑금강 건너 보이는 마을이 충남 금산군 제원면 천내3리이다. /충남 금산군 제원면 천내리 479번지 일시 : 20..

墓의 坐向과 羅經 사용법

풍수지리의 기초 ■ 좌향(坐向)과 나경(羅經) 사용법. 나경(羅經)에 대한 사용법을 일반인들이 어렵게 생각함으로 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이를 쉽게 설명해 보기로 한다. 따라서 羅經구성의 원리를 자세히 살펴보면 어떤 경우에 어떻게 사용 하는지를 쉽게 알수 있다. 우선 지반정침(地盤正針)은 자북(磁北)을 기준으로 되어 있다 즉 나경의 子의 중앙이 북극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北極에서 900km정도 떨어진 자극(磁極)점을 가리키며 자극(磁極)점은 캐나다 허드슨만 북동부(북위 75°,서경 100°지점)에 있는 강한 자력지대(磁力地帶)를 말한다. ●지형학적 북극과 지자기의 북극 자편각(磁偏角)은 진북과 자북간의 차이각을 자편각(磁偏角)이라고 하며 자편각은 측정위치나 측정시기에 따라..

선원 김상용선생 신도비명

[譯文] ■ 충신의정부우의정선원선생김공신도비명 (忠臣議政府右議政仙源先生金公神道碑銘) 유명조선국 충신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우의정 겸 경연사 감춘추관사(有明朝鮮國忠臣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右議政兼經筵事監春秋館事) 선원선생(仙源先生) 김공신도비명(金公神道碑銘)과 서(序) 아우 숭정대부(崇政大夫) 행이조판서(行吏曹判書) 김상헌(金尙憲)은 찬술하고, 후손 가의대부(嘉義大夫) 사헌부대사헌(司憲府大司憲) 김광현(金光鉉)이 전액(篆額)을 새겼으며 문인(門人) 통훈대부(通訓大夫) 유시정(柳時定)이 글씨를 쓰다. 나의 형 의정공(議政公)은 휘(諱)가 상용(尙容)이며, 자(字)는 경택(景擇)이고 스스로 호(號)를 선원(仙源)이라 하였으며, 또한 풍계(風溪)라고도 한다. 선군(先君)이 좌의정 임당(林塘) 정부군(鄭府君:정유길)..

응립여수 호행사병

●응립여수 호행사병(鷹立如睡 虎行似病) 이 말은「매 는 서 있되 조는 듯하고 , 범은 걸어가되 병든 듯하니」란 말로 명나라 홍응명(洪應明, 字는 自誠)이 쓴 인생 지침서《채근담(菜根譚)》전집(前集)에 수록된 금언의 일부이다, 원래 문장은 ‘鷹立如睡,虎行似病,正是他攫鳥噬人法術。故君子要聰明不露,才華不逞,纔有任重道遠的力量’(매는 졸고 있듯이 서 있고 호랑이는 병든 것처럼 걷지만, 바로 그것이 사람을 움켜잡고 사람을 무는 수단이다). 그와 마찬가지로 사람도 총명함을 드러내지 말고 빛나는 재주를 풀어놓지 말아야 한다. 이것이 어깨를 견고히 하여 일을 짊어질 수 있는 역량이다. '매는 조는 듯 서 있고, 호랑이는 병든 듯 어설렁 걷지만' 매는 하늘의 제왕이요. 호랑이는 땅의 제왕이듯 그들의 속은 날카로움을 가지고 ..

은송 처사 이영우선생 유적

■ 은송처사 이영우 선생 유적 (隱松處士 李英雨先生 遺跡) ↑소재지 :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합가2리 산69-1(안산) /사진>ⓒ이재훈 사진>ⓒ이재훈 ↑묘비(墓碑) / 사진>ⓒ이재훈 ↑배위 성산전씨 묘(配位星山全氏 墓) / 소재지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천내3리 팔선(八仙) 바위下 진좌(辰坐) / 사진>ⓒ이재훈 사진>ⓒ이재훈 ↑산소 후면에서 바라본 전경 ㅣ 앞에보이는 다리가 제원대교이다. /사진>ⓒ이재훈 ↑은송정(隱松亭)/1959년 건축 / 사진>ⓒ이재훈 ●은송정 운(隱松亭 韻) 이종희(李宗熙) 지음(은송공 장손) 사모하던 나머지 은송정을 늦게 지어/慕餘晩築隱松亭(모여만축은송정) 우리 조부 평생에 글 읽어시기를 좋아하셨다/我祖平生好讀經(아조평생호독경) 백수로는 초야에 의지함이 무방하고/白首無放依草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