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촌 이재훈 435

비문(碑文). 행장(行狀). 묘지명(墓誌銘). 묘비문(墓碑文). 묘갈문(墓碣文). 묘표(墓表)에 대하여

■비문(碑文). 행장(行狀). 묘지명(墓誌銘). 묘비문(墓碑文). 묘갈문(墓碣文). 묘표(墓表)에 대하여 1. 비문(碑文) 유협이 이르기를, “비(碑)란 돋운다[埤]는 뜻이다. 상고(上古) 시대에 제황(帝皇)이 처음으로 호(號)를 기록하고 봉선(封禪)을 할 때에 돌을 세워 산악 위에 도드라지게 하였으므로 비라고 한 것이다. 주(周)나라 목왕(穆王)이 엄산(弇山)의 바위에다 사적(事跡)을 기록하였다.” 하였고, 진시황(秦始皇)은 역산(嶧山) 꼭대기에 명(銘)을 새겼는데 이것이 비의 시초이다. 그러나 상고해 보건대, 사혼례(士婚禮)의 “문에 들어서서 비를 맞닥뜨리게 되면 읍을 한다.”라는 글의 주에 “궁실(宮室)에 비를 세워 두고서 해의 그림자를 표시함으로써 시각을 안다.” 하였고, 제의(祭義)의 “희생을 ..

심정선생 묘(沈貞先生 墓)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77호/소재지 : 서울시 강서구 방화동 855(삼정초교 정문 옆)/사진 : 개미실사랑방 ↑2017년 4월 촬영 모습/아마 멧돼지가 봉분을 회손 한듯 함 ↑ⓒ개미실사랑방(2015촬영) ●심정(沈貞) [문과] 연산군(燕山君) 8년(1502) 임술(壬戌) 알성시(謁聖試) 2등(二等) 2위 ------------------------------------------------------------------------------------------------------------------------------------ 1471년(성종 2)∼1531년(중종 26) 때인.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정지(貞之), 호는 소요정(逍遙亭). 아버지는 부사를 지내고 적개공신(..

조견선생 묘(趙狷先生 墓)

■ 조견(趙狷) 1351년(충정왕 3)∼1425년(세종 7).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초명은 윤(胤). 호는 송산(松山). 아버지는 판도판서(版圖判書) 조덕유(趙德裕)이며, 어머니는 오의(吳懿)의 딸이다. 영의정부사 조준(趙浚)의 동생이다. 유년에 출가하여 여러 절의 주지를 역임하다가 30세가 넘어 환속하고, 승직(僧職)경력으로 인하여 좌윤(左尹)에 서용되었으며, 고려 말에는 안렴사(按廉使)를 지냈다.1392년(태조 1) 상장군으로 이성계(李成桂)추대에 참여하고 개국공신 2등에 책록되었다. 1394년 경상도도절제사, 1397년 지중추원사, 1400년(정종 2) 삼사우복야(三司右僕射)를 거쳐 1402년(태종 2) 도총제(都摠制) 재직중에 사은사의 명을 받았으나, 사행이 위험하다는 소문..

조선시대 '경천군 송금비' 2기 문화재 지정

YTN|조선시대 '송금비' 2기 문화재 지정 입력 2012.01.11 18:07 6백 년 전 조선시대의 자연보호 정책을 엿볼 수 있는 비석이 서울시 문화재로 지정됩니다. 서울시는 최근 북한산 둘레 길에서 발견돼 시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친 '경천군 이해룡 송금물침비' 2기를 3월 중 시 기념물로 지정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서울시는 전국에서 유일한 것으로 추정되는 송금비 2기는 조선시대 자연환경 보호 정책의 실례를 방증하는 유물로서 역사적 가치가 크다고 판단돼 문화재로 지정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해룡 송금물침비는 광해군이 1614년 경주 이 씨 이해룡에게 하사한 토지를 무단 침입하거나 경계지역에 있는 소나무를 벌목하는 것을 금지하기 위해 세운 비석입니다. 이교준 [kyojoon@ytn.co.k..

안성 이해룡고가

■ 안성 이해룡 고가(安城 李海龍 古家) ↑상량문에 의하면 이 건물은 1797년(정조 21)에 신축되어 2000년에 허물어져 없어졌다. ↑중수하기전의 옛건물 ↑2006년 11월에 위의 건물을 다시 복원했다. [명칭] 이해룡고가 (李海龍古家) [지정종목]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73호 [지정일] 1985년 -9월 20일 [수량] 1동 [소재지]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청룡리 78번지 [시대] 조선 [종류/분류] 가옥(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청룡리 78번지에 있는 조선시대의 전통가옥) =========================================================================================== 경기도 안성시 서운산 남쪽 계곡 근처의 작은 산간 마을에 있는 조선 ..

이탁영(李擢英)

■ 24世 이탁영(李擢英) ◇1541년(중종 36)~1610년(광해 2). ◇慶州李氏 十九世 直長公 李養吾의 五代孫임. ◇경주이씨 직장공파 집성촌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상리리 ------------------------------------------------------------------------------------------------------------------------------------- 자(字)는 자수(子秀), 호(號)는 반계(盤溪) 또는 효사재(孝思齋), 본관(本貫)은 경주(慶州). 영리(營吏)로서 임란(壬亂)이 발발하자 순찰사(巡察使) 몽촌(夢村) 김수의 막하(幕下)에 들어가 참모로 활약하였으며, 김수가 근왕병(勤王兵)을 이끌고 수원(水原)까지 진군(進軍)하였을 때에도 ..

성안공 상진 신도비(成安公 尙震 神道碑)

↑성안공 상진 묘역 (成安公 尙震 墓域) [지정번호]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60호 [지정연월일] 1984년 11월 3일 [시대] 조선 명종 21년(1566) [크기] 전체 높이 362㎝, 비신 높이 220㎝, 너비 106㎝, 두께 36㎝ [재료] 비신 대리석, 대좌·개석 화강암 [소유자] 학교법인 상문고등학교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산152-5 조선 16세기 전반의 명재상 성안공 상진(尙震, 1493∼1564)의 묘역과 신도비이다. 신도비에는 중종·명종 연간에 활약한 그의 행적이 잘 적혀있다. 상진의 자는 기부(起夫), 본관은 목천(木川)으로 성종 24년(1493) 6월 5일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찰방 상보(尙甫)이며, 어머니는 연안인(延安人) 박사 김휘(金徽)의 딸이다. 어려서 부모를 여..

옥산 이우선생 묘(玉山李瑀先生 墓)

사진>치숙당(癡叔堂) ↑묘소 소재지 : 경북 구미시 선산읍 북산동 무래산(舞萊山) ◇시제일 : 매년 음 10. 15 ◇세거지 : 13世 李瑀 孫 =구미시 고아읍 예강리 ◇덕수이씨 13世 사진출처: 河南風水地理學會 -------------------------------------------------------------------------------------------------------------------------------------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계헌(季獻), 휘(諱)는 우(瑀). 호는 옥산(玉山), 죽와(竹窩), 기와(奇窩), 1542년(중종 37) 생하고, 1609년(광해군 1)졸하였다. 조부는 천(蕆), 외조부는 진사 신명화(申命和), 아버지는 원수(元秀), 처부는 진사 ..

목은 이색선생 묘

↑목은 이색선생 묘 ↑목은 이색묘역 뒷편에서 내려다 본 모습(묘역 하단 좌측에 보이는 건물은 문헌서원이며, 부인 묘는 서원 우 측에 위치) 고려 후기의 문인이며 학자인 목은(牧隱) 이색(李穡, 1328∼1396) 선생의 묘이다. 선생은 포은 정몽주, 야은 길재와 함께 삼은(三隱)의 한 사람으로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영숙(潁叔), 호는 목은(牧隱),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문헌서원 입구에 있는 재실 ↑서원 앞에 위치한 이색선생 신도비 ↑묘역 입구에 세워진 양경공 이종선 묘갈 ↑문헌서원 좌측을 지나면 목은 묘역이 보입니다. ↑앞의 봉분은 목은의 셋째 아들인 양경공(良景公) 이종선(李種善) 묘이고, 뒤의 봉분이 이색선생 묘역입니다. ↑목은 이색선생 묘표 ↑이색선생 묘역 내 석물 모습 문헌서원 우측 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