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촌 이재훈 435

족보상식(族譜 常識)

작성일 : 2010. 08. 31 ■ 족보상식(族譜常識) 추석을 앞두고 알아두시면 좋을 듯하여 올립니다, 01. 족보(族譜) 일족(一族)의 계보(系譜)를 기록한 가계보(家系譜). 중국 후한(後漢)시대에 왕실의 계보를 기록한 것이 그 시 초이다. 한국에서도 고려시대부터 편찬되었다고 하는데,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족보로서는 1476년에 발간 된 안동권씨(安東權氏)의 성화보(成化譜)가 있다. 한국에서 족보의 발생은 벌족(閥族)의 세력이 서로 대치하고, 동성일족(同姓一族)의 관념도 매우 뚜렷하게 된 이후의 일이며, 족보 간행을 촉진시킨 요인은 ① 동성불혼(同姓不婚)과 계급내혼제(階級內婚制)의 강화 ② 소목질서(昭穆秩序) 및 존비구별(尊卑區別)의 명확화 ③ 적서(嫡庶)의 구분 ④ 친소(親疏)의 구분 ⑤ 당파별(..

간신은 군주가 만든다.

■ 간신은 군주가 만든다. 고금을 막론하고 간신으로 낙인찍히는 것 만큼 불명예스러운 일은 없을 것이다. 본인은 물론이고, 자손 대대로 수치심을 안고 살아야 한다. 간신이 그처럼 미움을 받는 이유는 반드시 자신이 속한 조직에 해를 끼치기 때문이다. 그것이 개인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방식이든, 유능한 사람을 모함하는 방식이든, 결과적으로 조직에 도움이 될 일은 없다. 간신들은 대체로 악인이다. 그러나 악인이라고 해서 반드시 간신이 되는 것은 아니다. 속에 악한 마음을 지니고 있더라도, 그런 마음을 함부로 부릴 기회가 없으면 간신이 되지는 않는 것이다. 간신은 드러난 자취가 있어야만 판정할 수 있다. 사람을 채용할 때, 악인을 막기는 쉽지 않다. 그렇다면 간신으로서의 요건을 갖추지 못하도록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세속을 좇는 삶

■세속을 좇는 삶 내가 하는 것이 옳은지 그른지 선한지 악한지를, 세상의 판단에 넘겨버리고 돌보지 않는 것은 참으로 미혹된 것이 아니겠는가. [원문] 身之是非善惡 欲委以與世而不恤 非惑之甚與 신지시비선악 욕위이여세이불휼 비혹지심여 [출전] ◇송문흠(宋文欽, 1710〜1752) 「반속(反俗)」/『한정당집(閒靜堂集)』 -------------------------------------------------------------------------------------------------------------------------------------- [해설] 물고기가 물속에서 살듯 우리는 세상 속에서 살아간다. 세속의 많은 사람을 만나고 서로 이야기를 나누고 서로 도움을 받거나 주기도 하면서 그들과 더불..

우리나라 역사 연대표[신라] |

신라(新羅, B.C.57~935, 992년간, 총 56대)~박(朴)씨 10왕, 석(昔)씨 8왕, 김(金)씨 38왕 代 왕명 재위 기간 성 약사 1 박혁거세 (朴赫居世), (BC69~AD4) BC57~ AD4 朴 13세에 왕위에 올라 나라 이름을 서라벌이라함. 왕21년에는 수도를 금성(金城)이라 하고 성을 쌓아 국가의 기초를 세움. BC27년 천일창(天日槍)이 왜(일본)땅으로 가고, 신라의 도공이 왜에 건너가서 신라식 도자기 제작. 2 남해차차웅 (南解次次雄), (미상~24) 4~24 朴 박혁거세의 맏아들. 석탈해(昔脫解, 탈해왕)를 사위로삼아 정사를 맏겼다 함. 병선 100여척으로 왜구 격퇴. 3 유리이사금 (瑠璃尼師今), (미상~57) 24~57 朴 남해왕 아들. 6부(部)의 이름을 고치고 성(姓)을 ..

우리나라 역사 연대표[백제]

백제(百濟, B.C 18~A.D660 , 678년간, 총31대) 代 왕명 재위 약사 1 온조왕 (溫祚王), (미상~28) B.C 18~ A.D 29 고구려 동명왕의 세째아들(혹은 둘째). 위례성에 나라를 정하고 나라이름을 백제라함. BC 5년에 서울을 한산(지금의 광주)으로 옮김. AD8년 마한을 병합함. 2 다루왕 (多婁王), (미상~77) 28~77 온조왕아들. 말갈족을 격퇴하고, 농사를 장려하여 백성 생활을 안정 시켰음. 37년 후한의 낙랑군을 멸망시킴. 3 기루왕 (己婁王, (미상~128) 77~128 다루왕의 맏아들. 4 개루왕 (蓋婁王), (미상~166) 128~166 기루왕의 아들. 132년에 북한상성을 쌓음 5 초고왕 (肖古王), (미상~214) 166~214 개루왕의 아들. 신라를 여러번..

고령 개포동 석조관음보살좌상

[종목] 시도유형문화재 118호 [명칭] 고령 개포동 석조관음보살좌상(高靈開浦洞石造觀音菩薩坐像) [분류] 석불(부동산) [수량] 1구 [지정일] 1979. 01. 25 [소재지] 경북 고령군 개진면 개포리 87 [소유자] 국유 [관리자] 고령군 위 앞면을 광배(光背)삼아 얕게 새긴 이 보살좌상은 고려(高麗) 성종(成宗) 4년(985)이라는 조성연대(造成年代)를 지니고 있는 귀중한 고려시대 조각이다. 전체 윤곽은 돋을새김(陽刻)이고 옷주름이나 연꽃무늬 등은 선으로 긋고 있는 도식적인 수법으로 만들었는데, 이러한 특징은 상 자체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머리에 쓴 보관(寶冠)은 보살(菩薩)의 화관 종류와는 판이한 정자관(丁字冠) 형식이어서 완전히 토속화(土俗化)된 것이며, 얼굴 역시 평판적인 윤곽에 가는 눈..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

↑도끼만행으로 사망한 미 육군의 보니파스 대위와 배럿 중위. 도끼만행으로 사망한 미 육군의 보니파스 대위와 배럿 중위의 대한민국에 대한 희생과 용기 에 감사드리며, 영원한 안식을 기원합니다. ↑판문점 도끼만행사건으로 희생된 미군 보니파스 소령(33살)과 바레트 대위(25세)에게 한국정부는 보니파스 소령에게는 충무무공훈장을 바레트 대위에게는 화랑무공훈장을 추서하였다. ↑판문점의 돌아오지 않는 다리 ↑도끼만행사건이 벌어졌던 미루나무자리는 콘크리트로 마감되어 비석이 세워져있다.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지도 이 사건은 일명 북한군 도끼만행 사건이라고 불려진다. 1976년 8월 18일 오전 10시 45분에 일어난 사건이다.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돌아오지 않는 다리를 남쪽 국제연합군(UN군)측 제3초소와 그 ..

중국 이상설선생 전람관

■ 보재 이상설선생전람관 주유천하선생님과 만대선생님 께서 지난 5월과 이달 7월에 중국 여행차 길림성 용정시 용정중학(구 대성중학) 교정에 있는 독립운동가 보재 이상설(溥齋 李相卨)선생의 역사전람관 방문 사진이 있어 일부를 옮겨와서 소 개 올립니다. ↑용정중학교(전 대성중학교 정일권 전 국무총리를 비롯 많은 애국지사들이 이 학교에서 많이 배출되었다. ↑2000년 경주이씨중앙화수회와 이상설선생기념사업회가 건립하고 역사자료들을 전시했다. 所在地: 中國 吉林省 龍井市 民生街 789號 龍井中學 ↑보재이상설선생 역사전람관준공기비 1905년 을사늑약(乙巳勒約)이 일본의 강압에 의거 강제 체결되자 이상설(李相卨)선생이 항일 구국운동을 결심 1906년 만주로 망명하여 그해 8월에 룡정(龍井)에 자기의 사비(私費)로 근..

침묵(沈默)의 효용(效用)

■침묵(沈默)의 효용(效用) 말을 하는것은 어(語)요. 말을 하지 않는 것은 묵(黙)이라 합니다. 사람이 꼭 말을 해야만이 다른사람과 소통하는 것은 아니고, 말없이 웃는 것만으로도, 수백 마디의 말을 하는 것보다 더 많은 뜻을 전달할 수도 있습니다. 고로 말을 하는 것만이 말이 아니라, 말을 하지 않는 묵((黙)도 또한 말인 것입니다. [원문] 當黙而黙, 近乎時, 當笑而笑, 近乎中. 周旋可否之間, 屈伸消長之際. 動而不悖於天理, 靜而不拂乎人情. 黙笑之義, 大矣哉. 不言而喩, 何傷乎黙. 得中而發, 何患乎笑. 勉之哉. 吾惟自況, 而知其免夫矣. 자료 : 김유근(金逌根, 1785~1840),「묵소거사자찬(黙笑居士自讚)」,『황산유고(黃山遺稿)』- [역문] 침묵해야 할 때 침묵하니, ‘때에 맞게 함[時]’에 가깝고,..

양서공 이광윤 묘갈명 병서(瀼西公李光胤墓碣銘 幷序)

증 도승지 행 홍문관 교리 양서 이공 묘갈명 병서 (贈 都承旨 行 弘文館 校理 瀼西 李公 墓碣銘 幷序) ◇26世 괴산군수 왕자사부 서계공 이득윤 선생의 아우임. ◇생졸년 : 1564년(명종 19) ~ 1637년(인조15) 豊山 金應祖 撰 (1587(선조 20)∼1667(현종 8). 공의 성(性)은 이씨이고 이름은 광윤(光胤). 자는 극휴(克休). 호는 양서(瀼西), 경주(慶州) 사람이다. 신라좌명공신(新羅佐命功臣) 알평(謁平)과 고려(高麗)의 익재선생(益齋先生) 제현(齊賢)의 후손이 된다. 본조(本朝=조선)에 들어와서 관찰사(觀察使) 윤인(尹仁). 창평현령(昌平縣令) 공린(公鱗). 사복시판관(司僕寺判官) 곤(鯤). 성균진사증좌승지(成均進士贈左承旨) 잠(潛)이 차례료 공에게 고조(高祖). 증조(曾祖). 조..